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2-26
org.kosen.entty.User@55f56a5d
김재은(kje3741)
- 1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대학교 응용화학부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실험 셋팅 중에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부적절한 질문일지라도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은 물 속에서 아주 짧은 시간(us정도)동안 전류를 흘리고 긴 시간(ms)정도 전류를 흘리지 않는것을 반복하면서 전기장을 걸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대체적으로 20-100 Hz정도의 frequency로 전류를 흘립니다.(걸어준 전압은 10 kV이상의 고전압이고 측정 전류는 0.1 mA이하) 저는 이러한 장치를 최근에 물 속에 있는 미생물을 소독하는 용도로 쓰는 것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1. 전극을 부도체인 물질로 싸거나 도체인 물질로 감쌀 때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가 어떻게 바뀌는지요?
전극이 노출되어 있을때와 똑같을까요?
2. 스텐리스스틸 전극을 썼을 때 전극의 마모 정도가 어떤 정도인지요?
만약에 박테리아가 많은 용액에 전극을 잠깐(수 초간) 넣어서 실험할
경우에 박테리아가 전극표면에 붙어서 전극이 제구실을 못할 수도 있
을까요? 대부분의 박테리아들은 음전하를 띠고 있습니다.
- pulsed electric field
- inactiv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3-03-11- 0
지난번 저한테 메일 보내셨던 분 갔네요. 간단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1. 고전압 펄스 전기장 살균(미생물을 죽이는 것을 소독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살균이나 멸균이라는 말로 쓰고 있습니다.)에 있어서 전극을 부도체로 감싸게 되면 아무리 높은 전기장을 걸더라도 제대로된 전기장의 형성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체로 감싼다는 이야기는 어떤 것을 이야기 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살균 실험시에 흔히 사용하는 전극이 스테인레스(sus 전극)이나 탄소전극등 기본적으로 도체 물질로 된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스테인레스 전극을 사용하였을 경우 전극 자체는 큰 마모가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고전압 펄스 전기장 실험시에 대개는 DC를 사용합니다. 흔히 생각하기를 미생물이 전극에 붙어 살균 효과가 줄어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렇지는 않구요. 다른 쪽으로 본다면 미생물 균체수가 많아질 경우 서로 shielding효과에 의해 살균효과가 떨어진다고 하는 학자들의 주장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실제 살균을 해 보았을 경우 미생물의 살균시에 균체 농도에 따른 살균 실험을 해보았을 경우 거의 살균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참 하나 참조하실 것은 대부분 미생물을 다루어 보지 않으신 분들이 살균 실험을 할경우 초기 균체 농도에 대비하여 살균율이 90%니 99%니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는 의미 없는 숫자로 미생물의 살균시에는 log수를 사용하여 1 log, 2 log 이런식으로 살균율을 표시합니다. 대부분의 살균 실험에서 유효치는 3-4 log이상을 기준을 하며, 이는 99.99%이상이 되어야 된다는 것이겠지요. 기타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다시 메일 띄워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대학교 용화학부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실험 셋팅 중에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부적절한 질문일지라도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전압 펄스 전기장은 물 속에서 아주 짧은 시간(us정도)동안 전류를 흘리고 긴 시간(ms)정도 전류를 흘리지 않는것을 반복하면서 전기장을 걸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대체적으로 20-100 Hz정도의 frequency로 전류를 흘립니다.(걸어준 전압은 10 kV이상의 고전압이고 측정 전류는 0.1 mA이하) 저는 이러한 장치를 최근에 물 속에 있는 미생물을 소독하는 용도로 쓰는 것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1. 전극을 부도체인 물질로 싸거나 도체인 물질로 감쌀 때 >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가 어떻게 바뀌는지요? > 전극이 노출되어 있을때와 똑같을까요? > >2. 스텐리스스틸 전극을 썼을 때 전극의 마모 정도가 어떤 정도인지요? > 만약에 박테리아가 많은 용액에 전극을 잠깐(수 초간) 넣어서 실험할 > 경우에 박테리아가 전극표면에 붙어서 전극이 제구실을 못할 수도 있 > 을까요? 대부분의 박테리아들은 음전하를 띠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