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2-26
org.kosen.entty.User@6648a53
김헌곤(mercury68)
- 2
단분자 유기EL 재료의 이온화에너지, 전자친화력, 정공수송능력, 전자수송능력등을 측정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OLED
- Ionization energy
- spectroscop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보순님의 답변
2003-03-02- 0
Please refer the following website to find information http://www.research.ibm.com/journal/rd/451/alvarado.pdf http://www.cityu.edu.hk/cosdaf/journal/TSF363-00178.pdf http://hsbpc1.ikf.physik.uni-frankfurt.de/publications/files/Weber-Nature-2000.pdf http://netserv.ipc.uni-linz.ac.at/~dieter/DsWeb/Lit/Nature/Nature405(00)661_Meerh.pdf >단분자 유기EL 재료의 이온화에너지, 전자친화력, 정공수송능력, 전자수송능력등을 측정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 >가능하다면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답변
김기범님의 답변
2007-12-14- 0
>단분자 유기EL 재료의 이온화에너지, 전자친화력, 정공수송능력, 전자수송능력등을 측정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 >가능하다면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질문 올리신지가 오래되어 아직도 궁금해 하실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는데로 설명을 해 올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온화 에너지, 전자친화력 유기 반도체의 이온화에너지(금속, 반도체의 경우 일함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는 Kelvin prove, Cyclic voltametry, Photoelectron Spectroscopy등이 있습니다. Kelvin prove는 일함수를 알고 있는 기준재료(일반적으로 Au)를 사용한 전극에 대한 상대적인 전위차를 이용하여 일함수를 측정합니다. Cyclic voltametry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과 참조전극을 cell에 담근 다음 그 산화/환원준위를 이용하여 측정을 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직접 써본 경험이 있는 것은 Photoelectron Spectroscopy (UPS 또는 PYS, AC-2장비)인데 이 경우가 가장 측정은 어렵지만 신뢰성있는 결과를 줄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친화력 Electron Affirnity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3가지 방법중의 한 가지로 일함수를 측정한 다음에 흡수측정들으로 측정한 Optical band gap만큼의 숫자를 뺄셈하여 LUMO (무기반도체에서는 CBM)을 계산합니다. 하지만 유기반도체의 경우는 이 경우 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다른 요인이 있습니다. 중성분자 상태에서 측정한 Eopt가 실제 캐리어가 주입된 상태의 transport gap과는 다르기 때문이죠.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역광전자 분광법 (IPES or BIS)이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시료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시료로 부터 발생하는 포톤을 관측하는 방법입니다. 2. 정공수송능력, 전자수송능력 결국 유기반도체 재료의 carrier mobility를 어떻게 측정할 까 하는 문군요. 무기반도체의 경우는 Hall effect를 이용한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히 측정이 가능합니다만 유기반도체의 경우는 TOF(Time of flight)법을 이용하거나 transient EL특서을 측정하여 이동도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측정방법입니다만 후자의 경우는 발광성을 가지는 재료가 아니면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소자구조를 만들었을때 전하주입이 아주아주아주 좋은 재료가 있다면 다이오드 구조를 만든다음 얻어진 I-V 곡선을 이용해서 -ohmic컨택이 형성된 경우- SCLC fitting을 통해 계산할 수도 있겠습니다. 아니면 TFT구조를 만들고 이 결과로 부터 이동도를 계산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