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4-22
org.kosen.entty.User@7b4f21f8
하태욱(htw8646)
- 2
Kordic 신기술소식란에서 찾은 내용인데요.
일본 다이세이 건설에서 보강 콘크리트에 사용한 「Bar Chip」이라는 폴
리프로필렌 보강섬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부탁드립니다.
내용 첨부할려고 다시 찾아보니 또 없네..
Kordic Hot_topic_board에 2001년 3월 5일 기재된 내용이구요..
출처가 건설통신신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일본 다이세이 건설에서 보강 콘크리트에 사용한 「Bar Chip」이라는 폴
리프로필렌 보강섬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부탁드립니다.
내용 첨부할려고 다시 찾아보니 또 없네..
Kordic Hot_topic_board에 2001년 3월 5일 기재된 내용이구요..
출처가 건설통신신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 Bar Chip
- Reinforced Concre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정화님의 답변
2002-04-22- 0
콘크리트에 "Bar chip" 혼입하여 균열 억제 [출처 : 건설통신신문 : 2001년 03월 02일] -------------------------------------------------------------------------------- 다이세이건설은 닛폰 도로공단과 공동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Bar chip」을 콘크리트 에 혼입함으로 콘크리트의 균열을 억제하고 열화에 의한 박리를 방지한 기술을 개발했 다. 제2 명신 고속 도로의 야마무라 제1교, 교장 52 meter,폭 20 meter에 시험 시 공하여 성능을 검증했다. 개발한 기술은 짧은 섬유를 혼입한 것으로 「 콘크리트가 박리해도 콘크리트 한쪽이 벗겨져 떨어지지 않게 하는」것으로 건조 수축 등에 의한 콘크리트의 초기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향상이 도모된다. 레미콘에 Bar chip을 체적 비율 0.5%를 직접 혼입하는 간단한 시공 방법이므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는다. 기술 개발에 있어 박리 저항을 실증하기 위해 교통 하중을 상정한 피로 재하 실험에 서 200만번 이상의 반복 하중에도 벗겨져 떨어지지 않는 것을 검증했다. 야마무라 제 1교의 시험 시공에서는 매시 100 입방 미터의 속도로 타설하고 섬유 혼입후의 콘크리 트 슬럼프가 90분 경과해도 손실하지 않고 80 미터의 펌프 압송이라도 통상의 콘크리 트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검증하였고 섬유1개당 약 10 Kg의 박리 저항이 있는 것 을 확인하고 있다. 또, 마무리 면도 통상의 콘크리트와 다름없이 양호하다라고 말한 다. Bar Chip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표면에 엠보싱 가공과 친수성 처리를 가하고 콘크리 트의 부착을 향상시켰던 인장용 섬유 재료로 레미콘 차에 직접 투입·교반하여 사용하 는 것이 가능하고 혼입후도 종래의 콘크리트와 같이 타설할 수 있다. 근래, 터널 의 콘크리트 덩어리 낙하 등과 같은 사건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과 보전이 과제로 되어 있으며 다이세이 건설은 Bar chip을 콘크리트에 혼입한 것을 닛 폰 도로 공단에 제안하고 기술 개발을 하게 되었다. 이 회사는 고속 도로의 over bridge등 보수가 곤란한 다리나 터널의 복공, 수로의 보 수·보강 등에 적극적으로 적용 확대하여 갈 생각이다. - (jaslee@pusan.ac.kr) -
답변
하태욱님의 답변
2002-04-22- 0
올려주신 내용은 저두 가지고 있는 거구요.. 그 내용에 관련되어 Bar Chip이라는 재료에 대해 다이세이 건설측이나 기타 다른 곳에서 상세한 자료가 있는지 그걸 알고 싶어서 올린거였습니다. 혹 그런게 있을지 모르겠네요.. 있다면 도움을 좀 주셨으면 감사하겠습??. 그럼 수고하시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