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4-23
org.kosen.entty.User@c77b47b
차경세(chaks99)
- 1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의공학 관련으로 혈관 내 유동해석에 관심이있습니다. 현재 이와 관련된 해외 연구 동향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emodynamics
- blood flow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중경님의 답변
2004-11-21- 0
첨부파일
- 1). 1121112337Blood flow in arteries(Ku,1997).pdf (0 KB)
- 2). 1121112337Fluid Mechanics of Vascular Systems, Diseases, and Thrombosis(Wootten,1999).pdf (0 KB)
- 3). 1121112337MASS TRANSPORT IN ARTERIES AND THE LOCALIZATION OF ATHEROSCLEROSIS(Tarbell,2003).pdf (0 KB)
- 4). 1121112337Fluid Mechanics of Vascular Systems, Diseases, and Thrombosis(Wootten,1999).pdf (0 KB)
-
1). 1121112337Blood flow in arteries(Ku,1997).pdf
(0 KB)
-
2). 1121112337Fluid Mechanics of Vascular Systems, Diseases, and Thrombosis(Wootten,1999).pdf
(0 KB)
-
3). 1121112337MASS TRANSPORT IN ARTERIES AND THE LOCALIZATION OF ATHEROSCLEROSIS(Tarbell,2003).pdf
(0 KB)
- 4). 1121112337Fluid Mechanics of Vascular Systems, Diseases, and Thrombosis(Wootten,1999).pdf (0 KB)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의공학 관련으로 혈관 내 유동해석에 관심이있습니다. 현재 이와 관련된 해외 연구 동향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이 올려져 있지 않아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동향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잘 모릅니다만, 2000년을 전후해서 혈류역학의 연구동향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과거의 연구가 거시적인 접근 방법이었다면, 최근에는 세포나 분자의 거동을 고려한 미시적인 접근법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향후 연구 방향도 혈관 내 유동의 물리적인 해석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요인을 고려한 multiscale & multiphysics modeling이 주를 이루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00년을 전후해서 출판된 이 분야의 review paper 몇 개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