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접근방법?

안녕하세요. 저는 환경영향에 대한 통합모델 제안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의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measure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monte carlo simulation 입니다. 그 밖에는 pedigree matrix라는 준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최근 monte carlo simulation의 유용함에 흠뻑 빠져 있는 중 입니다. (MC를 위해 Crystall Ball이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적 접근방법 혹은 philosophy 등에 대한 좋은 입문서? 둘째, input data의 불확실성 및 model structure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분석도구? (MC 이외의) 셋째,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measure 하는 최신 연구동향? (approa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혹은 참고문헌) 여러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친절한 답변에 미리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 uncertainty
  • monte carlo simul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김태억님의 답변

    제가 알고 있는건 경제학에서의 개념적 논의에만 국한됩니다. 불확실성과 위험을 구분한 사람은 케인즈, knight, shackle 정도가 대표적인 논자들이구요.샤클의 경우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에만 평생을 바쳤습니다. 경제학에서 이 불확실성을 강좌는 학파는 포스트케인지안 학파 입니다. 대표저널은 journal of postkeynsian economics가 있습니다. 전자페이퍼를 읽고 싶다면, http://csf.colorado.edu/pkt/ 여기를 찾아보세요. 몬테카를로가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기법이라니 관심이 가네요. 테크니칼한건 말고, 개념적으로 이 기법에대해 소개된 웹사이트 있으면 알려주실래요?
    제가 알고 있는건 경제학에서의 개념적 논의에만 국한됩니다. 불확실성과 위험을 구분한 사람은 케인즈, knight, shackle 정도가 대표적인 논자들이구요.샤클의 경우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에만 평생을 바쳤습니다. 경제학에서 이 불확실성을 강좌는 학파는 포스트케인지안 학파 입니다. 대표저널은 journal of postkeynsian economics가 있습니다. 전자페이퍼를 읽고 싶다면, http://csf.colorado.edu/pkt/ 여기를 찾아보세요. 몬테카를로가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기법이라니 관심이 가네요. 테크니칼한건 말고, 개념적으로 이 기법에대해 소개된 웹사이트 있으면 알려주실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용님의 답변

    좋은 소개와 추천자료에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산업연관분석 등의) 경제분석모델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분을 혹시 알고 계시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MC에 대한 개략적 설명은 http://www.cbpredictor.com/monte-carlo-simulation.html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건 경제학에서의 개념적 논의에만 국한됩니다. 불확실성과 위험을 구분한 사람은 케인즈, knight, shackle 정도가 대표적인 논자들이구요.샤클의 경우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에만 평생을 바쳤습니다. 경제학에서 이 불확실성을 강좌는 학파는 포스트케인지안 학파 입니다. 대표저널은 journal of postkeynsian economics가 있습니다. 전자페이퍼를 읽고 싶다면, http://csf.colorado.edu/pkt/ >여기를 찾아보세요. > >몬테카를로가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기법이라니 관심이 가네요. 테크니칼한건 말고, 개념적으로 이 기법에대해 소개된 웹사이트 있으면 알려주실래요?
    좋은 소개와 추천자료에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산업연관분석 등의) 경제분석모델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분을 혹시 알고 계시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MC에 대한 개략적 설명은 http://www.cbpredictor.com/monte-carlo-simulation.html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건 경제학에서의 개념적 논의에만 국한됩니다. 불확실성과 위험을 구분한 사람은 케인즈, knight, shackle 정도가 대표적인 논자들이구요.샤클의 경우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에만 평생을 바쳤습니다. 경제학에서 이 불확실성을 강좌는 학파는 포스트케인지안 학파 입니다. 대표저널은 journal of postkeynsian economics가 있습니다. 전자페이퍼를 읽고 싶다면, http://csf.colorado.edu/pkt/ >여기를 찾아보세요. > >몬테카를로가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기법이라니 관심이 가네요. 테크니칼한건 말고, 개념적으로 이 기법에대해 소개된 웹사이트 있으면 알려주실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종환님의 답변

    Though the MC simulation is not my everyday toy, I know a bit of the approach and following is one of recent article that the questioner might use, though the journal may not easily accessible. Also, the same article may provide some reviews. ==========================================================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3 Oct;29(5):347-53. Related Articles, Links Use of Monte Carlo simulation to investigate uncertainty in exposure modeling. Semple SE, Proud LA, Cherrie JW.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Occupational Medicine, University of Aberdeen, Aberdeen, United Kingdom. sean.semple@abdn.ac.uk OBJECTIVES: This study used Monte Carlo (MC) simulation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on an exposure model and to determine whether a difference exists between two worker groups in a ceramic fiber manufacturing plant. METHODS: Data on work practices and conditions were gathered in interviews with long-serving employees. With the use of previously developed deterministic modeling techniques and likely distributions for model parameters, MC simulations generated exposure profiles for the two job titles. RESULTS: The exposure profiles overlapped considerably, although the average estimated exposure for one job was approximately double that of the other. Howeve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el parameters in the two jobs was considered,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estimates. CONCLUSIONS: Model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estimate exposure. Different work situations inevitably result in different exposure estima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such differences in estimated exposure between worker groups are simply the result of uncertainty with respect to the model parameters or whether they reflect real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group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MC simulation in helping define the uncertainty in deterministic model estimates.
    Though the MC simulation is not my everyday toy, I know a bit of the approach and following is one of recent article that the questioner might use, though the journal may not easily accessible. Also, the same article may provide some reviews. ==========================================================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3 Oct;29(5):347-53. Related Articles, Links Use of Monte Carlo simulation to investigate uncertainty in exposure modeling. Semple SE, Proud LA, Cherrie JW.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Occupational Medicine, University of Aberdeen, Aberdeen, United Kingdom. sean.semple@abdn.ac.uk OBJECTIVES: This study used Monte Carlo (MC) simulation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on an exposure model and to determine whether a difference exists between two worker groups in a ceramic fiber manufacturing plant. METHODS: Data on work practices and conditions were gathered in interviews with long-serving employees. With the use of previously developed deterministic modeling techniques and likely distributions for model parameters, MC simulations generated exposure profiles for the two job titles. RESULTS: The exposure profiles overlapped considerably, although the average estimated exposure for one job was approximately double that of the other. Howeve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el parameters in the two jobs was considered,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estimates. CONCLUSIONS: Model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estimate exposure. Different work situations inevitably result in different exposure estima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such differences in estimated exposure between worker groups are simply the result of uncertainty with respect to the model parameters or whether they reflect real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group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MC simulation in helping define the uncertainty in deterministic model estimate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황치옥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능력에 조금 부합되는 첫번째 질문에만 답하려고 합니다. 입문서는 아래의 웹사이트에 가셔서 첫 페이지에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http://hsel.inha.ac.kr/~chwang/Inha_lecture_docu/Spring2003/MC_Inha_lecture.pdf >안녕하세요. > >저는 환경영향에 대한 통합모델 제안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의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measure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monte carlo simulation 입니다. 그 밖에는 pedigree matrix라는 준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최근 monte carlo simulation의 유용함에 흠뻑 빠져 있는 중 입니다. (MC를 위해 Crystall Ball이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적 접근방법 혹은 philosophy 등에 대한 좋은 입문서? > >둘째, input data의 불확실성 및 model structure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분석도구? >(MC 이외의) > >셋째,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measure 하는 최신 연구동향? >(approa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혹은 참고문헌) > >여러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친절한 답변에 미리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능력에 조금 부합되는 첫번째 질문에만 답하려고 합니다. 입문서는 아래의 웹사이트에 가셔서 첫 페이지에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http://hsel.inha.ac.kr/~chwang/Inha_lecture_docu/Spring2003/MC_Inha_lecture.pdf >안녕하세요. > >저는 환경영향에 대한 통합모델 제안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의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measure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monte carlo simulation 입니다. 그 밖에는 pedigree matrix라는 준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최근 monte carlo simulation의 유용함에 흠뻑 빠져 있는 중 입니다. (MC를 위해 Crystall Ball이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적 접근방법 혹은 philosophy 등에 대한 좋은 입문서? > >둘째, input data의 불확실성 및 model structure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분석도구? >(MC 이외의) > >셋째,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measure 하는 최신 연구동향? >(approa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혹은 참고문헌) > >여러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친절한 답변에 미리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현중님의 답변

    몬테카를로는 환경영향평가에도 사용되는군요. 통상 금융공학의 선물거래등에 사용된는걸로 보았는데 머 요샌 학문간의 벽이 없으니까요. 환경영향평가라는 분야가 실증적이라기보다는 이론적인것이 많은부분을 차지하고 있더군요. 홈페이지는 삼성경제연구소의 포럼내에 금융공학포럼이 있는데 한번가보시죠(www.seri.org) 환경영향평가쪽은 잘아시겠지만 ISO14000규격중 제품에대한 지원 tool인 ISO14040~4043 까지가 아닌가요? 오래된 기억('97)이지만 저희 발전소의 전과정평가시 옆에서 구경한기억으로 Boustead Model DB 를 사용했답니다. 불확실성 제거의 가장좋은방법은 DB량이 필요한걸로 그 당시에 절감했는데...... 조금 방향이 틀렸는지도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 >저는 환경영향에 대한 통합모델 제안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의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measure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monte carlo simulation 입니다. 그 밖에는 pedigree matrix라는 준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최근 monte carlo simulation의 유용함에 흠뻑 빠져 있는 중 입니다. (MC를 위해 Crystall Ball이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적 접근방법 혹은 philosophy 등에 대한 좋은 입문서? > >둘째, input data의 불확실성 및 model structure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분석도구? >(MC 이외의) > >셋째,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measure 하는 최신 연구동향? >(approa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혹은 참고문헌) > >여러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친절한 답변에 미리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몬테카를로는 환경영향평가에도 사용되는군요. 통상 금융공학의 선물거래등에 사용된는걸로 보았는데 머 요샌 학문간의 벽이 없으니까요. 환경영향평가라는 분야가 실증적이라기보다는 이론적인것이 많은부분을 차지하고 있더군요. 홈페이지는 삼성경제연구소의 포럼내에 금융공학포럼이 있는데 한번가보시죠(www.seri.org) 환경영향평가쪽은 잘아시겠지만 ISO14000규격중 제품에대한 지원 tool인 ISO14040~4043 까지가 아닌가요? 오래된 기억('97)이지만 저희 발전소의 전과정평가시 옆에서 구경한기억으로 Boustead Model DB 를 사용했답니다. 불확실성 제거의 가장좋은방법은 DB량이 필요한걸로 그 당시에 절감했는데...... 조금 방향이 틀렸는지도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 >저는 환경영향에 대한 통합모델 제안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의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measure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monte carlo simulation 입니다. 그 밖에는 pedigree matrix라는 준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최근 monte carlo simulation의 유용함에 흠뻑 빠져 있는 중 입니다. (MC를 위해 Crystall Ball이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적 접근방법 혹은 philosophy 등에 대한 좋은 입문서? > >둘째, input data의 불확실성 및 model structure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기타 분석도구? >(MC 이외의) > >셋째,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measure 하는 최신 연구동향? >(approa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혹은 참고문헌) > >여러 선배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친절한 답변에 미리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