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4 (42) 5G 모바일 액세스용 광 부품 기술 동향

분야

전기/전자,정보/통신

발행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행일

2020.08.01

URL


Ⅰ. 서론
대한민국은 2019년 4월 기술 개발 및 사전 서비스 실증 등을 통하여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 서비스 실현의 위업을 달성하였다[1]. 초고속, 초연결 및 초 저지연의 서비스 차별화로 5G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한 핵심적인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2].
 
하지만, 2019년 중반부터 촉발된 일본의 핵심 소재·부품 기술에 대한 수출규제는 5G 망 확대 및 이를 통한 4차 산업혁명 기반 구축을 국가 중요 정책으로 추진하던 대한민국에 핵심 소재·부품의 높은 대외 의존도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강하게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핵심 소재·부품을 수입하여 중간 가공을 통하는 경제구조는 5G 구축과 같은 국가 전략적 기간망 구축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핵심 소재·부품의 외산 의존성으로 인한 낮은 수익성을 갖는 산업구조 및 체질에 대한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3].
 
또한, 2019년 말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산업 기술 및 사회 전반에 큰 변혁을 불러 왔다. 코로나19에 기인한 비대면(Untact) 서비스의 폭증은 네트워크 트래픽 폭증을 유발하여, 2010년 3월 기준으로 전년도 대비 30% 이상 증대로 인하여 접속지연 및 연결오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는 온라인을 통한 의료, 교육, 유통 서비스 등과 같은 새로운 소매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네트워크를 통한 비즈니스가 크게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4].
 
고화질 및 몰입형 영상서비스에 기반한 5G 기술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네트워크 기반 제공을 넘어 콘텐츠 서비스에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4차 산업혁명 견인을 통해 국가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핵심 네트워크 소재·부품 기술의 확보를 통하여 산업 경쟁력 제고 및 고수익성 산업체질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5G 모바일 액세스망 고도화를 위해서 요구되는 소재·부품의 기술적 사항, 모바일 기술에 적용되는 부품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소재·부품의 자립화와 더 나아가 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한 부품산업이 직면한 당면 과제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Ⅱ. 기술동향
   1. 5G 기술의 핵심 성능 파라미터
   2. 5G 모바일 기지국 광 링크
   3. 모바일 액세스 적용 파장
   4. 모바일용 광소자 부품
Ⅲ. 모바일 광 부품기술 전망
   1. 국외 기술 및 시장 동향
   2. 국내 현안 및 전망
Ⅳ. 결론
용어해설
약어 정리


*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