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요약
ㅁ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수단으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 중 바이오연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
l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수송, 건물 등 기반시설과 산업 전반의
시스템 전환이 요구되며, 바이오매스, 폐자원 등 순환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필요성이 증가
l 2050 넷제로(Net-zero)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까지 석탄 사용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저탄소에너지의 공급은 증가하는데, 바이오연료 수요는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IEA)
ㅁ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효과가 큰 바이오연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련 상용화 기술개발 및 기반기술 확보를 추진
l 유럽, 미국 등 주요국은 바이오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연구는 비식량계 원료인 목질계, 초본계
및 폐기물 기반 순환자원을 활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연료 중심으로 개발 중
l 국내에서는 수송용 바이오디젤, 발전용 바이오중유 그리고 발전용과 도시가스용 바이오가스가
상용화되었으며, 바이오에탄올, 수소첨가 바이오디젤 등은 기반기술 개발 및 실증 단계
ㅁ 시장점유율은 고체 연료가 85.7%로 가장 높으나, 연평균 소비량의 성장률은 액체 연료가 13%로 가장 높으며, 미국, 유럽 중심의 시장이 크게 형성
l 고체 바이오연료는 목재팰릿 기준으로 최근 7년간 성장률이 11.6%로 생산량의 55%를 유럽이,
그 다음으로 아메리카가 32%를 차지하지만, 성장 속도는 아시아가 가장 빠름
l 미국과 브라질이 전 세계 액체 바이오연료 공급량의 69%를 담당하며, 유럽은 전 세계 생활
폐기물 바이오에너지 공급량의 65%와 바이오가스의 50%이상을 차지
ㅁ 국내 바이오연료 정부R&D는 액체?기체연료를 중심으로 개발연구 투자 비중이 높고 산업계 中 중소기업 대상으로 투자
l 개발연구 대한 투자 비중은 지속 증가(’18년 40.7% → ’20년 55.6%)한 반면, 기초연구는
점차 감소(’18년 35.1% → ’20년 22.9%)하여 응용연구 비중과 유사한 수준
l 산업계 수행 비중은 증가(’18년 39.6% → ’20년 51.2%)하였으나, 학계?연구계 수행 비중
은 점차 감소(학계 기준 ’18년 32.5% → ’20년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