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요청]LCD용 BackLight unit에 관하여

LCD에 사용되는 BLU(Backlight unit)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과 제조공정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BLU
  • LC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류근호님의 답변

    >LCD에 사용되는 BLU(Backlight unit)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과 제조공정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www.finednc.com : 백라이트 리플렉터 생산업체 www.eic.re.kr : 전반적인 학술자료 풍부 위의 두 번째를 뒤져보면 자료가 많이 나올 것입니다.
    >LCD에 사용되는 BLU(Backlight unit)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과 제조공정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www.finednc.com : 백라이트 리플렉터 생산업체 www.eic.re.kr : 전반적인 학술자료 풍부 위의 두 번째를 뒤져보면 자료가 많이 나올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경호님의 답변

    Backlight의 구조를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광원(Lamp) : CCFL,EEFL,LED 램프리플렉터(Lamp Reflector) : Ag도금SUS 및 AlSUS 리플렉터 Sheet : 광원과 램프 리플렉터 및 도광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줍니다. 위쪽으로.. LGP (Light Guide Panel) : 기존 방식 --> 인쇄방식 PMMA 나 투명 PC 판에 패턴을 인쇄해 놓습니다. 최근 방식 --> 도광판 사출시 무인쇄 방식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1. Core 방식 : V-CUT방식, Laser, Etching, Micro Blasting, Prism 가공 2. Stamper방식 : 무전해 NIKEL도금 방식(Electro forming), V-cut, Laser, Etching, Micro Blasting 3. LGP 방식 : Laser, V-cut 참고로 Core 방식이란, 금형에 LGP 사출시 기존 인쇄방식은 경면Core를 이용하며 2차공정으로 인 쇄라는 공정이있습니다. 그런데 이젠 인쇄공정없이 바로 시사출시 LGP에 패턴이 생기는 방식을 말하지요.. Core는 약 20~40T 정도를 사용하고요, Stamper는 0.3T에서 약 2T 까지 사용합니다. LGP는 경면 LGP에 직접 가공방식으로 소량일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휘도가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단, 대량양산시 생산성에 품질에 문제가 많습니다. Backligh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LGP 입니다. 그다음 LGP위에 확산 Sheet가 놓여지고요.. 그다음 Prism sheet가 수직 수평으로 놓여져 휘도를 90도 방향으로 올려준답니다. 최근에는 Prism LGP를 사용하고, 역프리즘 Sheet를 이용하여, Sheetless 개념으로 개발중에 있습 니다. 백라이트 업체 모두 이것에 모두 혈안이 되어있지요. 하지만 현재 일본과 거의 동등수준으로 되었지만 외관 및 사소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Backlight의 구조를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광원(Lamp) : CCFL,EEFL,LED 램프리플렉터(Lamp Reflector) : Ag도금SUS 및 AlSUS 리플렉터 Sheet : 광원과 램프 리플렉터 및 도광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켜 줍니다. 위쪽으로.. LGP (Light Guide Panel) : 기존 방식 --> 인쇄방식 PMMA 나 투명 PC 판에 패턴을 인쇄해 놓습니다. 최근 방식 --> 도광판 사출시 무인쇄 방식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1. Core 방식 : V-CUT방식, Laser, Etching, Micro Blasting, Prism 가공 2. Stamper방식 : 무전해 NIKEL도금 방식(Electro forming), V-cut, Laser, Etching, Micro Blasting 3. LGP 방식 : Laser, V-cut 참고로 Core 방식이란, 금형에 LGP 사출시 기존 인쇄방식은 경면Core를 이용하며 2차공정으로 인 쇄라는 공정이있습니다. 그런데 이젠 인쇄공정없이 바로 시사출시 LGP에 패턴이 생기는 방식을 말하지요.. Core는 약 20~40T 정도를 사용하고요, Stamper는 0.3T에서 약 2T 까지 사용합니다. LGP는 경면 LGP에 직접 가공방식으로 소량일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휘도가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단, 대량양산시 생산성에 품질에 문제가 많습니다. Backligh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LGP 입니다. 그다음 LGP위에 확산 Sheet가 놓여지고요.. 그다음 Prism sheet가 수직 수평으로 놓여져 휘도를 90도 방향으로 올려준답니다. 최근에는 Prism LGP를 사용하고, 역프리즘 Sheet를 이용하여, Sheetless 개념으로 개발중에 있습 니다. 백라이트 업체 모두 이것에 모두 혈안이 되어있지요. 하지만 현재 일본과 거의 동등수준으로 되었지만 외관 및 사소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