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04
org.kosen.entty.User@1eb6f5e0
노형미(october18)
o 대외적으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중국의 對아세안 영향력이 확대 등으로 제조업과, 초기 중공업 중심의 베트남 산업 구조에 불확실성이 증대로 공업화에 이은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이 필요
o 베트남 주력 분야 중심으로 新협력 구도 정립 필요
- 5G 등 ICT분야, 스마트시티, 인력양성 등의 분야에서 신비즈니스 관계 확보가 가능
- 특히, IT/SW 인력 양성 분야, 인적교류, 공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시장 활성화에 한국의 참여 가능성이 매우 클것으로 전망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