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0-15
org.kosen.entty.User@4ac2a6b6
정옥찬(memsoku)
- 4
glucose 모니터링 및 센서 기술에 대하여..
좀 세부적으로 알려주실 분이 계시거나, 문헌을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glucose
- Sensor
- ME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4-10-15- 0
도움이 되실 지 모르겠습니다. 제 목 기계식 인공췌장 개발; 임플란트형 형당센서의 신호처리 시스템 개발 및 성능 평가; 임플란트형 혈당센서 p ...(첨부1) Development of a Mechanical Artificial Pancreas System 저 자 최수봉 공동저자 김희찬, 나건 발행기관 건국대학교 발행정보 전체 117p.쪽 발행년도 2002년 http://science.empas.com/search/kisti_detail.html?q=glucose+%B8%F0%B4%CF%C5%CD%B8%B5%B1%E2%BC%FA+%BC%BE%BC%AD%B1%E2%BC%FA&i=67765&au=&rs=&jn=&m=T 제 목 흐름주입분석 기술에 의한 글루코우스와 전분의 온라인 모니터링 On-line Monitoring of Glucose and Starch by a Flow Injection Analysis Technique 저 자 김준홍 공동저자 발행기관 발행정보 16권, 5호, 459-465쪽 발행년도 2001년 제 목 혈당조절 관련 기능성평가 체계구축(첨부2) 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 for Blood Glucose Regulation of Health Functional ... 저 자 박인선 공동저자 발행기관 인하대학교 발행정보 전체 80p.쪽 발행년도 2003년 >glucose 모니터링 및 센서 기술에 대하여.. >좀 세부적으로 알려주실 분이 계시거나, 문헌을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2004-10-15- 0
1. glucose 모니터링 기술 glucose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 일회용 혈당 센서 2) 연속측정형 혈당 센서 . 1) 일회용 혈당 센서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팔 등으로부터 소량의 피를 채취하여 센서의 감지부에 떨어뜨려 피 속에 함유되어 있는 glucose의 농도를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스트립이라고 불리우는 작은 막대기가 감지부가 되고 이 작은 막대기를 모체에 집어 넣어 농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가.까운 의료기기 상가에 가보시면 일회용 혈당 센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휴대폰 한쪽 면에 일회용 센서를 삽입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일회용. 센서에 적용되는 감지기술은 주로 glucoseoxidase라는 효소를 이용한 것으로 원천기술이 세상에 나온지 50년 가까이 됩니다. 새로운 감지 메카니즘이나 방식 또는 방법에 대한 연구보다는 실용성, 가격, user interface, 추가적인 부가서비스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연속측정형 혈당 센서는 말 그대로 환자의 혈당수치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입니다. 현재, MiniMed 사의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과 Cygnus 사의 glucowatch라는 제품이 시장에 나와 있습니다. 연속측정형 센서를 제조하는 기술은 크게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최소 침습형 - 비침습형 - 최소 침습형은 인체의 체간액(interstitial fluid)에 있는 glucose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간의 피부 안쪽으로 센서를 삽입하여 3일 동안 환자의 혈당 수치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MiniMed 사의 제품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센서의 경우, 몸에 삽입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비 습형은 말 그대로 피부 바깥에서 몸 속에 있는 glucose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선두 주자는 Cygnus사의 glucowatch입니다. iontophoresis라는 기술을 이용한 것인데, 정확도가 낮고 사용에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이외에도 polarimetry, near IR scattering, raman scattering, RF 등 여러가지 제안된 기술들이 있는데, 개발에 성공한 것은 없습니다. 2. 감지 기술 1) Enzyme sensor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효소의 기능을 이용하는 센서입니다. glucoseoxidase라는 효소는 glucose를 산화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때,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거나 산소농도의 증감을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외에도 glucose가 산화됨으로 인해 pH가 변하는 것에 착안하여 pH의 변화를 직접 모니터링하거나 pH변화에 민감한 물질의 물리적 특성변화를 보는 것도 있습니다. 2) Photonic crystalline colloids colliod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photonic crystal을 만들면, 격자 간격에 따라 회절되는 빛의 성질이 달라집니다. 여기에 glucose와 반응할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면 glucose의 농도에 따라 격자간의 간격이 변화하게 됩니다. 그 결과, 회절된 빛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것을 사람이 착용하는 contact lens에 도입하여 센서로 개발하려하고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측정방법으로 형광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개발중에 있습니다. 3) Polarimetry glucose 자체는 optical activity가 있는 물질입니다. optical activity를 갖는 물질은 선형 편광된 빛의 편광 방향을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현상을 optical rotation이라 하고 회전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otical rotatory powr라는 것이 있습니다.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하면 편광 방향을 회전시키는 각도도 따라서 늘어납니다. 4) near IR glucose는 near IR에서 흡수밴드를 갖습니다. 이를 이용한 것인데, 사람의 몸에는 glucose외에도 ion,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많은 양의 물이 있기 때문에 이들로 인해 발생되는 간섭현상을 쉽게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5) impedance 방식 Pendragon이라는 회사에서 작년 말에 개발한 기술입니다. 기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 설명해 드릴 수는 없네요. 올해 초에 시제품을 내놓는다고 했는데,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지면의 사정상 많은 정보를 드리지 못하겠네요. glucose sensor는 오랜 시간동안 개발되어온 아이템입니다. 개발기간은 매우 길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죠. 그런데, 사람들이 연구개발에 주춤하는 것은 문제 해결 방법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자료도 풍부합니다. 관련된 검색어를 사용하셔서 잘 뒤져보십시요. 신동호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4-10-15- 0
KISTI(www.kisti.re.kr)에서 나온 자료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glucose 모니터링 및 센서 기술에 대하여.. >좀 세부적으로 알려주실 분이 계시거나, 문헌을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 -
답변
정옥찬님의 답변
2004-10-17- 0
>KISTI(www.kisti.re.kr)에서 나온 자료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 > >>glucose 모니터링 및 센서 기술에 대하여.. >>좀 세부적으로 알려주실 분이 계시거나, 문헌을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 먼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첨부화일이 열리지가 않네요!!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