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onoclonal antibody에 대하여!

monoclonal antibody에 대하여 궁금해서요! 시약을 구입하려고 하는데 예를 들어 MMP-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구입하려고 할때 여러 종류의 monoclonal antibody가 나오거든요! 일단 rabbit이니 mouse등은 무슨말인지 알겠는데요! anti-MMP에서 propeptide region, N-terminal또는 C-terminal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것들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 Monoclonal antibody
  • MMP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일단, 예를 들면, mouse anti-human MMP-1 antibody는 human MMP-1을 antigen으로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하거나 펩타이드을 이용) mouse에 면역을 시켜서 얻은 항체를 말합니다. mouse에 면역을 시키면 거의 대부분은 단클론 항체 생산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로 비장세포를 적출하여 myeloma와 fusion 시켜 hybridoma cell (융합세포)을 만들고 limiting dilution (제한희석법)을 거쳐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확립합니다. rabbit anti-human MMP-1 antibody는 rabbit에 면역을 시키고 거의 대부분 serum을 얻어서 (주로 심장에서 혈액채취) 바로 항체로 사용합니다. serum내에 항체 종류가 많고 같은 항원을 인식하더라고 인식부위 (eptiope)이 다르니 이를 다클론항체라고 합니다. 특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IgG 만 분리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또는 항원-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항원 특이적 항체를 분리해서 사용하기도 하죠... > anti-MMP에서 > propeptide region, N-terminal또는 C-terminal 등으로 구분된다면 아마 항체의 epitope, 즉 항체가 항원을 어느 부분을 인지하여 결합하는지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각각의 region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면역했다면 각각의 항체는 또한 각각의 region에 특이적인 항체가 되겠죠...)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예를 들면, mouse anti-human MMP-1 antibody는 human MMP-1을 antigen으로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하거나 펩타이드을 이용) mouse에 면역을 시켜서 얻은 항체를 말합니다. mouse에 면역을 시키면 거의 대부분은 단클론 항체 생산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로 비장세포를 적출하여 myeloma와 fusion 시켜 hybridoma cell (융합세포)을 만들고 limiting dilution (제한희석법)을 거쳐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확립합니다. rabbit anti-human MMP-1 antibody는 rabbit에 면역을 시키고 거의 대부분 serum을 얻어서 (주로 심장에서 혈액채취) 바로 항체로 사용합니다. serum내에 항체 종류가 많고 같은 항원을 인식하더라고 인식부위 (eptiope)이 다르니 이를 다클론항체라고 합니다. 특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IgG 만 분리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또는 항원-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항원 특이적 항체를 분리해서 사용하기도 하죠... > anti-MMP에서 > propeptide region, N-terminal또는 C-terminal 등으로 구분된다면 아마 항체의 epitope, 즉 항체가 항원을 어느 부분을 인지하여 결합하는지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각각의 region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면역했다면 각각의 항체는 또한 각각의 region에 특이적인 항체가 되겠죠...)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지현님의 답변

    > > monoclonal antibody에 대하여 궁금해서요! > 시약을 구입하려고 하는데 > 예를 들어 MMP-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구입하려고 할때 > 여러 종류의 monoclonal antibody가 나오거든요! > 일단 rabbit이니 mouse등은 무슨말인지 알겠는데요! > > anti-MMP에서 > propeptide region, N-terminal또는 C-terminal 등으로 구분되는데 > 이것들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1. monoclonal antibody라는 의미는 한가지의 epitope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내는 한 세포에서 유래된 항체를 발하는데 monoclonal atibody 는 대부분 mouse에서 만들어집니다. 2. rabbit (토끼)에서 유래된 항체는 대부분 polyclonal antibody로서 여러가지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항체이지요 3. 그런데 monospecific polyclonal antibody가 있는데 이것이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분의 문제인 것 같읍니다. 이 antibody는 주로 peptide를 항원으로하여 토끼에 주사하여 만들어 내는 것인데 줄 peptide sequence를 이요하는대 아미노산이 약 20여개로 이루어져 있읍니다. 생화학에서 단백질의 1차, 2차 3차 구조라는 것을 배웠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주로 아미노산20개의 peptide는 1-2차 구조정도를 만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N terminal C terminal은 단백질 구조를 이루고 있는 peptide의 서열이 N-terminal에서 시작해서 C-terminal로 되어있는데 peptde가 folding하여 3차 4차 구조를 만들더라도 N-terminus와 C-terminus 부분의 pepetide sequence는 대부분 친수성 (hydrophillic)이 강하여 분자구조의 바깥에 위치하여 항체가 인식하기 좋을 확률이 높읍니다. 5. 따라서 peptide로 항체를 만들때는 단백질 구조의 N 또는 C-terminal 가까운데 위치한 서열을 20개정도 이용하여 합성을 하여 항원으로 이용하여 토끼에게 주사하여 만듭니다. 이런 항체를 monospecific polyclonal antibody라고 합니다. 이런 항체들은 웨스턴 blot이나 immunoprecipitation같은 일을 하는데 적당합니다. 6. 중요한 것은 monoclonal antibody는 대부분 mouse에서 만들고 poly clonal 은 rabbit에서 만듭니다.
    > > monoclonal antibody에 대하여 궁금해서요! > 시약을 구입하려고 하는데 > 예를 들어 MMP-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구입하려고 할때 > 여러 종류의 monoclonal antibody가 나오거든요! > 일단 rabbit이니 mouse등은 무슨말인지 알겠는데요! > > anti-MMP에서 > propeptide region, N-terminal또는 C-terminal 등으로 구분되는데 > 이것들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1. monoclonal antibody라는 의미는 한가지의 epitope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내는 한 세포에서 유래된 항체를 발하는데 monoclonal atibody 는 대부분 mouse에서 만들어집니다. 2. rabbit (토끼)에서 유래된 항체는 대부분 polyclonal antibody로서 여러가지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항체이지요 3. 그런데 monospecific polyclonal antibody가 있는데 이것이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분의 문제인 것 같읍니다. 이 antibody는 주로 peptide를 항원으로하여 토끼에 주사하여 만들어 내는 것인데 줄 peptide sequence를 이요하는대 아미노산이 약 20여개로 이루어져 있읍니다. 생화학에서 단백질의 1차, 2차 3차 구조라는 것을 배웠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주로 아미노산20개의 peptide는 1-2차 구조정도를 만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N terminal C terminal은 단백질 구조를 이루고 있는 peptide의 서열이 N-terminal에서 시작해서 C-terminal로 되어있는데 peptde가 folding하여 3차 4차 구조를 만들더라도 N-terminus와 C-terminus 부분의 pepetide sequence는 대부분 친수성 (hydrophillic)이 강하여 분자구조의 바깥에 위치하여 항체가 인식하기 좋을 확률이 높읍니다. 5. 따라서 peptide로 항체를 만들때는 단백질 구조의 N 또는 C-terminal 가까운데 위치한 서열을 20개정도 이용하여 합성을 하여 항원으로 이용하여 토끼에게 주사하여 만듭니다. 이런 항체를 monospecific polyclonal antibody라고 합니다. 이런 항체들은 웨스턴 blot이나 immunoprecipitation같은 일을 하는데 적당합니다. 6. 중요한 것은 monoclonal antibody는 대부분 mouse에서 만들고 poly clonal 은 rabbit에서 만듭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