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4-21
org.kosen.entty.User@2745fc02
임대환(sidnight)
- 2
1. 양자컴퓨터의 구조
2. 양자컴퓨터의 현주소
3. 앞으로 양자컴퓨터는 어떤식으로 발전하는가
4. 한국의 양자컴퓨터 기술은 어떠한가
5. 양자컴퓨터의 프로그래밍은 어떤식으로 되는가
6.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수준의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가
이 6개가 질문입니다.
맨날 뉴스에서 양자컴퓨터라고들 하는데... 정확한 정보를 구할 수 없어... 인터넷 뒤지다가
이 사이트 발견한 뒤 처음으로 올리는 질문입니다 +_+;
- quantum
- comput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한선화님의 답변
2004-04-22- 0
KOSEN reports에 "고전 및 양자론 측면에서 고찰한 정보와 계산"이라는 분석물이 있습니다. 분석자 서문에 의하면 이 자료는 정보 고전이론으로부터 시작하여 양자컴퓨팅과 알고리즘이나 코딩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양자 정보 분야에 대해 개괄적인 지식을 쌓는데 좋은 자료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양자컴퓨터"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해보면 2가지 자료가 더 나오는데,위 자료가 입문자에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2002년 10월 자료입니다. KOSEN Reports 메뉴에서 Analyst "이창용"을 키워드로 찾으시면 한결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1. 양자컴퓨터의 구조 >2. 양자컴퓨터의 현주소 >3. 앞으로 양자컴퓨터는 어떤식으로 발전하는가 >4. 한국의 양자컴퓨터 기술은 어떠한가 >5. 양자컴퓨터의 프로그래밍은 어떤식으로 되는가 >6.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수준의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가 > >이 6개가 질문입니다. > >맨날 뉴스에서 양자컴퓨터라고들 하는데... 정확한 정보를 구할 수 없어... 인터넷 뒤지다가 > >이 사이트 발견한 뒤 처음으로 올리는 질문입니다 +_+; -----------------------------7d4157390176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vc_file1"; filename="" 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7d4157390176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vc_file2"; filename="" 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7d4157390176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vc_file3"; filename="" 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7d4157390176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vc_reply" re -
답변
최병수님의 답변
2005-06-02- 0
1. 양자컴퓨터의 구조 양자컴퓨터의 구조와 관련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단계입니다. 학회를 통 털어서 약 4개정도의 학회에서 몇편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습니다. 한편 이 분야가 늦게 시작된 이유는 실제적으로 양자 컴퓨터를 구현하는 매우 기본적인 소자와 그 소자들을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기본 회로 등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이러한 기본 단계가 어느정도 해결이 되어야 그 상위 단계인 구조 수준까지 올라가는데, 아직까지는 기본조차도 무척 힘듭니다. 2. 양자컴퓨터의 현주소 물리학적 관점에서 양자컴퓨터의 기본 요소인 양자정보와 관련된 부분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양자 암호와 관련된 부분도 매우 간단한 구현 방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 또한 성장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러나, 나머지 분야는 속도가 더딘 편입니다. 3. 앞으로 양자컴퓨터는 어떤식으로 발전하는가 일단 현재는 양자정보라는 것을 토대로 어떤 일들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의 영역이 어디까지인지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어느정도 종료되면, 실제로 구현하는 형태로 이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큐빗이라는 개념적 연산 대상과 그 큐빗을 이용하는 양자알고리즘의 발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 될 것입니다. 4. 한국의 양자컴퓨터 기술은 어떠한가 나노기술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서 현재는 대학 기초 연구실 수준에서는 세계적 수준과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상용화 하는 연구를 해야 하는 기업체 등의 연구소에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입니다. 성공확률과 비용문제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기업체보다는 학계쪽에서의 연구가 더 폭넓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5. 양자컴퓨터의 프로그래밍은 어떤식으로 되는가 현재 프로그래밍 방법은 자신이 원하는 알고리즘을 몇개의 큐빗을 가지고서, 거기에 어떠 어떠한 연산 회로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결과가 어떻게 관측된다는 방식으로 접근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마치 컴퓨터가 맨 처음 나왔을때, 일일이 기계어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현재도 몇몇 연구자들은 양자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와 언어 설계및 컴파일러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6.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수준의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가 가상현실에 대해서는 많은 지식이 없습니다만, 가상현실에서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및 인식 관련 알고리즘 구현에 효과적이리라 생각됩니다. 양자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매우 많은 데이터를 거의 동시에 처리해서 그중에 원하는 답을 효과적으로 찾아냅니다. 이 과정은 기존의 고전컴퓨터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그 응용 분야는 대용량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적합하리라 생각됩니다. 한편, 이러한 예로써 인식 기술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한 신호 처리와 관련해서 양자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 경우 가상 현실에서 필요로 하는 신호 처리를 양적으로 처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