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6-07
org.kosen.entty.User@654eae8e
주지훈(jin8300)
- 4
조언을 얻고자..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blood 샘플의 proteomics 2DE 분석은 red blood와 plasma 그리고 serum 등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이 database화 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rat의 경우에도 blood plasma를 연구하는 것이 더 포괄적으로 많은 proteins의 변화를 볼 수 있을거라 생각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 점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은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blood plasm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설희님의 답변
2004-06-11- 0
안녕하세요! Human의 경우는 지금 plasma를 가지고 proteome reference를 구축하고 있구요... 제가 알기로... rat의 D/B는 몰라도... rat serum proteome group이 있습니다. 저도 현재 serum in rat을 2-DE를 하고 있습니다. 일단 gel 상의 display는 잘 되구요... 현재 ID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tenork@hanmail.net으로 메일주세요 reference group의 address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조언을 얻고자..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제가 알기로는 blood 샘플의 proteomics 2DE 분석은 red blood와 plasma 그리고 serum 등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이 database화 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제 생각에는 rat의 경우에도 blood plasma를 연구하는 것이 더 포괄적으로 많은 proteins의 변화를 볼 수 있을거라 생각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이 점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은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답변
주지훈님의 답변
2004-06-11- 0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신영근님의 답변
2004-07-16- 0
저의 부족한 소견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혈액을 이용한 연구에서 serum, plasma, blood 중 어느 것이 좋은지 왜 좋은지는 연구대상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serum은 실험자가 조금 부주의하여 blood로 부터 재빨리 plasma를 생성하게 하지못하고 (12000 알피엠에서 원심분리 2-3분) 일정시간 (최소한 5분) 실온에 방치하였을?? 피브리노겐이 응고하여 생기게 됩니다. 이말은 실험자가 조금이라도 부주의할경우 또는 도와주는 분이 없이 혼자 혈액 채취 및 plasma조제를 같이 하다가는 자칫 blood에서 serum을 만들기 쉽상 인 것같습니다. (혈액응고를 방지할려면 헤파린 (또다른 단백질)이나 EDTA를 첨가해야하는데, 프로테오믹스하는 분들이 이런 방해물질이 시료에 다량 첨가되는 것을 초기에 아마 싫어햐셨겠죠..) 즉, 제 추측은 프로테오믹스 초기 연구에 아주 체계적인 연구가 아니라 rat을 이용하여 pilot test를 할경우에 부주의하게 serum이 많이 사용된 것 같고 (이론상 plasma와 serum은 피브리노겐솨 혈액응고관련 인자 유무차이입니다..), 나중에 체계적으로 휴먼 스터디를 할경우에는 이러한 점들을 많이 보완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냥 저의 소견이었습니다. >조언을 얻고자..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제가 알기로는 blood 샘플의 proteomics 2DE 분석은 red blood와 plasma 그리고 serum 등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의 database가 구축되어 있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이 database화 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인간의 경우 blood plasma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반면 rat의 경우 seru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제 생각에는 rat의 경우에도 blood plasma를 연구하는 것이 더 포괄적으로 많은 proteins의 변화를 볼 수 있을거라 생각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이 점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은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답변
주지훈님의 답변
2004-07-16- 0
^^ㅣ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