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6-25
org.kosen.entty.User@3255e8fe
이광섭(gamza75)
- 1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혼화재로써 공기연행제가 쓰이고 있는데 이중에 음이온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쓰이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공기연행제로써 쓰임에 있어서의 공기함량 측정 분석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surfactant
- air entraining agent
- concre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도정윤님의 답변
2006-09-14- 0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혼화재로써 공기연행제가 쓰이고 있는데 이중에 음이온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쓰이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공기연행제로써 쓰임에 있어서의 공기함량 측정 분석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상당히 오랜 시간이 흘른 질문이라 질문자께서 읽으실려나 모르겠네요. 시멘트/콘크리트는 대개 무기성 재료로써 무기성 재료가 가지는 한계와 단점이 있기에 이를 개질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유기계의 혼화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콘크리트의 개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크게 혼화재료라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에 따라 혼화제(chemical agent)와 혼화재(admixutre)로 구분됩니다. 공기연행제(Air entrainer)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Surface-active agent)는 혼화제에 포함되겠지요. 시멘트/콘크리트의 개질용으로 사용되는 혼화제로는 AE제, AE감수제, 감수제, 고성능감수제, 고유동화제 등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계면활성작용에 의해 성능개질이 이뤄집니다. 이 중에서 AE제의 화학성분은 천연수지의 염류, 합성세제계 물질, 단배성 물질 등으로 분류 되고, 감수제와 AE감수제는 리그닌설폰산계, 옥시카르복실산염류계, 멜라민설폰산염계, 폴리카르폭실염계 등으로 구성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최신 콘크리트 공학이나, 콘크리트 혼화재료 책을 보시면 자세하게 특성이 설명되어 있답니다.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시멘트/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방법이 KS규격에 나와 있으므로 이에 준하여 측정이되므로 KS규격을 찾아보시면 쉽게 아실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