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lOx 증착의 현장 판단법

PET film상에 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으로 AlOx를 약 10nm가량 증착한 제품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워낙에 증착층이 얇고 투명하여서, 증착이 된 부분과 증착이 되지 않은 substrate간의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현장에서 간단히 증착여부만 판단할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간단히 표면에너지차나 광학적인 방법들 중에 혹시 있을까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thin film
  • evaporation
  • PE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안치원님의 답변

    10nm 의 AlOx 막이 증착 되었는지 구분하는 방법은? TEM, AFM, X-ray (2theta = 1-5 degree)등을 이용하면 간단히 구분할 수 있겠지만, 현장에 그러한 장비가 없다면.. 언급하신대로, 표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할 것 같습니다. 물방울의 wetting 정도로 구분하실 수 있겠지만, 증착된 부분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곤란하겠지요. 용액에 수직으로 담그었다 천천히 꺼낼때 용액이 표면에 얼마나 딸려오는냐로 구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용액의 pH 값을 변화 시켜 주면 그 차이가 큰 경우를 발견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증착 표면 위에 다른 물질을 다시 코팅(용액법이나 evaporation 법 등)하는 경우에도 구분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lOx 막이 형성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코팅이 되는 물질을 찾아야 할텐데, 산화물의 경우(SiOx, TiOx, FexOy 등) 보다 선택적으로 코팅 될 가능성이 크겠지요.AlOx 막 표면의 -OH 기 와의 가수분해 반응을 이용. 구체적인 해결책이 못될지도 모르겠지만... 간단히 시도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PET film상에 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으로 AlOx를 약 10nm가량 > >증착한 제품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 >그런데 워낙에 증착층이 얇고 투명하여서, > >증착이 된 부분과 증착이 되지 않은 substrate간의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 >현장에서 간단히 증착여부만 판단할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간단히 > > >표면에너지차나 광학적인 방법들 중에 혹시 있을까요??? > >부탁드리겠습니다.
    10nm 의 AlOx 막이 증착 되었는지 구분하는 방법은? TEM, AFM, X-ray (2theta = 1-5 degree)등을 이용하면 간단히 구분할 수 있겠지만, 현장에 그러한 장비가 없다면.. 언급하신대로, 표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할 것 같습니다. 물방울의 wetting 정도로 구분하실 수 있겠지만, 증착된 부분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곤란하겠지요. 용액에 수직으로 담그었다 천천히 꺼낼때 용액이 표면에 얼마나 딸려오는냐로 구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용액의 pH 값을 변화 시켜 주면 그 차이가 큰 경우를 발견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증착 표면 위에 다른 물질을 다시 코팅(용액법이나 evaporation 법 등)하는 경우에도 구분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lOx 막이 형성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코팅이 되는 물질을 찾아야 할텐데, 산화물의 경우(SiOx, TiOx, FexOy 등) 보다 선택적으로 코팅 될 가능성이 크겠지요.AlOx 막 표면의 -OH 기 와의 가수분해 반응을 이용. 구체적인 해결책이 못될지도 모르겠지만... 간단히 시도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PET film상에 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으로 AlOx를 약 10nm가량 > >증착한 제품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 >그런데 워낙에 증착층이 얇고 투명하여서, > >증착이 된 부분과 증착이 되지 않은 substrate간의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 >현장에서 간단히 증착여부만 판단할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간단히 > > >표면에너지차나 광학적인 방법들 중에 혹시 있을까요??? > >부탁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서수형님의 답변

    제가 아는 지식내에서 의견을 드립니다. 매우 얇은 박막의 경우에는 두가지 정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엘립소미터라는 광학적 분석법이 있는데, 물질의 굴절율과 유전율 차에 의해 구분을 하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시뮬레이션과 병행), 이 분야에서 다양한 측정 경험과 기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한양대 안산캠퍼스 물리학과의 안일신 교수님이 계시니 문의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으며, 현장 분석법으로 적합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는 엑스선 반사법이 있는데, 엘립소 미터법과 같이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수행하며, 각 물질의 전자밀도 차로 판단이 가능하나, 현장에 사용하기에는 장비가 고가인 편입니다. 답변이 충분히 되셨길 바라며...
    제가 아는 지식내에서 의견을 드립니다. 매우 얇은 박막의 경우에는 두가지 정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엘립소미터라는 광학적 분석법이 있는데, 물질의 굴절율과 유전율 차에 의해 구분을 하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시뮬레이션과 병행), 이 분야에서 다양한 측정 경험과 기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한양대 안산캠퍼스 물리학과의 안일신 교수님이 계시니 문의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으며, 현장 분석법으로 적합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는 엑스선 반사법이 있는데, 엘립소 미터법과 같이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수행하며, 각 물질의 전자밀도 차로 판단이 가능하나, 현장에 사용하기에는 장비가 고가인 편입니다. 답변이 충분히 되셨길 바라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송인섭님의 답변

    혹시 이 제안이 맞을지 모르겠는데요, 그 전의 경험으로 볼 때, PET Bottle용 Preform의 성형상태를 검사할 때, 이 역시 투명품이므로 육안으로는 사출성형 시의 Melt 수지가 Cavity에 흘러들어간 상태를 판별할 방법이 없었으나, 그 당시 사용했던 기구가 편광판입니다. 편광판을 통하여 투명 수지를 보면 수지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태가 그 수지를 통과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며 상태의 차이를 보여 주므로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상.
    혹시 이 제안이 맞을지 모르겠는데요, 그 전의 경험으로 볼 때, PET Bottle용 Preform의 성형상태를 검사할 때, 이 역시 투명품이므로 육안으로는 사출성형 시의 Melt 수지가 Cavity에 흘러들어간 상태를 판별할 방법이 없었으나, 그 당시 사용했던 기구가 편광판입니다. 편광판을 통하여 투명 수지를 보면 수지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태가 그 수지를 통과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며 상태의 차이를 보여 주므로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헌준님의 답변

    몇 가지 생각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눈으로 색깔을 구분할 수 있으면 제일 간편하겠죠. PET위에서는 색차이가 별로 없다면 유리등 다른 reference기판을 같이 사용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잘 안보일 수도 있어요. 2. 물에 잠시 담궈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Oxide가 증착된 표면은 물이 골고루 묻어 ? 퍼지지만, 플라스틱은 hydrophobic하여 방울 방울 뭉칠 것 같기도 합니다. 3. Ellipsometer가 있다면 굴절율과 두께를 측정해보면 알겠지요. 4. Alphastep같은 surface profiler장비가 있다면 표면 단차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5. 또, 무슨 방법이 있겠지요...
    몇 가지 생각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눈으로 색깔을 구분할 수 있으면 제일 간편하겠죠. PET위에서는 색차이가 별로 없다면 유리등 다른 reference기판을 같이 사용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잘 안보일 수도 있어요. 2. 물에 잠시 담궈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Oxide가 증착된 표면은 물이 골고루 묻어 ? 퍼지지만, 플라스틱은 hydrophobic하여 방울 방울 뭉칠 것 같기도 합니다. 3. Ellipsometer가 있다면 굴절율과 두께를 측정해보면 알겠지요. 4. Alphastep같은 surface profiler장비가 있다면 표면 단차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5. 또, 무슨 방법이 있겠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함관식님의 답변

    여러분들이 도와주신데 감사드립니다. 일단 편광필름은 굉장히 효과적이였습니다. 편광필름 두장 사이에 제품(AlOx/PET)를 끼워서 관찰한 경우 AlOx 15nm정도에서 푸른색을, 12um PET의 경우 무색이 나타났습니다. 레퍼런스를 많이 만드는 것이 중요할듯합니다. 그외에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많이 나타났는데... 정리가 되는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들이 도와주신데 감사드립니다. 일단 편광필름은 굉장히 효과적이였습니다. 편광필름 두장 사이에 제품(AlOx/PET)를 끼워서 관찰한 경우 AlOx 15nm정도에서 푸른색을, 12um PET의 경우 무색이 나타났습니다. 레퍼런스를 많이 만드는 것이 중요할듯합니다. 그외에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많이 나타났는데... 정리가 되는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