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디지털 기반 맞춤형 식생활관리서비스 표준가이드 개발


COVID-19 유행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각종 비대면 서비스의 고도화에 따라 모바일 기반 건강관리앱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건강관리앱에서 피트니스와 다이어트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품질 관리 제도는 아 직 마련되지 않고 있어 전문가들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콘텐츠와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최근 ICT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안전한 생산 과 활용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대상 가이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식생활관리서비스 분야도 이를 참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반 맞춤형 식생활관 리서비스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개발과 활용을 돕기 위해 품질 관리 요소를 탐색하고 사용자, 개 발자,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표준가이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디지털 기반 식생활관리서비스의 콘텐츠와 품질 요소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앱은 건강한 개인을 대상으로 신체정보, 섭취한 음식, 평소 신체활동 등을 입력하여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평 가, 정보 제공 및 맞춤 영양상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식품 및 음식의 영양성분 함량과 표시단 위 등이 서비스별로 다소 상이하게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활용하고 있는 DB에 대한 출처 및 업 데이트 정보 등 영양성분DB의 신뢰성을 평가할 만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특히, 민간을 중심으로 질환 관리를 위한 식생활관리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는데, 보 다 엄격히 관리될 필요가 있는 환자 대상 서비스에 대한 전문성과 근거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제 공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생활관리앱에 대한 전문가 품질 관련 연구를 살펴본 결과, 앱의 장기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품질요소에 대해 주목하고 있었고, 사용성, 오락성, 데이터 정확성 및 개인화된 피드백 등과 함께 상호작용 시스템의 강화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었으며, 국가식품영양DB 준수 여부, 기능 및 기술 적합성, 질병 및 생애주기 특성 적용 여부, 자동인식 기능 기술 품질, 데이터 보호 등을 품질 요소로 간주하고 분석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