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ode 에 대해서..

요즈음 저는 informatique에서 code라는 부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저는 단지 프로그래밍 분야에서가 아니라 생물학이나 화학 공식에서 코드의 개념으로 연결된 부분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혹시 그러한 코드의 개념으로 분석된 생물학이나 화학분야 서적이나 사이트를 알고 있으시면 좀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좀 급하오니 꼭좀 알려두시길 빕니다..
  • biology
  • chemistry
  • co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현미님의 답변

    >야후 위키 지식에서 genetic code 분야에 대해서 답변을 받아왔었습니다.. genetic code 라는 특수한 분야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나, 결국, 비전공자인 저같은 사람이 이해해야 하는 부분은 답변자님이 말하고자는 내용이었던 바에 다름 아닌 것 같더군요.. 그리고 사회과학 분야까지 폭넓은 답변, 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답변자님도 항상 좋은 성과 있으시길... >--------------------------------------------------------------------- >아무래도 너무 무성의한 것 같아서 몇 자 더 적습니다. >그 code가 정보제공의 수단으로 이해된다고 가정을 해보고 좀 찾아봤는데요 역시 없네요. 하지만 조금 생각을 해보니 그러한 code는 생물학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NA의 염기서열들을 정보로 하여 만들어지는 messenger RNA,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으로 형성된 단백질, 또 그러한 단백질, DNA, RNA의 상호작용들은 모두 그 자체가 code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다시 또다른 정보로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전반적인 생명현상은 정보와 그것을 전달하는 code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학에서의 code는 잘 모르겠지만 다시 생화학이나 생물리 쪽에서 바라보면 생명현상의 기본은 엔트로피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시 그런 현상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자체가 역시 정보와 code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인간사회에서 정보전달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곧 언어입니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지만 여러 다양한 언어가 존재합니다. 역시 생물학에 있어서도 그러한 언어는 존재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G,C,T,A로 구성된 DNA의 codon과 anti-codon, G,C,U,A로 구성된 mRNA의 codon, 그리고 2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 이외에는 인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약속된 것은 제 생각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마스가 사회적 의사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병리를 낳는다는 것은 인간이 병을 얻는 것에 비유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인 code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병은 생명현상을 이루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체계에 있어서 어떤 특정>의 pathway에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고 또 그 pathway가 상당히 critical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 몇 자 주절거려 봤습니다만 제가 이해한 code가 그 code가 아니면 낭패군요. 벌써부터 부끄럽습니다.(*^^*) >좋은 연구하셔서 또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성원 드림
    >야후 위키 지식에서 genetic code 분야에 대해서 답변을 받아왔었습니다.. genetic code 라는 특수한 분야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나, 결국, 비전공자인 저같은 사람이 이해해야 하는 부분은 답변자님이 말하고자는 내용이었던 바에 다름 아닌 것 같더군요.. 그리고 사회과학 분야까지 폭넓은 답변, 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답변자님도 항상 좋은 성과 있으시길... >--------------------------------------------------------------------- >아무래도 너무 무성의한 것 같아서 몇 자 더 적습니다. >그 code가 정보제공의 수단으로 이해된다고 가정을 해보고 좀 찾아봤는데요 역시 없네요. 하지만 조금 생각을 해보니 그러한 code는 생물학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NA의 염기서열들을 정보로 하여 만들어지는 messenger RNA,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으로 형성된 단백질, 또 그러한 단백질, DNA, RNA의 상호작용들은 모두 그 자체가 code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다시 또다른 정보로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전반적인 생명현상은 정보와 그것을 전달하는 code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학에서의 code는 잘 모르겠지만 다시 생화학이나 생물리 쪽에서 바라보면 생명현상의 기본은 엔트로피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시 그런 현상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자체가 역시 정보와 code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인간사회에서 정보전달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곧 언어입니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지만 여러 다양한 언어가 존재합니다. 역시 생물학에 있어서도 그러한 언어는 존재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G,C,T,A로 구성된 DNA의 codon과 anti-codon, G,C,U,A로 구성된 mRNA의 codon, 그리고 2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 이외에는 인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약속된 것은 제 생각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마스가 사회적 의사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병리를 낳는다는 것은 인간이 병을 얻는 것에 비유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인 code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병은 생명현상을 이루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체계에 있어서 어떤 특정>의 pathway에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고 또 그 pathway가 상당히 critical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 몇 자 주절거려 봤습니다만 제가 이해한 code가 그 code가 아니면 낭패군요. 벌써부터 부끄럽습니다.(*^^*) >좋은 연구하셔서 또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성원 드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원님의 답변

    >요즈음 저는 informatique에서 code라는 부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저는 단지 프로그래밍 분야에서가 아니라 생물학이나 화학 공식에서 코드의 개념으로 연결된 부분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 >혹시 그러한 코드의 개념으로 분석된 생물학이나 화학분야 서적이나 사이트를 알고 있으시면 좀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좀 급하오니 꼭좀 알려두시길 빕니다.. 이런 글이 너무 늦어버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고 찾아보려 하니 질문이 좀 추상적인 것 같네요. 제가 informatique를 모르고 또 code의 개념이 무엇인지 몰라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생물이나 화학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도 아마 저와 같은 생각이 아닐까 싶네요. 어쨌건 관련된 문서나 정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습니다. Code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적어주시면 다른 분들에게 정보를 얻으실 수 기회가 많을 것 같습니다.
    >요즈음 저는 informatique에서 code라는 부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저는 단지 프로그래밍 분야에서가 아니라 생물학이나 화학 공식에서 코드의 개념으로 연결된 부분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 >혹시 그러한 코드의 개념으로 분석된 생물학이나 화학분야 서적이나 사이트를 알고 있으시면 좀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좀 급하오니 꼭좀 알려두시길 빕니다.. 이런 글이 너무 늦어버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고 찾아보려 하니 질문이 좀 추상적인 것 같네요. 제가 informatique를 모르고 또 code의 개념이 무엇인지 몰라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생물이나 화학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도 아마 저와 같은 생각이 아닐까 싶네요. 어쨌건 관련된 문서나 정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습니다. Code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적어주시면 다른 분들에게 정보를 얻으실 수 기회가 많을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원님의 답변

    --------------------------------------------------------------------- 아무래도 너무 무성의한 것 같아서 몇 자 더 적습니다. 그 code가 정보제공의 수단으로 이해된다고 가정을 해보고 좀 찾아봤는데요 역시 없네요. 하지만 조금 생각을 해보니 그러한 code는 생물학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NA의 염기서열들을 정보로 하여 만들어지는 messenger RNA,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으로 형성된 단백질, 또 그러한 단백질, DNA, RNA의 상호작용들은 모두 그 자체가 code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다시 또다른 정보로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전반적인 생명현상은 정보와 그것을 전달하는 code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학에서의 code는 잘 모르겠지만 다시 생화학이나 생물리 쪽에서 바라보면 생명현상의 기본은 엔트로피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시 그런 현상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자체가 역시 정보와 code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인간사회에서 정보전달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곧 언어입니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지만 여러 다양한 언어가 존재합니다. 역시 생물학에 있어서도 그러한 언어는 존재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G,C,T,A로 구성된 DNA의 codon과 anti-codon, G,C,U,A로 구성된 mRNA의 codon, 그리고 2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 이외에는 인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약속된 것은 제 생각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마스가 사회적 의사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병리를 낳는다는 것은 인간이 병을 얻는 것에 비유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인 code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병은 생명현상을 이루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체계에 있어서 어떤 특정의 pathway에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고 또 그 pathway가 상당히 critical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 몇 자 주절거려 봤습니다만 제가 이해한 code가 그 code가 아니면 낭패군요. 벌써부터 부끄럽습니다.(*^^*) 좋은 연구하셔서 또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성원 드림
    --------------------------------------------------------------------- 아무래도 너무 무성의한 것 같아서 몇 자 더 적습니다. 그 code가 정보제공의 수단으로 이해된다고 가정을 해보고 좀 찾아봤는데요 역시 없네요. 하지만 조금 생각을 해보니 그러한 code는 생물학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NA의 염기서열들을 정보로 하여 만들어지는 messenger RNA,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으로 형성된 단백질, 또 그러한 단백질, DNA, RNA의 상호작용들은 모두 그 자체가 code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다시 또다른 정보로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전반적인 생명현상은 정보와 그것을 전달하는 code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학에서의 code는 잘 모르겠지만 다시 생화학이나 생물리 쪽에서 바라보면 생명현상의 기본은 엔트로피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시 그런 현상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자체가 역시 정보와 code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인간사회에서 정보전달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곧 언어입니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지만 여러 다양한 언어가 존재합니다. 역시 생물학에 있어서도 그러한 언어는 존재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G,C,T,A로 구성된 DNA의 codon과 anti-codon, G,C,U,A로 구성된 mRNA의 codon, 그리고 2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 이외에는 인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약속된 것은 제 생각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마스가 사회적 의사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병리를 낳는다는 것은 인간이 병을 얻는 것에 비유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인 code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병은 생명현상을 이루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체계에 있어서 어떤 특정의 pathway에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고 또 그 pathway가 상당히 critical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 몇 자 주절거려 봤습니다만 제가 이해한 code가 그 code가 아니면 낭패군요. 벌써부터 부끄럽습니다.(*^^*) 좋은 연구하셔서 또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성원 드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