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바이오헬스 산업의 넥스트 노멀


포스트코로나 시대 뉴노멀에 대응하여,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이 보고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다.

우선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를 체계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의 지향점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육성을 위한 중장기 과제를 도출할 것이다.

첫째, 코로나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분석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을 둘러싼 거시적 차원의 환경 변화를 PEST 분석을 통해 파악해 볼 것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수출 동향과 글로벌 통상 이슈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글로 벌 진출이 필요한 만큼 코로나19 이후 관련 분야의 변화 를 면밀하게 점검해야 한다.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디지 털헬스케어, 그리고 의료서비스 등 코로나19가 바이오헬 스 산업의 개별 영역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비대면, 디지털전환 등 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을 관통 하는 변화도 있으나 개별 영역별로 상이한 이슈들도 존재 한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대표적인 연구개발(R&D) 집약 적 산업으로 코로나19가 이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할 필 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둘러싼 시민사회의 인식을 파악해 볼 것이다. 우리의생명과 건강 에 직결되고, 대규모 정부 재원 투입이 불가피한 바이오 헬스 산업의 특성상 시민사회의 지지는 특히 중요하다.

둘째,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검토다. 바이오헬스 산업 개별 영역별로 전문 가들이 예측하는 미래를 조망해본다. 산업계에서 제시하 는 영역별 정책 수요도 제시할 것이다. 이해관계자가 많고 변화 속도가 빠른 바이오헬스 산업의 특성상 현장의 의견에 기반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해외 싱크탱크, 컨설팅 기관 등의 바이오헬스 산업 중장기 전망을 조사·분석할 것이다. 아울러 주요국 정부에서 추진중 인 코로나19 이후 바이오헬스 정책을 고찰해볼 것이다.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정책 수립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셋째,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육성을 위한 중장기 과제의 도출이다. 우선 기술발전에 대응한 바 이오헬스 육성 정책 과제다. 특히, 데이터(Data), 네트 워크(Network), 인공지능(AI)의 바이오헬스 산업 접목에 대비한 정책과제 개발이 필요하다. 포스트코로나 시 대에 대비한 바이오헬스 정책과제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상시적인 감염병 대응, 뉴노멀 대비 등 시급한 과제 들이 도출될 수 있다. 아울러 바이오헬스 산업의 사회적 공생을 위한 과제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 (Governance)의 바이오헬스 산업 접목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시점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코로나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변화
1. 거시환경 분석
2. 코로나19의 바이오헬스 산업 영향
3. 수출·통상 및 정책 동향
4. 기술 및 연구개발
5.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
Ⅲ.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방향
1. 산업별 영향 및 전망
2. 산업별 정책 수요
3. 포스트코로나 바이오헬스 전망 및 주요국 정책 변화
Ⅳ.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과제
1. 바이오헬스 신기술(D.N.A.) 대응 과제
2. 포스트코로나 정책 과제
3. 사회적 공생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보고서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