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luorescence quencing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저는 intracellular ion-sensitive fluorescence probe를 cell에 loading하여 intracellular 수준의 probe변화를 관찰하고자 합니다. 기초 실험을 몇번 하였는데 문제가 되는것은 형광현미경 관찰하는 동안 fluorescence가 저절로 quenching되는 것입니다. 실험 목적이 treatments에 의한 fluorescence의 quenching인데 자연적인 quenching인지 treatments에 의한 quenching인지 알 수 없더군요. 그래서 anti-fade reagent를 사용하려 하는데, 제가 찾아본 결과 sigma에서의 DABPI와 molecular probe에서 나온 Gold antifade reagent를 보았습니다. 어떤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할까요? 혹은 좀더 안정하고 좋은 다른 reagent가 있나요? 그리고 fluorescence를 관찰하는데 또다른 좋은 방법들이 있나요? 전문가 여러분의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fluorescence
  • antifade reage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Fading 또는 bleaching은 형광현미경 실험의 문제점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Mounting medium에 antifade agent를 첨가하면 fading의 속도를 감소시키켜 장시간 관찰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mounting medium은 glycerol-based medium으로 buffer, antifade agent를 포함합니다(specimen의 장기 보관을 위해 polyvinyl alcohol mounting medium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Glycerol-based anti-fade mounting medium에 대해서 잠시 말씀드리면(회사에서 공급되는 시약의 정확한 조성은 잘 모르겠습니다), H20에 의해 anti-fade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물을 잘 없애 주는 것이 중요하고 Triton X-100 등의 detergent는 anti-fade solution을 오히려 quenching solution으로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detergent를 mounting하기 전에 완전히 없애 주는게 중요하죠... 또한 조성 중에 p-phenylenediamine이 들어 있는데 이는 빛에 의해서 산화가 잘 되고 그러면 fluorescent product로 바뀌는데 nuclei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경향이 있어 background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파는 anti-fade agent들의 경우 회사 manual에 따라 하시면 크게 문제는 없을 겁니다. 여러시약을 동시에 비교한 적이 없지만 molecular probes에서 나온 제품을 큰 문제 없이 저는 사용했습니다. molecular probes에서 여러 종류의 antifade agent가 나오는데 어떤 형광으로 실험을 했는지에 따라서 조금씩 antifade effect가 다릅니다. 그러니 혹시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molecular probes에서 나온 자료를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intracellular ion-sensitive fluorescence probe를 cell에 loading하여 intracellular 수준의 probe변화를 관찰하고자 합니다. >기초 실험을 몇번 하였는데 문제가 되는것은 >형광현미경 관찰하는 동안 fluorescence가 저절로 quenching되는 것입니다. 실험 목적이 treatments에 의한 fluorescence의 quenching인데 자연적인 quenching인지 treatments에 의한 quenching인지 알 수 없더군요. > >그래서 anti-fade reagent를 사용하려 하는데, 제가 찾아본 결과 sigma에서의 DABPI와 molecular probe에서 나온 Gold antifade reagent를 보았습니다. 어떤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할까요? >혹은 좀더 안정하고 좋은 다른 reagent가 있나요? > >그리고 fluorescence를 관찰하는데 또다른 좋은 방법들이 있나요? > >전문가 여러분의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
    Fading 또는 bleaching은 형광현미경 실험의 문제점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Mounting medium에 antifade agent를 첨가하면 fading의 속도를 감소시키켜 장시간 관찰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mounting medium은 glycerol-based medium으로 buffer, antifade agent를 포함합니다(specimen의 장기 보관을 위해 polyvinyl alcohol mounting medium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Glycerol-based anti-fade mounting medium에 대해서 잠시 말씀드리면(회사에서 공급되는 시약의 정확한 조성은 잘 모르겠습니다), H20에 의해 anti-fade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물을 잘 없애 주는 것이 중요하고 Triton X-100 등의 detergent는 anti-fade solution을 오히려 quenching solution으로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detergent를 mounting하기 전에 완전히 없애 주는게 중요하죠... 또한 조성 중에 p-phenylenediamine이 들어 있는데 이는 빛에 의해서 산화가 잘 되고 그러면 fluorescent product로 바뀌는데 nuclei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경향이 있어 background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파는 anti-fade agent들의 경우 회사 manual에 따라 하시면 크게 문제는 없을 겁니다. 여러시약을 동시에 비교한 적이 없지만 molecular probes에서 나온 제품을 큰 문제 없이 저는 사용했습니다. molecular probes에서 여러 종류의 antifade agent가 나오는데 어떤 형광으로 실험을 했는지에 따라서 조금씩 antifade effect가 다릅니다. 그러니 혹시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molecular probes에서 나온 자료를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intracellular ion-sensitive fluorescence probe를 cell에 loading하여 intracellular 수준의 probe변화를 관찰하고자 합니다. >기초 실험을 몇번 하였는데 문제가 되는것은 >형광현미경 관찰하는 동안 fluorescence가 저절로 quenching되는 것입니다. 실험 목적이 treatments에 의한 fluorescence의 quenching인데 자연적인 quenching인지 treatments에 의한 quenching인지 알 수 없더군요. > >그래서 anti-fade reagent를 사용하려 하는데, 제가 찾아본 결과 sigma에서의 DABPI와 molecular probe에서 나온 Gold antifade reagent를 보았습니다. 어떤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할까요? >혹은 좀더 안정하고 좋은 다른 reagent가 있나요? > >그리고 fluorescence를 관찰하는데 또다른 좋은 방법들이 있나요? > >전문가 여러분의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