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4-23
org.kosen.entty.User@69380b3f
손창원(scw7256)
- 3
저는 생명공학에 관심이 많은 고3 학생입니다.
대학교도 생명 공학과에 갈려구 생각중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생명공학이란 학문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또한 생명공학도로써의 기본소양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과를 졸업한뒤 어떤일을 할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LIS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민식님의 답변
2004-04-28- 0
저는 삼성벤처투자에서 바이오/메디칼분야의 투자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박민식이라고 합니다. 학부때 생물학을 전공했고, 석,박사는 생물공학을 공부했습니다. 생명공학이란 생명공학기술 (Biotechnology)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정의됩니다. 기본이 되는 학문은 생물학, 유기화학, 생화학 등이며, 나아가 생물화학공학, 발효공학 등도 공부하게 됩니다. 진출할 수 있는 분야는 국공립/기업체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학계 등 다양합니다. 점차 IT와 NT와의 접목 분야도 확대되고 있으므로 주변 학문들도 관심있게 공부해 두면 가능성은 많다 하겠습니다. 참고로 두가지 관련 article 첨부합니다. 열심히 노력하셔서 훌륭한 생물공학자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저는 생명공학에 관심이 많은 고3 학생입니다. >대학교도 생명 공학과에 갈려구 생각중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생명공학이란 학문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또한 생명공학도로써의 기본소양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과를 졸업한뒤 어떤일을 할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변
윤규식님의 답변
2004-04-28- 0
안녕하십니까? 박사과정을 생물공학과에서 바이오센서에 관련된 연구를 했던 연구자 입니다. 생물공학의 정의가 조금씩 변해 가고 있습니다. 초기의 생물공학은 생물 물질을 대량 생산에 의미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유용한 생물 물질을 대량으로 만들기 위해 유전자를 조작하여 대장균에 이식하여 대량으로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후 바이오 센서라는 개념으로 질병 검출하는 센서 제작(당뇨병 검출을 위한 글루코스 센서)에 생물 공학 연구가 주류를 이룬 때가 있었습니다. 몇년 전 부터는 나노와 관련된 내용으로 나노 바이오 관련 연구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10-9 m(Nano) 크기의 생물 분자를 조합하고 결합하는 일에 생물공학 연구가 주류를 이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칩이라는 분야도 생물공학 내용이 있습니다. 각종 질병 검출 관련 센서, 환경 모니터링, 병원체 검사 등 응용분야가 많아 연구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반도체의 기술을 응용한 BioMEMS(바이오멤스) 분야가 연구 되기도 합니다. 10-6(마이크로)크기의 미세 구조물을 만들어 액체를 이동 시켜 각종 센서와 물질 분리를 하는 분야에 대한 연구 입니다. 마이크로플로이딕(Microfluidics)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대표적인 제품과 생산되어 상업화 되는 물건들은 많지 않습니다. 아직 제품에 대한 시장이 전자 제품과 같이 대량으로 생산되어 많은 사람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상업화가 진행이 되겠지요. 생물공학은 많은 응용분야가 있다는 것을 아시겠지요. 위의 나열한 연구 분야를 하기 위해서는 다방면의 공부가 필요합니다. 권하고 싶은 것은 생물공학과라 하더라도 꼭 생물 분야만 공부 해서는 위의 분야를 알 수가 없습니다. 바이오센서를 공부 하고 싶다면 물리학의 학을 더 열심히 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센서를 구성하는 부분은 광학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바이오멤스를 위해서는 유체 역학, 반도체 제작법, 광학, 표면처리 등등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나노바이오는 표면화학, 나노공학,생화학, 등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답변
임신혁님의 답변
2004-04-29- 0
광주 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입니다. 질문과 관련하여.. 생물학분야의 거의 모든 분야에 본인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열링 학문입니다. 기초 의학연구, 미생물, 동물, 식물 연구 부터 진단및 치료약 개발까지... 본인의 꿈이 위에서 열거항 분야에 있다면 얼마든지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학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