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1-05
org.kosen.entty.User@2de7b59f
박종원(pjwojs)
- 3
게르마늄(Ge)과 비스무트(Bi) 약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순수한 것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물론 밀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한가지 문제는 양이 너무 적어서
부피를 측정하기에 문제가 있습니다.
혹시 간단한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시는 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소량일지라도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 Mixture
- Germanium
- Bismuth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좌상옥님의 답변
2003-11-06- 0
>게르마늄(Ge)과 비스무트(Bi) 약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순수한 것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 >물론 밀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한가지 문제는 양이 너무 적어서 >부피를 측정하기에 문제가 있습니다. > >혹시 간단한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시는 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소량일지라도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양이 상당히 작다고 하니까 부피로 정량분석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것 같고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분석을 한번 해 보시는게 어떨지. 이 장비는 원소의 정량및 정성분석을 하는 것으로 전자현미경(SEM)에 대부분 장착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전자현미경이 상당히 많이 보급되어 있어서 왠만한 대학의 재료 관련학과나 각지역에 있는 기초과학연구소 같은데 의뢰 하시면 이용가능하리라고 생각됩니다마, 참고가 되셨기를... -
답변
좌상옥님의 답변
2003-11-07- 0
앞서제안 드린 EDAX분석이나 EPMA분석에도 나름대로 한계가 있습니다. 국부적인 mapping이 아니고 전체적인 재료의 구성원소들을 ppb단위까지 분석하고 싶으실 경우에는 ICP-MS분석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순도란 개념은 조금 막연한것 같군요. 예를 들어 99.9(3N)인지 99.999(5N)인지... -
답변
정경택님의 답변
2003-11-07- 0
미량분석이고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의 샘플내 분산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납니다. 통상적으로 EDX는 0.5~1wt%의 분석이 가능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EPMA, EELS 분석을 하시면 mapping 이 가능합니다. 분석물 117730 (나노크기 분말의 혼합 및 특성분석 방법 평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