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0-16
org.kosen.entty.User@f54599e
강은구(river09)
- 7
일반적으로 먹는물중에서 인체에 나쁘게 미치는 물질들이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물
- 독성물질
- 정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7
-
답변
지상우님의 답변
2002-10-17- 0
>일반적으로 먹는물중에서 인체에 나쁘게 미치는 물질들이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이 너무 포괄적이네요. 먹는 물 기준을 참고 하시는 것이 나을 듯... 기준은 아래와 같고요. 필요하신 자료가 더 있으시면 연락 주세요. 먹는물의 수질기준(제2조제1항관련) 1. 미생물에 관한 기준 가. 일반세균(표준한천 배지내에서 성장하여 집락을 형성할 수 있는 중온성균을 말한다)은 1㎖중 100CFU(Colony Forming Unit)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의 경우 저온일반세균은 20CFU/㎖, 중온일반세균은 5CFU/㎖를 넘지 아니하여야 하며, 먹는샘물의 경우 병에 넣은 후 4℃를 유지한 상태에서 12시간이내에 검사하여 저온일반세균은 100CFU/㎖, 중온일반세균은 20CFU/㎖를 넘지 아니할 것 나. 대장균군(젖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그람음성, 무포아성 간균으로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을 말한다)은 50㎖(샘물 및 먹는샘물의 경우 250㎖)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 다. 분원성연쇄상구균·녹농균·살모넬라 및 쉬겔라는 250㎖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샘물 및 먹는샘물의 경우에 한한다) 라. 아황산환원혐기성포자형성균은 50㎖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샘물 및 먹는 샘물의 경우에 한한다) 마. 여시니아균은 2ℓ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먹는물공동시설의 경우에 한한다) 2.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에 관한 기준 가. 납은 0.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나. 불소는 1.5㎎/ℓ(샘물 및 먹는샘물의 경우 2.0㎎/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 비소는 0.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라. 세레늄은 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마. 수은은 0.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바. 시안은 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사. 6가크롬은 0.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아. 암모니아성질소는 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자. 질산성질소는 10㎎/ℓ를 넘지 아니할 것 차. 카드뮴은 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카. 보론은 0.3㎎/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먹는샘물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가. 페놀은 0.0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나. 총 트리할로메탄 및 클로로포름은 각각 0.1㎎/ℓ, 0.08㎎/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클로로포름의 수질기준은 샘물·먹는샘물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물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 다이아지논은 0.02㎎/ℓ를 넘지 아니할 것 라. 파라티온은 0.06㎎/ℓ를 넘지 아니할 것 마. 말라티온은 0.2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바. 페니트로티온은 0.04㎎/ℓ를 넘지 아니할 것 사. 카바릴은 0.07㎎/ℓ를 넘지 아니할 것 아. 1.1.1-트리클로로에탄은 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자.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은 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차. 트리클로로에틸렌은 0.03㎎/ℓ를 넘지 아니할 것 카. 디클로로메탄은 0.02㎎/ℓ를 넘지 아니할 것 타. 벤젠은 0.01㎎/ℓ를 넘지 아니할 것 파. 톨루엔은 0.7㎎/ℓ를 넘지 아니할 것 하. 에틸벤젠은 0.3㎎/ℓ를 넘지 아니할 것 거. 크실렌은 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너. 1.1-디클로로에틸렌은 0.03㎎/ℓ를 넘지 아니할 것 더. 사염화탄소는 0.002㎎/ℓ를 넘지 아니할 것 4.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가. 경도는 300㎎/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은 10㎎/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 냄새와 맛은 소독으로 인한 냄새와 맛 이외의 냄새와 맛이 있어서는 아니될 것 라. 동은 1㎎/ℓ를 넘지 아니할 것 마. 색도는 5도를 넘지 아니할 것 바. 세제(음이온계면활성제)는 0.5㎎/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및 먹는샘물의 경우에는 검출되지 아니할 것 사. 수소이온농도는 pH 5.8 내지 8.5이어야 할 것 아. 아연은 1㎎/ℓ를 넘지 아니할 것 자. 염소이온은 250㎎/ℓ를 넘지 아니할 것 차. 증발잔류물은 500㎎/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먹는샘물의 경우에는 미네랄 등 무해성분을 제외한 증발잔류물이 500㎎/ℓ를 넘지 아니할 것 카. 철 및 망간은 각각 0.3㎎/ℓ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타. 탁도는 1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수돗물의 경우에는 0.5NTU를 넘지 아니할 것 파. 황산이온은 200㎎/ℓ를 넘지 아니할 것 하. 알루미늄은 0.2㎎/ℓ를 넘지 아니할 것 -
답변
강은구님의 답변
2002-10-17- 0
답변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추가 질문인데 혹시 아시는 내용이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내용중에 혹시 그 유해성분에 대한 자료도 중요하지만, 그 유해성분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무엇이여, 저희가 일반적으로사용하는 정수기나 연수기는 그 중 무엇 을 주로 걸러주는지에 대한것이 좀 궁굼합니다. 바쁘신줄 알지만 답변을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지상우님의 답변
2002-10-18- 0
아무래도 모두 말씀드리기가 곤란하네요. 유독물질이 너무 많으니까요. 환경부(http://www.me.go.kr/)에 가셔서 정보창고의 유독물 정보에서 찾아보시면 필요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혹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부분이 있으시면 해당 물질에 대해서 문의해 주시는게 답변이 쉬울 듯 하네요. -
답변
지상우님의 답변
2002-10-18- 0
우선 연수기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죠. 물을 구분하는 방식은 여러가지인데 그중 일반적으로 경수(硬水)와 연수(軟水)로 구분 됩니다. 경수(硬水: Hard Water)란 쉽게 물분자속에 석회염,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 구리, 그리고 다른 수많은 무기 미네랄(inorganicminerals)과 화학물질 등이 농축된 것으로 센물이라고 표현합니다. 원인은 ① 대기중에서 배기가스,공장배출가스,CaCO3(중탄산염)의 오염물질흡착 ② 지표면의 흙에서 금속성 및 오염물질을 흡착 ③ 물분자와 오염분자의 결합, 환원등으로 발생되며 이를 경도(硬度)라고 합니다. 오염 측정 단위는 ppm이고, 오염 무게 단위는 Grains로 표시합니다. 연수(軟水: Soft Water)란 물의 생성시 자연상태의 순수한 자체를 말하며 단물이라도 표현합니다. ① 대기 상층부에서 분자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물 ② 인위적으로 만든 물 - R.O(역삼투압), 증류수 등은 모두 연수겠죠. 자연 상태의 물이 오염되어 많은 경도를 포함하게 되면 식물은 삼투압에 의해 자기 변화를 만들지만 동물은 그들을 피할 길이 없습니다. 동물들은 이로 인하여 생활과 생명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 중 하나가 연수장치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경수를 연수화하는 것입니다. 물론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금속은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주진 않습니다. 주로 공업용수로 사용시 기계를 부식시킨다던가, 기계에 이물질을 끼게만드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죠. 또 경수라고해서 무조건 인체에 나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약수들도 경수고, 온천수도 경수거든요. 즉, 광천수라는 것들이 다 경수죠. 경수내에 납, 구리 또는 유해 화학물질이 있는경우엔 인체에 해롭게 되는 거죠. 연수기나 정수기나 원 는 비슷하고 이런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목적도 같습니다. -
답변
김정화님의 답변
2002-10-21- 0
안녕하십니까? KOSEN 입니다. 수질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수공학연구실에서 발췌한 내용을 적어드리겠습니다. 생물은 먹이 사슬에 의하여 체내에 들어 있던 유족 물질이 다른 생물로 이전되어 축적되는데 , 이를 생물 축적이라고 한다. 독성 물질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어떤 경로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면 어느 정도는 배출되어 균형이 유지된다. 그러나 계속 섭취하는 경우에는 섭취와 배설의 균형이 깨져 주요 장기를 중심으로 발병하게 되어 심지어는 죽기 까지 한다. 이렇게 볼 때 마시는 물도 중요하지만 음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겠다. 민물이나 연안에서 잡히는 물고기나 조개 등을 먹을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청된다. 물을 마심으로 사람의 몸에 오염 물질이 축적되는 양보다 오염된 물고기 등을 섭취함으로써 사람의 몸으로 이동되어 축적되는 양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1. 납 납이 다량으로 몸 속에 들어오면 급성 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최근에는 물에 들어 있는 양보다는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공기 중의 납 농도 증가가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기 위하여 사산화납을 사용하기 때문에 납이 배기 가스에 함께 나온다. 납은 골수의 생성을 방해하며 중독되면 두통, 정신 착란, 빈혈, 안색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수돗물에서 미량이 검출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송수관로의 부식 등이 그 원인이 되나 건강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 납 성분을 매일 5 - 10mg씩 3 - 4주간 흡수하게 되면 중독되어 발병한다. 2. 페놀류 페놀이 수도용 원수에 들어가게 되면 소독에 쓰이는 염소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클로로페놀이 형성되며 페놀의 300~500배의 불쾌한 냄새를 낸다. 페놀 자체는 1ppm에서는 냄새를 맡을 수 없으나 클로로페놀은 0.002ppm에서도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이의 독성은 중추 신경에 독 작용을 미친다. 많은 양이 흡수되었을 때에는 소화기계의 점막 외에도 구토, 경련 등의 급성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이로 인하여 1976년 일본 동경에서는 큰 소동이 일어났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1991년 3월 낙동강 상류 지역에 페놀이 흘러 들어 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은 수질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3. 유기인 농약 중에 파라티온, 메틸파라티온, 이피엔 등에 유기인이 들어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하다. 중독 증세는 두통, 전신 권태, 현기증, 시력 감퇴, 언어장애, 전신 경련 등을 일으키며 심하면 죽기까지 한다. >일반적으로 먹는물중에서 인체에 나쁘게 미치는 물질들이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변
김정화님의 답변
2002-10-21- 0
안녕하십니까? KOSEN 입니다. 관련되는 자료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 1부. 수질오염 개론 수질오염 개요 수질오염 측정 공장폐수 수질오염 예방 대책 제 2부. 수질오염과 오염물질 무엇이 수질오염인가? 수질오염의 원인 수질오염의 범주 수질오염의 지표 수질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으로 먹는물중에서 인체에 나쁘게 미치는 물질들이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변
김정화님의 답변
2002-10-21- 0
안녕하십니까? KOSEN 입니다. 정수기의 종류를 자세히 설명해 놓은 Site가 있어 안내해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회원님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답변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추가 질문인데 혹시 아시는 내용이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내용중에 혹시 그 유해성분에 대한 자료도 중요하지만, >그 유해성분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무엇이여, 저희가 일반적으로사용하는 정수기나 연수기는 그 중 무엇을 주로 걸러주는지에 대한것이 좀 궁굼합니다. 바쁘신줄 알지만 답변을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