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임베디드 시스템설계에 대해서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mbedd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류근호님의 답변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임베디드 시스템 : CPU 가 들어간 보드(PCB) 설계 * VLSI 설계 : 칩 설계 완전히 다른 세계임.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임베디드 시스템 : CPU 가 들어간 보드(PCB) 설계 * VLSI 설계 : 칩 설계 완전히 다른 세계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형신님의 답변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과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그럼 열심히 하세요.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과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그럼 열심히 하세요.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미진님의 답변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과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과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미진님의 답변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 이상 물어도 괜챦습니다. > >unix를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unix는 다소 줄어든 추세이지만 >리눅스도 사실상 유닉스에 기초를 둔것이라고 할수 있기에 >unix 기반의 운영체제도 괜챦아 보입니다. >리눅스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세상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시면 임베디드를 위한 좋은 기초가 될 것입니다. >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 이상 물어도 괜챦습니다. > >unix를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unix는 다소 줄어든 추세이지만 >리눅스도 사실상 유닉스에 기초를 둔것이라고 할수 있기에 >unix 기반의 운영체제도 괜챦아 보입니다. >리눅스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세상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시면 임베디드를 위한 좋은 기초가 될 것입니다. >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형신님의 답변

    하나 이상 물어도 괜챦습니다. unix를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unix는 다소 줄어든 추세이지만 리눅스도 사실상 유닉스에 기초를 둔것이라고 할수 있기에 unix 기반의 운영체제도 괜챦아 보입니다. 리눅스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세상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시면 임베디드를 위한 좋은 기초가 될 것입니다.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하나 이상 물어도 괜챦습니다. unix를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unix는 다소 줄어든 추세이지만 리눅스도 사실상 유닉스에 기초를 둔것이라고 할수 있기에 unix 기반의 운영체제도 괜챦아 보입니다. 리눅스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세상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시면 임베디드를 위한 좋은 기초가 될 것입니다. >갑자기 놀랐습니다. 오래전일인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쪽에서는 운영체제 과목이 unix를 배운다고 하는데 관련이 있는지요? 이거 하나만 더 물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질문이 올라온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한번 써봅니다. >> >>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 >>VLSI와 연관이 적다고 할수 있구요, 좀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 >>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서 요즘은 SOC(시스템 온칩)을 많이 쓰거든요. >>그거 설계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Verilog 와 VHDL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할 때, 둘 중의 하나를 많이 쓰지요. >>물론 하드웨어설계 말입니다. >> >> >>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면, 일단은 그동안에 >>무얼 배웠는가가 중요한데요, >> >>대략, 1학년때 디지털 회로 설계, 논리회로 이런 목을 잘 들어야 하고요, >>2, 3학년때 C 언어 (비주얼 C++가 아님),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이렇게 >>3과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베디드 하려는 사람은 필수라고 봅니다. >> >>이 다음에는 옵션인데, 학교에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같은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참고로 저희 학교에서는 3학년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의도 있습니다. >> >>일단은 4학년이시니까 제일 중요한 과목을 한 개 뽑으라고 한다면 >>운영체제라고 봅니 > . 이거하나 최선을 다하세요. >>그리고 임베디드는 책 백날 봐야 헛거구요, 반드시 실습을 엄청 많이 >>해봐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정도 해보면 정말 좋습니다. >> >>그럼 열심히 하세요. >> >> >> >>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강님의 답변

    1. embedded system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터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자동차,가전,통신기기,장난감,항공기,스마트카드 등등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 반도체 설계가 한부분일 수 있지요. 그러나, 임베디드시스템은 소프트웨어의 지원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 verilog는 ASIC 설계뿐 아니라, FPGA 설계등 모든 디지털 전자회로 기술에 사용됩니다. 3. 앞으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양자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한쪽에 대한 이해만으로는 성공적 임베디드 시스템 엔지니어가 될 수 없습니다. 특히,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4. 공부를 위해서는 IDEC (idec.kaist.ac.kr).에서 제공되는 강좌를 들으면 상당한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한강좌에 2~3만원밖에 하지 않으므로 경제적 부담없이 양질의 강의를 대학교수들로 부터 수강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embedded system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터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자동차,가전,통신기기,장난감,항공기,스마트카드 등등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 반도체 설계가 한부분일 수 있지요. 그러나, 임베디드시스템은 소프트웨어의 지원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 verilog는 ASIC 설계뿐 아니라, FPGA 설계등 모든 디지털 전자회로 기술에 사용됩니다. 3. 앞으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양자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한쪽에 대한 이해만으로는 성공적 임베디드 시스템 엔지니어가 될 수 없습니다. 특히,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4. 공부를 위해서는 IDEC (idec.kaist.ac.kr).에서 제공되는 강좌를 들으면 상당한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한강좌에 2~3만원밖에 하지 않으므로 경제적 부담없이 양질의 강의를 대학교수들로 부터 수강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요즘 임베디드 설계라는 말을 자주 접하고 있는데 VLSI와는 전혀 다른분야인가요? 그 >리고 verilog language로 구현하는작업이 반도체 설계에서만 유용하게 쓰이나요? ASIC >을 설계할때만 쓰이는지 아니면 어디에 유용하게 쓰이는지 궁금해서요. 우선 C언어는 >모든 언어의 기본이라 배우고 있습니다. 이제 대학교 4학년생인데 뭔가를 계획하고 구 >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떤 잡지를 보니까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둘다 능통해야 >한다고 씌여져 있었습니다.1년동안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많은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방향을 잡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답 >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