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9-10
org.kosen.entty.User@2ce24dc6
권대도(kddpositive)
- 4
초전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론과 현재 상용화가 되고 있는곳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초전도 이론
- superconductiv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성진욱님의 답변
2002-09-10- 0
위의 웹페이지를 참조해 보세요 그럼 도움이 되길.. -
답변
김정화님의 답변
2002-09-10- 0
안녕하십니까? KOSEN 입니다. 몇군데 관련되는 URL을 추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련분야 전문가님들의 답변 기대하겠습니다. ^^ 1. 이론 1) http://www-ph.postech.ac.kr/~psc/High-Tc/hitcsulmyung.html : 초전도 현상 - 고온초전도 발견 10년 - 최근의 초전도 쟁점 - 우리의 초전도 연구 수준은 어디까지 와 있는가? - 포항공대 물리학과 이성익 교수 씀 2) http://members.tripod.lycos.co.kr/mulsamo/h4.html : 초전도란 어떤 현상인가 3) http://chemie.skku.ac.kr/~esson/chem/super.html : 초전도란? 4) 초전도 실험실 연구소 부산대학교 고온초전도 연구실 : http://home.pusan.ac.kr/~supercon/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초전도 연구실 : http://supercon.snu.ac.kr/ 연세대학교 초전도응용연구실 : http://superlab.yonsei.ac.kr/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초전도 연구단 : http://www-psc.postech.ac.kr/ 한국 표준과학연구원 - 초전도그룹 : http://krissol.kriss.re.kr/quantum/supercon/k360.html 2. 상용화 되고있는곳 1)http://www.cast.re.kr/proj_list/D-A-1.htm : 초전도 모터 시스템 및 운용기술 개발 2) http://www.ener-tech.co.kr/1.html : 초전도 케이블 , 초전도 모터 기사내용 3) http://152.99.129.80/etcib/text/MOCIE/pol/pol_26.htm : 초전도체 공동연구 기반구축 4) http://serc.keri.re.kr/Korean/group-soge.htm : 산화물계 고온초전도체 발견 시기인 1986년부터 극저온재료연구실에서 저온 및 초전 도재료연구를 시작하였으며 1989년 초전도연구실로 조직개편한 후 극저온저항케이블 개발 연구부터 본격적인 응용연구를 시작하여 산화물계 고온초전도코일을 개발한 현재 에 이르기까지 10여년 이상의 연구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현재 MRI/NMR등 같은 산업응용, 발전기, SMES, 케이블등과 같은 초전도 전력응용 그리고 NbTi, Nb3Sn, Bi 게, TI계 초전도선재등과 같은 초전도재료분야에서도 이들 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한 연 구를 하고 있다.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02-09-10- 0
직접적인 답변은 아닙니다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첨부한 URL을 참조해주세요. 들어가보시면, 연구자들 이메일도 나옵니다. 개별적으로 contact을 해보 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답변
박덕근님의 답변
2002-09-11- 0
>초전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론과 현재 상용화가 되고 있는곳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초전도란 특정한 온도이하에서 전기저항이 없어지거나 외부자기장을 배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기저항이 0 이되면 전력손실이 없어지기 때문에 한번 가해준 전류가 계속적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자기장을 배척하기 때문에 자기부상이 일으날 수 있습니다. 전기저항이 없으므로 높은 전류를 가하여도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매우큰 자기장이 필요한 곳이나 전기를 저장하여야 하는곳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인터넷의 관련 사이트나 전문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