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3-14
org.kosen.entty.User@360f7669
김현중(wave61)
- 1
LED중 백색광의 원리와 현재 기술수준 및 상용화정도
그리고 형광등이나 백열등대신 쓸수있는 기술수준은 되는지요
- L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omvpe님의 답변
2005-10-13- 0
>LED중 백색광의 원리와 현재 기술수준 및 상용화정도 >그리고 형광등이나 백열등대신 쓸수있는 기술수준은 되는지요 백색광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하나는 형광물질 (phosphorous)와 청색, 자외선 계열의 LED를 사용하여 백색광을 만드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가지 장 단점이 있는데, 현재의 연구 동향은 형광물질과 단색 LED를 사용하여 백색광을 만드는 곳에 촛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LED는 파장폭이 좁아 단일 파장이라고 할 수 있는 빛을 내는데, 청색이나 자외선이 형광물질을 통화하면서 노란색 계열의 빛으로 어느정도 변환이 됩니다. 즉, 청색의 단일 파장대에서 청색과 노란색 등의 복수 파장대의 스펙트럼을 내도록 하는 것이지요. 이 때 변환 효율이 큰 문제가 되며, 효율이 높도록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형광물질을 개발하고 LED 파장을 좀 더 짧게 가져기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LED는 보통 AlGaInN 계열을 사용하는데 청색의 효율이 가장 높고 UV 계열로 파장이 짧아질 수록 효율이 떨어져 이 짧은 파장대에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백색광의 목적은 보통 실내등을 대체하기 위한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을 내는 것인데, 형광등의 경우 따뜻한 백색, 차가운 백색이 있듯이 백색광이 자연광에 가깝도록 재현하는 것이 쉽지많은 않습니다. 또한 형광등과 백열등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효율 뿐만 아니라 가격이 낮아져야 합니다. 현재 효율은 백열등에 필적하는 수준까지 향상되어 있고, 가격은 사용 가능 기간을 고려하여도 LED 백색광이 비쌉니다. LED 백색광의 개발은 LED illumination과 함께, UV LED, Blue LD 등과 맞물려 있는 연구 분야입니다. LED 백색광이 실내 조명을 대체하게 되면 에너지 절약, CO2 가스 배출 감소, 수은 등의 사용 감소 등, 환경적으로도 많은 혜택이 있을 것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