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금나노입자용해액을 우리눈으로 인식할수 있는 방법(알려주세요)

현재 금나노입자 용해액을 만들었더니 연붉은색을 띤 투명액체상태입니다. 금나노용해액이 투명해서 흰색종이에 칠해도 마르면 색이 나타나지 않는데요. 금나노용해액을 칠한부분이 휴대하기 편한 특수 코팅된 렌즈(안경 등)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흑백) 예를들어 제가 생각한 몇가지르 적어보면, 1)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를 렌즈(안경등)에 코팅하는 방법 2) 어떤 형광물질(폴리피롤 등)을 흡착시켜 형광물질을 인식(반응)하는 필터를 렌즈에 코팅하여 눈으로 인식하는 방법 이것은 제가 생각해 본것이고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꼭 알려주세요....
  • Gold of Nanoparticles
  • 전자기파
  • 필터
  • 렌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제가 이쪽을 전공하지는 않아서 정확한 것은 모르겠습니다. 다만 나노와 관련되어 계속적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된 기사를 본 기억이 있어서 일부분을 발췌해서 올립니다. 답변이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금을 예로 들어 나노 물질의 독특한 광학현상을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금하면 사람들은 누런색의 황금을 연상한다. 하지만 크기가 20nm 이하의 금입자는 빨간색을 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은덩어리는 은백색을 띄고 있지만 나노크기의 은입자는 노란색을 띈다. 이처럼 나노물질은 그 크기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이를테면 CdSe 반도체 나노입자는 그 크기가 1.2nm에서 12nm로 증가함에 따라 청색에서 초록, 노란색을 거처 빨간색으로 변한다. 만약 각 크기별 나노입자들이 분산된 용액은 형형색색의 무지개빛 형광을 발한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이 위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갖는 이유는 이들의 표면적이 대단히 크다는 점이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데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표면을 구성하는 원자들은 내부에 위치한 원자보다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나노 물질은 벌크 물질보다 단위당 높은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이를 양자크기 효과(quantum size effect)라 한다. 이런 양자크기 효과 때문에 나노 물질의 가공시 유용성, 촉매로 사용시 높은 활성력, 흥미로운 광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나노 크기의 물질들이 발현하는 다양하고 독특한 물리 및 화학적 성질을 찾아내고, 병행하여 서로 조합시켜 매우 유용한 성질의 소재, device, syste을 생 하는 나노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무한히 새로운 물질을 창조할 수 있다. ================================================================== >현재 금나노입자 용해액을 만들었더니 연붉은색을 띤 투명액체상태입니다. 금나노용해액이 투명해서 흰색종이에 칠해도 마르면 색이 나타나지 않는데요. 금나노용해액을 칠한부분이 휴대하기 편한 특수 코팅된 렌즈(안경 등)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흑백) >예를들어 제가 생각한 몇가지르 적어보면, >1)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를 렌즈(안경등)에 코팅하는 방법 >2) 어떤 형광물질(폴리피롤 등)을 흡착시켜 형광물질을 인식(반응)하는 필터를 렌즈에 코팅하여 눈으로 인식하는 방법 >이것은 제가 생각해 본것이고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꼭 알려주세요.... =========================================================
    제가 이쪽을 전공하지는 않아서 정확한 것은 모르겠습니다. 다만 나노와 관련되어 계속적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된 기사를 본 기억이 있어서 일부분을 발췌해서 올립니다. 답변이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금을 예로 들어 나노 물질의 독특한 광학현상을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금하면 사람들은 누런색의 황금을 연상한다. 하지만 크기가 20nm 이하의 금입자는 빨간색을 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은덩어리는 은백색을 띄고 있지만 나노크기의 은입자는 노란색을 띈다. 이처럼 나노물질은 그 크기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이를테면 CdSe 반도체 나노입자는 그 크기가 1.2nm에서 12nm로 증가함에 따라 청색에서 초록, 노란색을 거처 빨간색으로 변한다. 만약 각 크기별 나노입자들이 분산된 용액은 형형색색의 무지개빛 형광을 발한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이 위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갖는 이유는 이들의 표면적이 대단히 크다는 점이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데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표면을 구성하는 원자들은 내부에 위치한 원자보다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나노 물질은 벌크 물질보다 단위당 높은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이를 양자크기 효과(quantum size effect)라 한다. 이런 양자크기 효과 때문에 나노 물질의 가공시 유용성, 촉매로 사용시 높은 활성력, 흥미로운 광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나노 크기의 물질들이 발현하는 다양하고 독특한 물리 및 화학적 성질을 찾아내고, 병행하여 서로 조합시켜 매우 유용한 성질의 소재, device, syste을 생 하는 나노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무한히 새로운 물질을 창조할 수 있다. ================================================================== >현재 금나노입자 용해액을 만들었더니 연붉은색을 띤 투명액체상태입니다. 금나노용해액이 투명해서 흰색종이에 칠해도 마르면 색이 나타나지 않는데요. 금나노용해액을 칠한부분이 휴대하기 편한 특수 코팅된 렌즈(안경 등)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흑백) >예를들어 제가 생각한 몇가지르 적어보면, >1)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를 렌즈(안경등)에 코팅하는 방법 >2) 어떤 형광물질(폴리피롤 등)을 흡착시켜 형광물질을 인식(반응)하는 필터를 렌즈에 코팅하여 눈으로 인식하는 방법 >이것은 제가 생각해 본것이고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꼭 알려주세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성재님의 답변

    분광기를 사용하면 금 나노입자가 흡수하는 파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관찰하면 특정한 크기의 금 나노입자들을 인식할 수 있는 데 결국 복잡한 기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군요.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를 사용하면 금 나노입자 크기 모양을 알수가 있으나 이 역시 고가의 장비입니다. 금나노의 특정한 색깔은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빛의 흡수와 산란에 관계있으며, 금나노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분광기에서처럼 Grating을 이용하여 단색광을 만들어 스캔하고 스펙트럼의 모양으로 부터 피크파장을 알 수 있읍니다. 금나노의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가 결국 Grating인데 이에 상응하는 가볍고 작은 기기를 안경에 붙인다면,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으나 현재 그런 기술이 개발 되어 있지 않군요. 형광물질을 금나노입자에 흡착시켜 이동하는 금나노를 관측하는 광관측기술은 현재 바이오 물질 검출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현재 금나노입자 용해액을 만들었더니 연붉은색을 띤 투명액체상태입니다. 금나노용해액이 투명해서 흰색종이에 칠해도 마르면 색이 나타나지 않는데요. 금나노용해액을 칠한부분이 휴대하기 편한 특수 코팅된 렌즈(안경 등)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흑백) >예를들어 제가 생각한 몇가지르 적어보면, >1)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를 렌즈(안경등)에 코팅하는 방법 >2) 어떤 형광물질(폴리피롤 등)을 흡착시켜 형광물질을 인식(반응)하는 필터를 렌즈에 코팅하여 눈으로 인식하는 방법 >이것은 제가 생각해 본것이고요. 이론적 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꼭 알려주세요....
    분광기를 사용하면 금 나노입자가 흡수하는 파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관찰하면 특정한 크기의 금 나노입자들을 인식할 수 있는 데 결국 복잡한 기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군요.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를 사용하면 금 나노입자 크기 모양을 알수가 있으나 이 역시 고가의 장비입니다. 금나노의 특정한 색깔은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빛의 흡수와 산란에 관계있으며, 금나노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분광기에서처럼 Grating을 이용하여 단색광을 만들어 스캔하고 스펙트럼의 모양으로 부터 피크파장을 알 수 있읍니다. 금나노의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가 결국 Grating인데 이에 상응하는 가볍고 작은 기기를 안경에 붙인다면,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으나 현재 그런 기술이 개발 되어 있지 않군요. 형광물질을 금나노입자에 흡착시켜 이동하는 금나노를 관측하는 광관측기술은 현재 바이오 물질 검출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현재 금나노입자 용해액을 만들었더니 연붉은색을 띤 투명액체상태입니다. 금나노용해액이 투명해서 흰색종이에 칠해도 마르면 색이 나타나지 않는데요. 금나노용해액을 칠한부분이 휴대하기 편한 특수 코팅된 렌즈(안경 등)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흑백) >예를들어 제가 생각한 몇가지르 적어보면, >1) 금나노용해액에서 발생하는 특정파장을 인식하는 필터, 우리눈으로 볼수 있게 변환시키는 필터를 렌즈(안경등)에 코팅하는 방법 >2) 어떤 형광물질(폴리피롤 등)을 흡착시켜 형광물질을 인식(반응)하는 필터를 렌즈에 코팅하여 눈으로 인식하는 방법 >이것은 제가 생각해 본것이고요. 이론적 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꼭 알려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