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플라스틱 crack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자동차 전장품 회사에서 기구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설계하는데 요즘 사출물중 강제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 중에 crack이 발생되는데 막연하게 원인을 재료가 내부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crack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플라스틱 재료는 pc를 쓰는데 재질을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꾼다면 강제결합 방식으로 방수까지 되는 구조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plast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준영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자동차 전장품 회사에서 기구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설계하는데 >요즘 사출물중 강제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 중에 crack이 발생되는데 >막연하게 원인을 재료가 내부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crack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플라스틱 재료는 pc를 쓰는데 재질을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꾼다면 강제결합 방식으로 방수까지 되는 구조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자동차 전장품 중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용도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기계적 물성이 범용고분자보다는 다소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고 하였는데, 현재 강제결합 방식이라고 말하는 분야에서 사용하기에는 기계적물성이 낮은것 같습니다. 내부응력을 줄이던지 아니면 그러한 응력에 견딜수 있는 재료를 선정하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시중에 high impact 또는 다기능화된 polycarbonate 가 나와있는것으로 알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자동차 전장품 회사에서 기구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설계하는데 >요즘 사출물중 강제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 중에 crack이 발생되는데 >막연하게 원인을 재료가 내부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crack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플라스틱 재료는 pc를 쓰는데 재질을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꾼다면 강제결합 방식으로 방수까지 되는 구조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자동차 전장품 중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용도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기계적 물성이 범용고분자보다는 다소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고 하였는데, 현재 강제결합 방식이라고 말하는 분야에서 사용하기에는 기계적물성이 낮은것 같습니다. 내부응력을 줄이던지 아니면 그러한 응력에 견딜수 있는 재료를 선정하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시중에 high impact 또는 다기능화된 polycarbonate 가 나와있는것으로 알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자동차 전장품 회사에서 기구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설계하는데 >요즘 사출물중 강제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 중에 crack이 발생되는데 >막연하게 원인을 재료가 내부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crack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플라스틱 재료는 pc를 쓰는데 재질을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꾼다면 강제결합 방식으로 방수까지 되는 구조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에 크랙이 발생하는 이유는 충격이나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원인 파악이 가장 어려운 부분은 케미칼 크랙입니다. 케미칼 크랙은 사용하는 플라스틱과 화학 반응이 일어나 진행성크랙을 만드는데 이 부분이 가장 큰 문제이지요. 보통 플라스틱 금형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유를 사용하는데 신규금형 제작시 방청유를 깨끗이 청소해야 하며, 방청유를 사용한 플라스틱은 필히 폐기해야합니다. 스크랩 원료로 이것을 사용하면 크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든요. 또한, 플라스틱에 구분관리를 위하여 페인트 마커등을 사용하는데 이런 것도 크랙의 원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자동차 전장품 회사에서 기구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설계하는데 >요즘 사출물중 강제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 중에 crack이 발생되는데 >막연하게 원인을 재료가 내부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crack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플라스틱 재료는 pc를 쓰는데 재질을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꿔야 >좋은지?? >구조를 바꾼다면 강제결합 방식으로 방수까지 되는 구조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에 크랙이 발생하는 이유는 충격이나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원인 파악이 가장 어려운 부분은 케미칼 크랙입니다. 케미칼 크랙은 사용하는 플라스틱과 화학 반응이 일어나 진행성크랙을 만드는데 이 부분이 가장 큰 문제이지요. 보통 플라스틱 금형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유를 사용하는데 신규금형 제작시 방청유를 깨끗이 청소해야 하며, 방청유를 사용한 플라스틱은 필히 폐기해야합니다. 스크랩 원료로 이것을 사용하면 크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든요. 또한, 플라스틱에 구분관리를 위하여 페인트 마커등을 사용하는데 이런 것도 크랙의 원인이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