우주발사체 기술은 2017년에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했다. 우선 미국의 민간우주발사체기업 SpaceX사는 Falcon 9 발사체를 지속적으로 발사 성공을 보여줌과 동시에, 발사된 1단을 지상과 해상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Falcon 9 발사체를 이용하여 또다시 발사 및 회수에도 성공하여, 우주발사체 1단은 1회용이 아닌, 항공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듈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통한 지속적인 발사비용 절감을 천명하고 있다. 또 다른 민간업체인 미국의 Orbital ATK사는 러시아 에네르고마쉬사의 RD-180 엔진을 1단 메인엔진으로 사용하는 Antares 발사체의 지속적인 발사 성공 및 국제우주정거장(ISS)로의 보급물자 이송 성공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거대 인터넷 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는 본인의 사비를 털어 Blue Origin을 만들어 현재 New Shepard 발사 및 착륙에 성공하였으며, 첫 번째 우주발사체인 New Glenn 발사체의 시험발사를 앞두고 있다. 전통적인 우주선진국 러시아의 경우 2017년 11월 러시아 극동 블라고바쉔스크에 새로운 우주센터인 바스또츠니 발사장에서 Soyuz 발사체의 2번째 발사를 진행하였으며, Angara 발사체는 2020년 한국의 다목적실용위성 6호의 발사를 수주함에 따라 본격적인 상업위성발사시장에 뛰어들었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하여 Zenit 발사체 1단 메인엔진인 RD-170의 수급이 어려워 한동안 발사가 중단되었으나, 양 정부 간 협약에 따라 2018년 하반기에 Zenit 발사체의 재발사를 위하여 발사체 본체 제작이 한창이며, 250톤의 추력을 발생시키는 RD-815 엔진(가칭)의 개발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은 기존보다 약 50%의 발사비용으로 발사가 가능한 신형 발사체인 H-III의 2020년 발사를 위하여 신형 LE-9 엔진의 연소시험을 성공하였으며, 기존의 H-II는 지속적인 발사 성공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의 경우에는 저렴한 인건비 기반의 저비용 발사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자국의 발사체를 이용한 인공위성을 끊임없이 발사하고 있으며, 발사체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우주정거장 및 달탐사 등의 프로젝트들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중국 최남단의 거대한 섬인 하이난도에 새로운 우주센터를 건설하고, 최신 장정(CZ)-7 발사체 발사 계획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우주개발 경향과 관련하여 2017년 기준으로 세계 각국의 우주센터 및 일부 우주발사체 선진국의 개발 동향을 본 보고서로 짧게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