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1-08
org.kosen.entty.User@38be9e7a
김상수(kisshappy)
- 1
pEBB vector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peBB vector를 backbone으로 하는 clone을 얻었는데요.
map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가 없어서
다음 step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 vector에 아시는 분 계시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vector의 map만 있어도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늦은밤 열심히 공부하시는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pEBB
- vec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4-11-08- 0
일단은 만족할 만한 정보는 아닐 것 같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찾아봤습니다. 저도 예전에 vector를 얻었는데 자세한 information이 없어서 website를 뒤지면서 고생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혹시 이 벡터를 직접 사용하신 분이 나타나시면 좋겠지만 우선에 제가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pUC119 backbone을 사용하여 SV40 replication origin, human EF-1 alpha promoter, G-CSF cDNA의 poly(A) signal 등을 집어 넣어서 탄생된 vector가 pEF-BOS 이고 여기에 restriction enzyme site를 열심히 집어 넣어 활용도를 높인 것이 pEBB vector입니다. pEF-BOS vector와 pEBB vector를 제작한 original paper를 첨부파일로 올리겠습니다. 그러나 죄송하게도 제가 아는 선에서는 자세한 sequence를 알기는 힘들구요... SV40 Rep. Ori.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SV40 TAg이 발현되는 293T(Human kidney epithelical cell)나 COS(African green monkey kidney epithelical cell)에 vector를 발현시키면 plasmid amplication이 일어나 세포내 plasmid copy가 무지하게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EF-1 alpha promoter는 활성이 높기 때문에 유전자 발현이 엄청나게 잘되는 vector system으로 보입니다. http://genetics.med.harvard.edu/~mayerlab/ 이 주소는 pEBB vector를 처음 제작한 Bruce J. Mayer의 홈피입니다. 직접 contact하면 sequence information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