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yocardial infaction의 Animal Model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동물실험을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보자 입니다.. Myocardial infaction의 Animal Model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런 Animal Model이 존재하는지와... 혹시 있다면 어떤 동물을 사용했는지.. 그리고, Myocardial infaction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web을 검색해봐도 도무지 찾을수가 없어서요..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 Myocardial infaction
  • Myocardial
  • Animal Mode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석용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Myocardial infarction (MI, 심근경색)이란 심장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coronary artery, 관상동맥)이 막혀서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동물모델은 동물수술을 통해서 만들수 있습니다. 즉 수술을 통해 동물의 관상동맥을 묶어주면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로 MI가 발생합니다. 다양한 동물이 가능한데, 쥐나 돼지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만. >동물실험을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보자 입니다.. > >Myocardial infaction의 Animal Model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이런 Animal Model이 존재하는지와... > >혹시 있다면 어떤 동물을 사용했는지.. > >그리고, Myocardial infaction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web을 검색해봐도 도무지 찾을수가 없어서요.. >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Myocardial infarction (MI, 심근경색)이란 심장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coronary artery, 관상동맥)이 막혀서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동물모델은 동물수술을 통해서 만들수 있습니다. 즉 수술을 통해 동물의 관상동맥을 묶어주면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로 MI가 발생합니다. 다양한 동물이 가능한데, 쥐나 돼지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만. >동물실험을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보자 입니다.. > >Myocardial infaction의 Animal Model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이런 Animal Model이 존재하는지와... > >혹시 있다면 어떤 동물을 사용했는지.. > >그리고, Myocardial infaction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web을 검색해봐도 도무지 찾을수가 없어서요.. >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대한순환기학회 홈페이지(www.circulation.or.kr)에서 원문 검색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대한순환기학회 학회지 초록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백서의 실험적 급성 심근경색후 폐와 심근에서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발현의 변화 양상 및 이에 대한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의 효과 분석 (Subject Sequential Change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Gene Expression in Lung and Myocardium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Rat:Different Patterns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between Circulating and Local System) 저자 연태진,김효수,김덕경,김철호,이명묵 배 경: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생산의 주요 장기인 폐와, 레닌-안지오텐신계의 표적 장기인 심근에서, 경색후 각 시간대 별로 ACE mRNA 발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미치는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심근경색후 심부전 상황에서 순환 및 국소 레닌-안지오텐신계의 변화와 이의 조절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백서를 약제를 투여하지 않는 군(위약 투여군, n=5-11 for each time point),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captopril 2g/liter drinking water) 투여군(captopril 투여군, n=7-9 for each time point)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TCV-116 10mg/kg/day) 투여군(TCV-116 투여군, n=7-8 for each time point)으로 나누어 실험적 심근경색을 유발하였다. 약제의 투여는 수술 3일 전부터 시작하였으며 수술후 1, 3, 6주에 혈역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조직을 얻고 RNA를 분리하였다. ACE mRNA 발현 변화는 정량적 RT-PCR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 과 : 1. 심근경색후 위약 투여군의 평균동맥압 및 좌심실 확장말기압은 captopril 투여군 및 TCV-116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경색 6주, 평균동맥압 118.6±3.7, 97.6±2.3, 94.1±6.0, 좌심실 확장말기압 30.7±4.5, 14.0±4.9,13.1±4.0; 위약 투여군, captopril 투여군, TCV-116 투여군, p<0.05 vs. MI-vehicle) 2. 폐에서의 ACE mRNA 발현은 경색후 24시간 및 1주 후의 급성기에 경색전과 비교하여 최고 1.4배까지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p<0.05 vs. pre-MI), 이후 점차 안정화되었다. 반면, 비경색 심근에서의 ACE mRNA 발현량은 경색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만성기인 3주 및 6주에는 최고 1.6배까지 그 발현량이 증가하였다(p<0.05 vs. pre-MI) 3. 폐에서의 ACE mRNA 발현량은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투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captopril 투여군 및 TCV-116 투여군에서의 심근 ACE mRNA 발현은, 위약 투여군과는 달리 심근경색후 급성기에서부터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max. 2 fold, p<0.05 vs. MI-vehicle), 만성기에는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1) 심근경색후 급성기에 활성화되는 폐의 ACE mRNA와는 달리, 심장의 ACE mRNA는 심부전의 만성기에 활성화된다. 2)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투여는 심근경색후 폐의 ACE mRNA 발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비경색 심근의 ACE mRNA 발현을 증가시킨다.
    대한순환기학회 홈페이지(www.circulation.or.kr)에서 원문 검색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대한순환기학회 학회지 초록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백서의 실험적 급성 심근경색후 폐와 심근에서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발현의 변화 양상 및 이에 대한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의 효과 분석 (Subject Sequential Change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Gene Expression in Lung and Myocardium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Rat:Different Patterns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between Circulating and Local System) 저자 연태진,김효수,김덕경,김철호,이명묵 배 경: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생산의 주요 장기인 폐와, 레닌-안지오텐신계의 표적 장기인 심근에서, 경색후 각 시간대 별로 ACE mRNA 발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미치는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심근경색후 심부전 상황에서 순환 및 국소 레닌-안지오텐신계의 변화와 이의 조절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백서를 약제를 투여하지 않는 군(위약 투여군, n=5-11 for each time point),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captopril 2g/liter drinking water) 투여군(captopril 투여군, n=7-9 for each time point) 및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TCV-116 10mg/kg/day) 투여군(TCV-116 투여군, n=7-8 for each time point)으로 나누어 실험적 심근경색을 유발하였다. 약제의 투여는 수술 3일 전부터 시작하였으며 수술후 1, 3, 6주에 혈역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조직을 얻고 RNA를 분리하였다. ACE mRNA 발현 변화는 정량적 RT-PCR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 과 : 1. 심근경색후 위약 투여군의 평균동맥압 및 좌심실 확장말기압은 captopril 투여군 및 TCV-116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경색 6주, 평균동맥압 118.6±3.7, 97.6±2.3, 94.1±6.0, 좌심실 확장말기압 30.7±4.5, 14.0±4.9,13.1±4.0; 위약 투여군, captopril 투여군, TCV-116 투여군, p<0.05 vs. MI-vehicle) 2. 폐에서의 ACE mRNA 발현은 경색후 24시간 및 1주 후의 급성기에 경색전과 비교하여 최고 1.4배까지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p<0.05 vs. pre-MI), 이후 점차 안정화되었다. 반면, 비경색 심근에서의 ACE mRNA 발현량은 경색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만성기인 3주 및 6주에는 최고 1.6배까지 그 발현량이 증가하였다(p<0.05 vs. pre-MI) 3. 폐에서의 ACE mRNA 발현량은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투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captopril 투여군 및 TCV-116 투여군에서의 심근 ACE mRNA 발현은, 위약 투여군과는 달리 심근경색후 급성기에서부터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max. 2 fold, p<0.05 vs. MI-vehicle), 만성기에는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1) 심근경색후 급성기에 활성화되는 폐의 ACE mRNA와는 달리, 심장의 ACE mRNA는 심부전의 만성기에 활성화된다. 2)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투여는 심근경색후 폐의 ACE mRNA 발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비경색 심근의 ACE mRNA 발현을 증가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