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정보/통신
발행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발행일
2020.04.03
URL
2. 5G 부문별 현황
가. 5G 서비스
나. 5G 장비
다. 5G 단말
라. 5G 융합서비스
마. 중소기업 협력체계
3. 정책적 시사점
부록1 : 국가별 5G 상용화 관련 추진현황
부록2 : 유럽 5G 세부현황 분석
부록3 : 국내외 융합서비스 현황
부록4 : 주요 5G 스마트폰 제품 출시 현황
2019년 4월 3일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 서비스 개시하며, 역사적인 새로운 통신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그 후 1년 지난 지금, 5G는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확산 추세에 있으며, 특히 최근 세계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 되면서, 폭증하는 트래픽·데이터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5G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상황이다.
지난 1년간 5G가 가져온 전 세계적인 변화들을 살펴보면, 5G 서비스?장비·단말 등 통신산업 전반에 새로운 전환을 촉발하였을 뿐 아니라, 全사회·산업 분야에서 혁신적 융합서비스를 창출하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국의 5G 분야별(△서비스·△장비·△단말·△융합서비스·△중기 협력생태계) 추진현황 분석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5G 경쟁력 확보 관련 정책적 시사점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5G 서비스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유럽·아시아 등 26개국에서 서비스를 개시한 가운데, 중국·한국 서비스 가입자 수가 압도적인 상황이다. 5G 통신장비의 경우는 우리기업의 도약(삼성 23%)으로, 전체 통신장비 경쟁구도의 새로운 전환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다. 다음으로 5G단말 부분에서는 모뎀칩 시장은 퀄컴이 압도(87.9%) 중이며, 5G폰 시장은 화웨이와 삼성이 1% 내외로 경합하는 상황이다. 5G 융합서비스 분야는 국내외 모두, 통신사를 중심으로 실감콘텐츠·헬스케어·제조·도시 등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국내 5G 통신장비·부품 분야 중소기업을 살펴보면, 작년에는 5G 커버리지 확보에 주력하는 환경하에서 실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최근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우리 중소 장비?부품 제조업체의 타격이 불가피한 전망이다.
5G를 둘러싼 주요국 상황을 고려했을 때 네 가지 정책적 측면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첫째는 코로나19가 초래한 국가적 위기상황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급증하는 융합서비스를 뒷받침하는 대책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는 6G 등 차세대 네트워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AI네트워크·자율IoT 등 미래 지능형 네트워크 핵심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 이다. 셋째는 5G 통신 장비·시스템·서비스 분야 산학연이 상생발전 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유기적 협력체계 운영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5G가 촉발하는 글로벌 융합서비스 경쟁에서 우위를 지속할 수 있도록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의 5G 융합서비스 지원 인프라가 필요하다.
추천 리포트
-
[동향보고서] 밀리미터파 5G/5G+ 신호발생기 및 신호분석기
-
[동향보고서] K-CBRS용 LTE 기반 주파수 공유 CBSD
-
[코센리포트] 5G 스마트폰 기술 동향
-
[동향보고서] 주간기술동향 1906호
-
[코센리포트] 5G 이동통신 기술 동향 및 시장성분석
-
[코센리포트] [첨단]초절전 고성능 미래 반도체 나노소자 기술
-
[코센리포트] 1. 저유전(low-k)물질용 재료화학, 2. 다공성 물질표면에서의 촉매 고착화, 3.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국제적인 이슈의 해결
-
[동향보고서] 중국의 과학기술: 재료·물질부문
-
[코센리포트] 중국의 재료 및 에너지이용 기술 동향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