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기술 분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기술은 무엇인지요?

아래의 기술중 저의 나라..삼성전자나 LG에서 가장 필요로 한 기술은 어떤건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전공할려고 관심을 가지는 분야인데 아직 미전공자로써 모두가 비슷하게 보이네요... 혹씨 이쪽 분야 전문가이신 분이 있으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1. Spatial light modulator (SLM) and microdisplay design and fabrication. We are looking for students to undertake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new SLM technology. The recent availability of submicron foundry services with six metal planarised CMOS and optical quality top layer metal for mirrors has created a whole new area of research on intelligent pixel designs. These include applications in multimedia and portable hand-held device displays as well as optical switching and telecommunications devices. This research may include either cleanroom fabrication of devices within the group or silicon VLSI design, simulation and layout 2. Photo-luminescent displays. We have been developing a new display technology within the group, combining photo-luminescent phosphors and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s. There are several programs running within the group at the moment including liquid crystal characterisation, optical tiling and in-cell phosphor devices 3. Liquid crystal elect-optic effects. We are always looking to push back the boundaries on liquid crystal structures in both speed and electro-optic effects. Many of the applications we are currently researching could benefit from new, enhanced, specialised liquid crystal (or some other type) effects. 4.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for display applications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the low molar mass dimeric organosiloxane liquid crystals display both ferroelectric and antiferroelectric behaviour depending only on the length of the siloxane spacer. The monomeric materials exhibit ferroelectric behaviour over the whole of the mesophase and have quite high spontaneous polarisation. The smectic tilt angles are independent of temperature and close to 45 degrees. The dimeric low molar mass organosiloxane materials exhibit either ferroelectric or antiferroelectric behaviour dependant upon the number of silicon atoms in the siloxane spacer and the lateral halogen substituent. For materials with 3 units in the siloxane chain the phase behaviour is purely antiferroelectric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halogen substituent. The spontaneous polarisation is of the order of 100 nC/sq. cm and the tilt angle is close to 45 degrees and independent of temperature. The antiferroelectricity is attributed to the siloxane moiety conferring a bent conformation on the molecule rather than antiferroelectric interactions between the layers. As these materials posses some of the robust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s, as well as the perfect bistability and fast electro-optic response of low molar mass liquid crystals, they make ideal candidates for use in ferroelectric or antiferroelectric devices.
  • Ja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어떤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냐는 오로지 자신에게 달려있는 문제입니다. 이세상 어느 누구도 명확한 답을 줄 수 없습니다. 특정 기업이 원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물어보지 마시고 자신이 기업의 총수라 생각하고 어떤 기술이 장래에 비전이 있는지 고민해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는 세상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기술의 발전 속도와 변화 양상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오늘은 A라는 기술이 수익성이 있어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지만, 내일은 다른 기술에 눈을 돌려야 할지도 모릅니다. 무엇을 전공하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세가지 기술 중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것을 학위과정 중 다루면서 얻을 수 있는 주변 기술들은 무엇이 있을까? 심각하게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말씀하신 세가지 기술 중 하나를 선택했는데, 우연히 삼성이나 LG에서 필요한 기술이어서 입사하게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학위과정 중 배웠던 지식은 몇 년 안에 동이나고 말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상은 너무나도 빨리 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기업체는 영리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유동적인 곳입니다. 그때는 어떻게 하실 것인지요.
    어떤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냐는 오로지 자신에게 달려있는 문제입니다. 이세상 어느 누구도 명확한 답을 줄 수 없습니다. 특정 기업이 원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물어보지 마시고 자신이 기업의 총수라 생각하고 어떤 기술이 장래에 비전이 있는지 고민해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는 세상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기술의 발전 속도와 변화 양상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오늘은 A라는 기술이 수익성이 있어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지만, 내일은 다른 기술에 눈을 돌려야 할지도 모릅니다. 무엇을 전공하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세가지 기술 중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것을 학위과정 중 다루면서 얻을 수 있는 주변 기술들은 무엇이 있을까? 심각하게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말씀하신 세가지 기술 중 하나를 선택했는데, 우연히 삼성이나 LG에서 필요한 기술이어서 입사하게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학위과정 중 배웠던 지식은 몇 년 안에 동이나고 말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상은 너무나도 빨리 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기업체는 영리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유동적인 곳입니다. 그때는 어떻게 하실 것인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