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ilter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여과멸균할 때 사용하는 filter를 3종류로 나누면요.. 첫째, 예비여과시 덩어리 같은 거 제거할때 쓰는 depth filter(prefilter)가 있구요.. 둘째, 주로 사용하는 conventional membrane filter가 있구요.. 셋째, nucleation track(nucleopore) filter가 있다고 들었거든요..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nitrocellulose로 되어있고 hybridization할 때 double strand(ds)와 single strand(ss) 구분할 때 쓴다고 하는데요.. 이것을 어떻게 구분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만약, ss는 필터에 붙어있고 ds는 필터를 통과한다면 왜 무슨 차이로 그러는지 좀 알려주세요~~~~ 또,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기름여과가 되지 않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nucleopore filter에 대한 내용중에는 polycarbonate, etching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또, nucleopore filter는 기름이 여과되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ilter
  • steril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백기태님의 답변

    Membrane Filter는 대부분 수용액 상에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기름에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filter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membrane pore가 물을 통과 시키느냐 기름을 통과 시키느냐의 차이이며 이것은 막의 재질과 상관이 있습니다.
    Membrane Filter는 대부분 수용액 상에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기름에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filter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membrane pore가 물을 통과 시키느냐 기름을 통과 시키느냐의 차이이며 이것은 막의 재질과 상관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백기태님의 답변

    Polycarbonate는 membrane을 만들때 사용하는 재질입니다. Track-Etch멤브레인을 만들때 사용하는 두개의 고분자 물질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하나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합니다. Track etch 형은 만드는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먼저 트랙을 만들고 이트랙에 에칭을 통해 실제로 포아를 만드는 두번의 과정을 거쳐서 만들게 됩니다.
    Polycarbonate는 membrane을 만들때 사용하는 재질입니다. Track-Etch멤브레인을 만들때 사용하는 두개의 고분자 물질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하나는 폴리에스터를 사용합니다. Track etch 형은 만드는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먼저 트랙을 만들고 이트랙에 에칭을 통해 실제로 포아를 만드는 두번의 과정을 거쳐서 만들게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원님의 답변

    먼저 polycarbonate는 예전에 방탄재료로 쓰였고 요즘에는 CD 등에서 우리하 흔히 접하는 합성고분자입니다. 보통 membrane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은 cellulose 등의 섬유로 어떤 용매로도 녹지 않습니다. 여기에 polycarbonate라는 고분자를 채우거나 코팅하고 radiation을 쏘여주면 backbone chain에서 약간의 nicking이 일어납니다. 즉, 고분자 사슬들이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것입니다. 여기에 유기용매를 살짝 묻힌 후, 날려보내면 radiation으로 약해졌던 부분들이 녹아나게 되고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유기용매를 처리하는 etching 과정은 시간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구멍들을 형성하겠지요(길어지먼 큰 구멍). 이런 polycarbonate에 물이 아닌 유기용매를 넣어 필터하면 아래로 나오긴 하겠으나 polycarbonate까지 같이 녹아 있는 그리고 큰 사이즈의 입자들도 같이 녹아 있는 용액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Conventional membrane도 역시 고분자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dsDNA와 ssDNA를 구분하는 원리는 잘 모르겠지만 짐작은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가능성 하나는 dd와 sd의 분자량은 두 배 차이가 나므로 보통 DNA 분자량이 매우 큰 것을 감안하면 ds는 분자량 차이로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보다는 두번째 이유인 nitrocellulose의 구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물 이외에는 필터가 되지 않는데 그것은 membrane 자체가 친수성이기 때문입니다. 실험을 하다보면 dish나 slide glass에 물 한 방울을 올렸을 때, 좍 퍼지는 것과 둥글둥글 맺혀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dish등이 소수성으로 물분자들의 표면장력때문에 그렇게 됩니다. 전자는 친수성으로 물분자의 표면장력을 줄여주는데 물분자와의 수소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nitrocelluose도 물 분자와 수소결합이 가능하여 물이 통과하는데 Teflon membrane 같은 경우는 그렇지 못하므로 물이 아닌 (무극성) 유기용매들만 통과가 됩니다. 따라서 ssDNA는 수소결합이 매우 용이한 반면 ssDNA 두 개가 수소결합으로 결합된 dsDNA는 nitrocellulose와 수소결합이 어렵게 됩니다. 보통은 probe를 써서 하지만 membrane 자체로로 이러한 특성때문에 ds와 ss의 구분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각각의 membrane들에 물이 아닌 유기용매는 membrane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녹일 것이고 녹이지 못하는 기름 등은 위와 같은 이유로 통과가 안될 것입니다. 이렇게 장황하게 제가 생각하는 바를 설명했는데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빨리 삭제하겠습니다. ^^! 한국과학기술원 김성원 드림
    먼저 polycarbonate는 예전에 방탄재료로 쓰였고 요즘에는 CD 등에서 우리하 흔히 접하는 합성고분자입니다. 보통 membrane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은 cellulose 등의 섬유로 어떤 용매로도 녹지 않습니다. 여기에 polycarbonate라는 고분자를 채우거나 코팅하고 radiation을 쏘여주면 backbone chain에서 약간의 nicking이 일어납니다. 즉, 고분자 사슬들이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것입니다. 여기에 유기용매를 살짝 묻힌 후, 날려보내면 radiation으로 약해졌던 부분들이 녹아나게 되고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유기용매를 처리하는 etching 과정은 시간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구멍들을 형성하겠지요(길어지먼 큰 구멍). 이런 polycarbonate에 물이 아닌 유기용매를 넣어 필터하면 아래로 나오긴 하겠으나 polycarbonate까지 같이 녹아 있는 그리고 큰 사이즈의 입자들도 같이 녹아 있는 용액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Conventional membrane도 역시 고분자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dsDNA와 ssDNA를 구분하는 원리는 잘 모르겠지만 짐작은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가능성 하나는 dd와 sd의 분자량은 두 배 차이가 나므로 보통 DNA 분자량이 매우 큰 것을 감안하면 ds는 분자량 차이로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보다는 두번째 이유인 nitrocellulose의 구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물 이외에는 필터가 되지 않는데 그것은 membrane 자체가 친수성이기 때문입니다. 실험을 하다보면 dish나 slide glass에 물 한 방울을 올렸을 때, 좍 퍼지는 것과 둥글둥글 맺혀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dish등이 소수성으로 물분자들의 표면장력때문에 그렇게 됩니다. 전자는 친수성으로 물분자의 표면장력을 줄여주는데 물분자와의 수소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nitrocelluose도 물 분자와 수소결합이 가능하여 물이 통과하는데 Teflon membrane 같은 경우는 그렇지 못하므로 물이 아닌 (무극성) 유기용매들만 통과가 됩니다. 따라서 ssDNA는 수소결합이 매우 용이한 반면 ssDNA 두 개가 수소결합으로 결합된 dsDNA는 nitrocellulose와 수소결합이 어렵게 됩니다. 보통은 probe를 써서 하지만 membrane 자체로로 이러한 특성때문에 ds와 ss의 구분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각각의 membrane들에 물이 아닌 유기용매는 membrane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녹일 것이고 녹이지 못하는 기름 등은 위와 같은 이유로 통과가 안될 것입니다. 이렇게 장황하게 제가 생각하는 바를 설명했는데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빨리 삭제하겠습니다. ^^! 한국과학기술원 김성원 드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영일님의 답변

    >여과멸균할 때 사용하는 filter를 3종류로 나누면요.. >첫째, 예비여과시 덩어리 같은 거 제거할때 쓰는 depth filter(prefilter)가 있구요.. >둘째, 주로 사용하는 conventional membrane filter가 있구요.. >셋째, nucleation track(nucleopore) filter가 있다고 들었거든요.. >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nitrocellulose로 되어있고 hybridization할 때 double strand(ds)와 single strand(ss) 구분할 때 쓴다고 하는데요.. 이것을 어떻게 구분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만약, ss는 필터에 붙어있고 ds는 필터를 통과한다면 왜 무슨 차이로 그러는지 좀 알려주세요~~~~ >또,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기름여과가 되지 않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 >nucleopore filter에 대한 내용중에는 polycarbonate, etching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또, nucleopore filter는 기름이 여과되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질문은 한국폴주식회사의 이 태식 차장(전화번호 : 02-560-7824, 018-258-7840)에게 문의하시면 그 답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여과멸균할 때 사용하는 filter를 3종류로 나누면요.. >첫째, 예비여과시 덩어리 같은 거 제거할때 쓰는 depth filter(prefilter)가 있구요.. >둘째, 주로 사용하는 conventional membrane filter가 있구요.. >셋째, nucleation track(nucleopore) filter가 있다고 들었거든요.. >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nitrocellulose로 되어있고 hybridization할 때 double strand(ds)와 single strand(ss) 구분할 때 쓴다고 하는데요.. 이것을 어떻게 구분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만약, ss는 필터에 붙어있고 ds는 필터를 통과한다면 왜 무슨 차이로 그러는지 좀 알려주세요~~~~ >또, conventional membrane filter는 기름여과가 되지 않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 >nucleopore filter에 대한 내용중에는 polycarbonate, etching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또, nucleopore filter는 기름이 여과되나요?? 이건 무슨이유 때문인가요?? >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질문은 한국폴주식회사의 이 태식 차장(전화번호 : 02-560-7824, 018-258-7840)에게 문의하시면 그 답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