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4-16
org.kosen.entty.User@4b22ac43
황현주(kristal7911)
- 1
다음과 같은 재질과 내용으로 내구성 시험을 하려고 합니다
원칙적으로는 40000시간(약 5년), 6400만회의 Aging을 하여야합니다
내구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위와 같은 시간과 횟수로 시험을 해야할 까요 ?
일정한 시험 시간과 횟수를 통해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읍니다.
예를 들어, 100시간 동안의 Aging에서 문제가 없다면 영구적으로 문제가 없
다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까요 ?
이런 기법이나 기준에 대한 자료나 조언 부탁합니다
- 재질 : SUS316L, Stainless Steel Braided Ultraflex bellows Hose
- Aging 방법
1. Hose를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를 충분히 큰 Bending을 확보할 수록
취부(R=300~250 mm)
2. Hose취부 부위에는 응력이 집중하지 않도록 취부
3. 가동부의 Stroke : 300 mm
4. 가동부 속도 : 2000 mm/sec(1600 cycle/hour)
- 요구 수명 : 40000시간
- Hose maker : http://www.unisource-mfg.com/
관련 분야 전문가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원칙적으로는 40000시간(약 5년), 6400만회의 Aging을 하여야합니다
내구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위와 같은 시간과 횟수로 시험을 해야할 까요 ?
일정한 시험 시간과 횟수를 통해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읍니다.
예를 들어, 100시간 동안의 Aging에서 문제가 없다면 영구적으로 문제가 없
다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까요 ?
이런 기법이나 기준에 대한 자료나 조언 부탁합니다
- 재질 : SUS316L, Stainless Steel Braided Ultraflex bellows Hose
- Aging 방법
1. Hose를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를 충분히 큰 Bending을 확보할 수록
취부(R=300~250 mm)
2. Hose취부 부위에는 응력이 집중하지 않도록 취부
3. 가동부의 Stroke : 300 mm
4. 가동부 속도 : 2000 mm/sec(1600 cycle/hour)
- 요구 수명 : 40000시간
- Hose maker : http://www.unisource-mfg.com/
관련 분야 전문가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Fatigu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호경님의 답변
2002-07-09- 0
>다음과 같은 재질과 내용으로 내구성 시험을 하려고 합니다 >
원칙적으로는 40000시간(약 5년), 6400만회의 Aging을 하여야합니다 >
내구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위와 같은 시간과 횟수로 시험을 해야할 까요 ? >
일정한 시험 시간과 횟수를 통해 >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읍니다. >
예를 들어, 100시간 동안의 Aging에서 문제가 없다면 영구적으로 문제가 없 >
다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까요 ? >
이런 기법이나 기준에 대한 자료나 조언 부탁합니다 >
>
- 재질 : SUS316L, Stainless Steel Braided Ultraflex bellows Hose >
- Aging 방법 >
1. Hose를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를 충분히 큰 Bending을 확보할 수록 >
취부(R=300~250 mm) >
2. Hose취부 부위에는 응력이 집중하지 않도록 취부 >
3. 가동부의 Stroke : 300 mm >
4. 가동부 속도 : 2000 mm/sec(1600 cycle/hour) >
>
- 요구 수명 : 40000시간 >
- Hose maker : http://www.unisource-mfg.com/ >
>
관련 분야 전문가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정확히 귀하께서 요구하신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드릴수가 없지만 간단한 코멘트를 하고자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간단히 100시간 해도 문제 없다면 문제 없다고 하기는 곤란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보기에는 고무재인 것 같기 대문에 고무는 aging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안정적인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10000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10000시간을 시험을 한다는 것도 실제적으로 힘든 상황입니다. 그렇기 대문에 제작사에서는 가혹실험으로 어느정도의 내구성을 예측하는데 본 대상물이 단순한 금속, 고무가 아닌 일종의 복합재라 내구수명을 구하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대부분 호스 제작사에서 어느정도의 가혹 상태에서 실험하면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한다는 경헙치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이것이 그 회사의 노하우라 파악하기가 대단히 어렵습니다. 또한, 학문적으로 어느정도 접근은 하지만 고무제품은 대단히 제조방법, 성분 실험방법에 따라 어는 제품보다도 물성치에 관하여 편차가 심해서 학문적으로도 다른 금속제품보다 내구성 에측이 어려워 실제 자동차의 경우 브레이크 유압호스를 제작하는 회사의 경우 맥동 실험, 파열압, 부피팽창,유연도,내오존성 시험등 많은 시험을 장시간 반복해서 시험하여 데이터를 축적하여 가혹시험에 대한 어떠한 criterion을 확보하여 회사의 노하우를 갖는 상황에서 귀하께서 말씀하신 제품에 대한 내구성 확보는 부품 제조사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좋은 해결안을 못드리고 단지 상황만 말슴드려 죄송합니다. 한번 유사고무제품 관련 ISO, Mil. Spec., KS 을 찾아보면 어느정도 관련 시험의 흐름을 알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