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질문] lipoprotein, lipid transfer particle (LTP)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저희는 누에의 체액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체액 내 대부분의 단백질이 lipoprotein이며 이 단백질에는 LTP (lipid transfer particle)이 많이 존재 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첫째, 이 lipoprotein의 일반적인 성질과 이 단백질이 동물세포 안과 밖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지와 또, 만약 이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재조합으로 발현 시킬 때에도 lipoprotein의 형태로 발현이 되는지 궁급합니다. 둘째, 이 단백질이나 LTP들이 여러 small molecule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는데, 어떤 형태로 이런 작은 분자들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환경이 되면 그러한 작은 물질들을 내어 놓을 수 있는지 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단백질을 인지하는 유전자를 동물 세포에서 발현 시켰을 경우 세포내에서 lipid transf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친절하신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ipoprotein
  • lipophorin
  • prote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제가 알고 있는 부분만 말씀드리면, 대장균에서 재조합단백질로 발현시킨다면 natural product와 같은 형태의 지질단백질 형태로 발현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대장균에서는 eucaryote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machinery가 결여되어 있고 lipid의 composition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tural product와 같은 lipid composition을 가지는 것을 바라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더우기, inclusion body의 형태가 될 가능성도 높겠죠 그렇다면, 실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insect cell system이나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CHO cell system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누에의 체액에서 발견되는 지질단백질의 지질 조성과 동일하게 나올 지는 미지수 인 것 같습니다. 또한 지질 조성이 단백질들 마다 어느 정도 균일하게 나올지도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가 한가지 궁금한 건 누에의 지질단백질의 지질 분석은 어떻게 하는지요... 동물세포에 발현시킨 후 지질 분석을 해야 누에에서 발현되는 형태와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님 그냥 지질단백질의 활성 측정을 해서 비교하는지요...
    제가 알고 있는 부분만 말씀드리면, 대장균에서 재조합단백질로 발현시킨다면 natural product와 같은 형태의 지질단백질 형태로 발현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대장균에서는 eucaryote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machinery가 결여되어 있고 lipid의 composition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tural product와 같은 lipid composition을 가지는 것을 바라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더우기, inclusion body의 형태가 될 가능성도 높겠죠 그렇다면, 실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insect cell system이나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CHO cell system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누에의 체액에서 발견되는 지질단백질의 지질 조성과 동일하게 나올 지는 미지수 인 것 같습니다. 또한 지질 조성이 단백질들 마다 어느 정도 균일하게 나올지도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가 한가지 궁금한 건 누에의 지질단백질의 지질 분석은 어떻게 하는지요... 동물세포에 발현시킨 후 지질 분석을 해야 누에에서 발현되는 형태와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님 그냥 지질단백질의 활성 측정을 해서 비교하는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