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천연방부제(natural preservative)에 관한 자료(국문판)를....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 방부제
  • preservativ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국문판이 아니라서 죄송하지만 나름대로 짧게 잘 정리된 것 같은 파일을 가지고 있어서 첨부합니다.
    국문판이 아니라서 죄송하지만 나름대로 짧게 잘 정리된 것 같은 파일을 가지고 있어서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 아마 천연방부제에 대한 국문 자료를 정리해 놓은 원하시는 것을 찾으시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몇개 논문을 첨부해 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이트가 있는 것은 그대로 복사하셔서 주소창에 넣으시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식품 보존제로서 천연 항균 물질 소개 저 자 안봉전 발행기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발행정보 식품산업과 영양, 4권, 2호, P5-16쪽 발행년도 1999년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kfn/1999/S05601106015.tif 제목 : 화장품 관련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자 : 조춘구 발행기관 : 한국 화장품 학회지 25권, 3호, 87-99쪽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scsk/1999/T00502256396.tif 제 목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 자 조춘구 발행기관 한국정보과학회 발행정보 정보과학회논문지., 25권, 3호, 시작 87쪽, 전체 13쪽 제 목 식품용 천연보존제의 정제 및 용도개발 Pu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Its Application of a Natural Preservative for Foods 저 자 전병수 발행기관 ㈜썬트바이오 발행정보 전체 47p.쪽 발행년도 2003년 자료유형 국내연구보고서 (보건복지부) http://pp.emimg.empas.com/kisti/T1/2004/la9200312041807.pdf 제 목 식품보존제의 개발과 현상 저 자 Sakai, S. 발행기관 食品化學新聞社 발행정보 フ-ドケミカル, 8권, 4호, P95-99쪽 발행년도 1992년 제 목 식물유래 천연보존제 저 자 遠藤隆和 발행기관 光琳書院 발행정보 食品工業, 36권, 16호, P23-33쪽 발행년도 1993년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 아마 천연방부제에 대한 국문 자료를 정리해 놓은 원하시는 것을 찾으시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몇개 논문을 첨부해 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이트가 있는 것은 그대로 복사하셔서 주소창에 넣으시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식품 보존제로서 천연 항균 물질 소개 저 자 안봉전 발행기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발행정보 식품산업과 영양, 4권, 2호, P5-16쪽 발행년도 1999년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kfn/1999/S05601106015.tif 제목 : 화장품 관련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자 : 조춘구 발행기관 : 한국 화장품 학회지 25권, 3호, 87-99쪽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scsk/1999/T00502256396.tif 제 목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 자 조춘구 발행기관 한국정보과학회 발행정보 정보과학회논문지., 25권, 3호, 시작 87쪽, 전체 13쪽 제 목 식품용 천연보존제의 정제 및 용도개발 Pu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Its Application of a Natural Preservative for Foods 저 자 전병수 발행기관 ㈜썬트바이오 발행정보 전체 47p.쪽 발행년도 2003년 자료유형 국내연구보고서 (보건복지부) http://pp.emimg.empas.com/kisti/T1/2004/la9200312041807.pdf 제 목 식품보존제의 개발과 현상 저 자 Sakai, S. 발행기관 食品化學新聞社 발행정보 フ-ドケミカル, 8권, 4호, P95-99쪽 발행년도 1992년 제 목 식물유래 천연보존제 저 자 遠藤隆和 발행기관 光琳書院 발행정보 食品工業, 36권, 16호, P23-33쪽 발행년도 1993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이번에는 저희 Lab실에서 준비 중인 논문을 보내 드립니다. 서론 인류는 오래전부터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막고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재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인공 첨가제들은 인체에서의 잔류성과 독성 때문에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1-4) 박테리오신 (bacteriocin)은 많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의해 생산되는 항균 물질로 주로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5). 항균범위는 항균물질 생산균주 자신과 계통분류학적으로 유연관계가 높은 균종에 대해 제한적이며, 항생물질과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Gratia가 1925년 대장균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colicin 단백질을 발견한 후부터 (2), 박테리오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천연의 무독성 방부제로 간주되었다. 박테리오신은 고온과 광범위한 pH에서 안정성을 띄며 무독, 무색, 무취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학 합성 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방부제 및 약품으로의 용도 개발을 기대 할 수 있다 (6). 고온 살균 처리가 불가능한 어육 연제품에의 적용 (7)과 발암원에 대한 저항성 (8)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기타 여러 가지 작용도 최근 밝혀지고 있다. 산업적으로 가장 주목을 끄는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은 주로 유산균 유래로서 (9) 그 대표적인 예가 nisin이다 (10). 현재 영국에서 독점생산하고 있는 nisin의 경우 치즈, 발효유, 발효주, 통조림 산업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발효육, 사료산업 등에서 응용 가능성을 생각하면 박테리오신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물질로 생화학적, 유전학적 연구가 보고되었다 (9, 11). Leucocin A는 분자량이 작고 소수성이 큰 분자로, 2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transmembrane helix를 분자내에 가지고 있다 (12). 이들은 세포막에 작용하여 transmemenbrane potential을 파괴함으로써 세포의 에너지 대사와 물질의 이동을 저해하고, 그 결과 세포를 치사 혹은 정체 상태가 되도록 한다 (13). 다양한 미생물 특히 유산균을 이용하여 박테리오신을 생산하고 있지만, 유산균에서는 박테리오신 이외의 이물질이 생산되어 식품의 풍미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대장균 등의 원핵생물을 이용한 생산에서는 박테리오신에 의한 성장저해가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이 (3)는 진핵생물인 효모 (S. cerevisiae)를 박테리오신의 일종인 leucocin A 생산 균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된 효모 (S. cerevisiae)를 이용한 leucocin A 생산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효모의 증식정도와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Reference 1. Tagg, G. R., A. S. Dajani, and L. W. Wannamarker (1976),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Bacteriol. Rev. 40, 772-756. 2. Riley, M. A. and J. E. Wertz (2002), Bacteriocin diversity: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Biochimie 84, 357-364. 3. Lee, S.-H. (2003).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Kor. J. Life Sci. 13, 712-717. 4. Cleveland, J., T. J. Montville, I. F. Nes and M. L. Chikindas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Int. J. Food Microbiol. 71, 1-20. 5. Davis, D. B., R. Dulbecco, N. H. Eisen, and S. H. Ginberg (1990), Microbilogy, 4th ed. Lippincott company, Philadelphia, PA. 6. Reid, G. and J. Burton (2002), Use of Lactobacillus to prevent infection by pathogenic bacteria, Microbes Infect. 4, 319-324. 7. Kim, H.-J., N.-K. Lee, S.-M. Cho, K.-T. Kim, and H.-D. Paik (1999), Inhibition of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lacticin NK24,a bactrt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24 from fermented fis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35-1043. 8. Chen, J., D. M. Stevenson, and P. J. Weimer (2004), Albusin B, a Bacteriocin from the ruminal bacterium ruminococcus albus 7 that inhibits growth of ruminococcus flavefaciens, Appl. Environ. Microbiol. 70, 3167-3170. 9. Klaenhammer, T. R. (1988),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10. Delves-Broughton, J. (1990), Nisin and it's uses aa a food preservative. Food Technol. 44, 100-117. 11. Ralph, W. J., J. R. Tagg, and K. Bibek (1995) Bacteriocins of gram positive bacteria, Micobiol. Rev. 59, 171-200. 12. Hastings, J. W., M. Saitoer, K. Jhonson, K. L. Ray, J. C. Vederas, and M. E. Stiles (1994), Characterization of leukocin A-UAL 187 and cloning of the bacteriocin gene from Leuconostoc gelidum. J. Bacteriol. 173, 7491-7500. 13. Jack R. W., J. R. Tagg, and B. Bay (1995),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참고가 되었으면 좋겟네요^^
    >이번에는 저희 Lab실에서 준비 중인 논문을 보내 드립니다. 서론 인류는 오래전부터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막고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재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인공 첨가제들은 인체에서의 잔류성과 독성 때문에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1-4) 박테리오신 (bacteriocin)은 많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의해 생산되는 항균 물질로 주로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5). 항균범위는 항균물질 생산균주 자신과 계통분류학적으로 유연관계가 높은 균종에 대해 제한적이며, 항생물질과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Gratia가 1925년 대장균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colicin 단백질을 발견한 후부터 (2), 박테리오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천연의 무독성 방부제로 간주되었다. 박테리오신은 고온과 광범위한 pH에서 안정성을 띄며 무독, 무색, 무취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학 합성 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방부제 및 약품으로의 용도 개발을 기대 할 수 있다 (6). 고온 살균 처리가 불가능한 어육 연제품에의 적용 (7)과 발암원에 대한 저항성 (8)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기타 여러 가지 작용도 최근 밝혀지고 있다. 산업적으로 가장 주목을 끄는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은 주로 유산균 유래로서 (9) 그 대표적인 예가 nisin이다 (10). 현재 영국에서 독점생산하고 있는 nisin의 경우 치즈, 발효유, 발효주, 통조림 산업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발효육, 사료산업 등에서 응용 가능성을 생각하면 박테리오신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물질로 생화학적, 유전학적 연구가 보고되었다 (9, 11). Leucocin A는 분자량이 작고 소수성이 큰 분자로, 2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transmembrane helix를 분자내에 가지고 있다 (12). 이들은 세포막에 작용하여 transmemenbrane potential을 파괴함으로써 세포의 에너지 대사와 물질의 이동을 저해하고, 그 결과 세포를 치사 혹은 정체 상태가 되도록 한다 (13). 다양한 미생물 특히 유산균을 이용하여 박테리오신을 생산하고 있지만, 유산균에서는 박테리오신 이외의 이물질이 생산되어 식품의 풍미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대장균 등의 원핵생물을 이용한 생산에서는 박테리오신에 의한 성장저해가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이 (3)는 진핵생물인 효모 (S. cerevisiae)를 박테리오신의 일종인 leucocin A 생산 균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된 효모 (S. cerevisiae)를 이용한 leucocin A 생산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효모의 증식정도와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Reference 1. Tagg, G. R., A. S. Dajani, and L. W. Wannamarker (1976),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Bacteriol. Rev. 40, 772-756. 2. Riley, M. A. and J. E. Wertz (2002), Bacteriocin diversity: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Biochimie 84, 357-364. 3. Lee, S.-H. (2003).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Kor. J. Life Sci. 13, 712-717. 4. Cleveland, J., T. J. Montville, I. F. Nes and M. L. Chikindas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Int. J. Food Microbiol. 71, 1-20. 5. Davis, D. B., R. Dulbecco, N. H. Eisen, and S. H. Ginberg (1990), Microbilogy, 4th ed. Lippincott company, Philadelphia, PA. 6. Reid, G. and J. Burton (2002), Use of Lactobacillus to prevent infection by pathogenic bacteria, Microbes Infect. 4, 319-324. 7. Kim, H.-J., N.-K. Lee, S.-M. Cho, K.-T. Kim, and H.-D. Paik (1999), Inhibition of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lacticin NK24,a bactrt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24 from fermented fis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35-1043. 8. Chen, J., D. M. Stevenson, and P. J. Weimer (2004), Albusin B, a Bacteriocin from the ruminal bacterium ruminococcus albus 7 that inhibits growth of ruminococcus flavefaciens, Appl. Environ. Microbiol. 70, 3167-3170. 9. Klaenhammer, T. R. (1988),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10. Delves-Broughton, J. (1990), Nisin and it's uses aa a food preservative. Food Technol. 44, 100-117. 11. Ralph, W. J., J. R. Tagg, and K. Bibek (1995) Bacteriocins of gram positive bacteria, Micobiol. Rev. 59, 171-200. 12. Hastings, J. W., M. Saitoer, K. Jhonson, K. L. Ray, J. C. Vederas, and M. E. Stiles (1994), Characterization of leukocin A-UAL 187 and cloning of the bacteriocin gene from Leuconostoc gelidum. J. Bacteriol. 173, 7491-7500. 13. Jack R. W., J. R. Tagg, and B. Bay (1995),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참고가 되었으면 좋겟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저는 재조합된 효모에서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수 있는 항생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산 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국문 판을 원하신다니..국문판 몇개를 보내 드립니다. 1. Lee, S.-H,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2003), Kor. J. Life Sci, 13, 712-717. 2.Kim, H.-J., N.-K. Lee, S.-M. Cho, K.-T. Kim, and H.-D. Paik, Inhibition of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lacticin NK24(1999), a bactrt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24 from fermented fis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35-1043.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저는 재조합된 효모에서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수 있는 항생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산 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국문 판을 원하신다니..국문판 몇개를 보내 드립니다. 1. Lee, S.-H,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2003), Kor. J. Life Sci, 13, 712-717. 2.Kim, H.-J., N.-K. Lee, S.-M. Cho, K.-T. Kim, and H.-D. Paik, Inhibition of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lacticin NK24(1999), a bactrt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24 from fermented fis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35-104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중회님의 답변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천연방부제에 대한 자료를 첨부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관련된 천연방부제에 대해 정리된 자료를 얻고싶습니다. 천연방부제에 대한 자료를 첨부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