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日 소프트뱅크의 ‘ARM 인수戰’ 둘러싼 국내외 업계 행보 주목


□ 영국에 본사를 둔 반도체 팹리스 기업 ‘ARM’…대주주 소프트뱅크 매각 추진



ㅇ ARM은 현재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뿐 아니라 최근에는 인텔이 주도했던 서버 아키텍처까지 사업군을 넓히며 다수의 반도체 기업에 설계IP를 제공, 로열티를 받은 팹리스 대표주자



ㅇ 특히 스마트폰 두뇌라 일컫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시장의 영향력은 독보적

- 스마트폰 CPU인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만들려면 대다수 업체는 ARM으로부터 고가의 반도체 설계자산(IP)을 구매해야 가능

- 세계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AP 중 90%, 태블릿의 경우는 85%가 ARM의 설계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독점적 위치에 있으며 AI 반도체와 서버용 반도체 설계 부문도 상위권

※ 미국 퀄컴?애플, 대만 미디어텍, 삼성전자까지 모바일 AP를 만드는 기업 대다수가 ARM 고객사



ㅇ 불과 6년 전 일본 소프트뱅크가 ARM을 인수(’16.7)하며 반도체 기업에 베팅한 이정표로 시장 주목을 받았었는데 또 다시 매각 대상으로 거론

※ 당시 소프트뱅크 역사상 최대 인수 규모로 CEO 손정의가 은퇴 연기 선언(’16.6.22) 후 추진한 첫 번째 승부수이자 미래 투자에 대한 강력한 의중이 반영되었던 거래

- ARM의 기술력과 향후 성장성, 기업가치를 매우 높이 평가한 소프트뱅크는 향후 30년 중점 사업으로 선정한 IoT?인공지능?스마트로봇 등 미래 전략기술 개발 강화를 위해 ARM 인수



6-1.PNG


6-2.PNG


□ 소프트뱅크 투자 실패, 오픈소스 기반 RISC-V 성장 등이 ARM 매각 배경



ㅇ (#1) 소프트뱅크 투자 실패: 잠재력이 풍부하다고 판단한 기업에 비전펀드를 통해 투자해왔는데 위워크 등 거액을 투자한 기업이 실패하면서 막대한 재정 손실로 자금 필요

※ 2022년 1분기 기준 소프트뱅크의 적자 규모는 약 2조 2,000억 원 수준

- 당장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ARM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는 분석

- 이미 ’20.9월 엔비디아가 ARM 인수에 660억 달러를 제시하는 등 공격적으로 거래를 추진했으나 독과점 문제로 각국 규제당국이 반대하면서 결국 무산(’22.2)

※ 그래픽칩 시장의 지배자인 엔비디아가 세계 모바일칩 설계 IP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ARM을 인수할 경우 사실상 독점적인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규제당국은 반대



ㅇ (#2) 오픈소스 활용 확산: 현재 압도적인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나 오픈소스 기반의 반도체 설계 명령어세트 ‘리스크-파이브(RISC-V)’ 시장이 확산하며 위협

- 반도체 설계 IP 공급망에서 독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ARM이 특정기업에 인수되면 중립성이 훼손될 수 있고 공급망 불균형 등이 언제든지 발생 가능

- 이에 특정 기업이 소유하지 않는 구조로 M&A와 경영권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라이선스 비용이 없는 오픈소스 명령어 세트 ‘RISC-V’가 ARM의 대항마로 부상

-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형태의 RICS-V는 속도와 전력 효율성 및 높은 보안성까지 갖춘 명령어 집합체로 포스트 ARM 시대를 불러올 블루칩으로 주목

- 특히 미국의 對중 기업 견제와 규제가 지속 확대?강화하면서 중국 주요 반도체 장비 기업이 미국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반도체를 제작?생산하기 위해 RISC-V 활용

- 중국 및 해외 업체의 RICS-V 활용은 점진적으로 확산하며 ARM의 견고한 생태계에 도전장



□ 국내 주요 반도체 업계의 ARM 인수 가능성에 이목 집중



ㅇ 삼성전자는 오는 10월 소프트뱅크와 ARM 인수 논의 관측

※ 10월 중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의 서울 방문이 예정되어 있어 삼성전자와 전략적 협력 외 ARM 인수 논의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관측

- ARM의 반도체 설계자산(IP) 역량은 삼성전자가 취약한 시스템(비메모리)반도체 경쟁력을 한껏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 카드. 즉, 시스템반도체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기회가 될 전망

- 하지만 메모리반도체 시장우위에 있는 삼성전자 지배력을 고려하면 단독 인수는 규제당국과 업계의 반대가 거셀 것으로 예상

- 이에 삼성전자가 해당 컨소시엄을 조성해 주요 사업자 위치를 점하는 방안, ARM이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때 소수 지분을 획득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





6-3.PNG


ㅇ 엔비디아의 ARM 인수 무산을 계기로 시장 독점이 우려되는 단독 기업의 M&A 성사는 쉽지 않기 때문에 ARM 인수를 둘러싼 다양한 방식이 수면 위로 부상

- 퀄컴과 삼성전자가 협력할 경우 스마트폰AP 합산 점유율이 40%대를 넘어서면서, 역시 독과점 걸림돌에 무산 가능성. 특히 스마트폰 경쟁사인 애플을 비롯해 스마트폰AP 개발사인 대만 미디어텍 등의 강력 반발 예상

- 삼성전자가 인텔과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PC CPU 중심의 인텔과 모바일 AP 중심의 ARM 간 인수합병으로 역시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하지 못했던 독과점 문제 반복 가능

- 삼성전자?인텔?퀄컴 등 다수의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독과점 이슈로부터는 자유롭겠지만 사실상 M&A 효과는 미미하다는 측면에서 추진 가능성은 낮은 편

-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전략적 투자자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ARM 인수 방안을 내부 검토 중이라고 밝힌 SK하이닉스도 공동 인수 작업에 참여 가능

- 퀄컴도 지난 5월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ARM 지분 인수 의향을 밝히며 IPO를 하게 되면 공동투자를 모색하는 방식 등을 언급

※ 하지만 8월 말 ARM이 라이선스 위반 혐의로 퀄컴과 퀄컴이 인수한 누비아를 미국 델라웨어지방법원에 제소하는 소송이 시작되면서 퀄컴의 ARM 인수 참여 및 양사의 파트너십 등에 변수가 될 전망

- 한편 ARM은 아마존, 그루폰(美 소셜미디어기업)에서 근무하며 상장 추진의 중추 역할을 담당했던 제이슨 차일드를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영입(9.26)해 기업상장 가능성도 열어 두는 모습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