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2-28
org.kosen.entty.User@23d64d8c
이성일(major1)
- 1
저희 학교에 있는 BX51(현미경) 형광 필터는
1-> BF(empty)
2-> WU
3-> WB
4-> WG
1번 BF는 bright field 의 약자입니다. 일반 명시야로 관찰 가능한 필터 위치입니다.
2,3,4는 통칭 U,G,B 라고 명합니다.
해당 이니셜은 Ultraviolet, Green, Blue의 약자입니다.
WU는 U-MWU2와 비슷하고
WB는 U-MWIB2
WG 는 U-MWIG2 와 비슷합니다.
U 는 대략 푸른색 계통의 파장을
B 는 대략 초록색 계통
G 는 대략 붉은색 계통의 파장이 보여집니다.
이렇게 저희 학교의 형광 필터는 3가지가 있습니다..
그런데..제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은 재조합된 효모(항생물질이 세포 표면
에 응축된)와 바실러스류를 같은 배양액에서 넣어 주었을때 재조합 효모
가 바실러스를 얼마나 저해하는 지에 대한 사진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바실러스와 효모에 각각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형
광 시약이 필요한데요..
어떤 시약을 어떻게 사용 해야 되는지..알고 싶습니다..
이에 대한 의견 주시면 감사 하겟스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 yeast
- bacillu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허광래님의 답변
2004-12-29- 0
질문을 보고 한참 생각했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네요.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1) 현미경 두가지 emission 파장을 동시에 보는 일반 형광현미경이 있나요? 이렇게 하고 싶으면 confocal을 봐야겠지요.. 2)바실러스와 효모에 특이적인 형광체 prokaryote와 eukaryotes이긴 하지만 바실러스는 모르겠지만, 효모에 특이적인 형광 물질 혹은 항체라고 따로 파는 것도 없는 것 같고...(혹시 있음 가르쳐 주세요!) 3) 궁여지책 내용을 보니 유전자 조작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이 되니, GFP, RFP 등등 형광을 내는 가장 값 싸고 경제적인 단백질을 유전자 조작 (transfection or gene replacement) 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4) 조심사항 두 형광 물질 모두 다 형광 상태가 원하는 만큼 지속이 되질 않을터이니, 꼭 anti-fading agent를 잘 사용하세요. 좋은 anti-fading agent 있으면 소개 좀 시켜주세요. 일반형광현미경을 본다면 두 파장에서 찍은 후 그림을 합쳐야겠지요. Good Luck! >저희 학교에 있는 BX51(현미경) 형광 필터는 > >1-> BF(empty) >2-> WU >3-> WB >4-> WG > > 1번 BF는 bright field 의 약자입니다. 일반 명시야로 관찰 가능한 필터 위치입니다. >2,3,4는 통칭 U,G,B 라고 명합니다. >해당 이니셜은 Ultraviolet, Green, Blue의 약자입니다. >WU는 U-MWU2와 비슷하고 >WB는 U-MWIB2 >WG 는 U-MWIG2 와 비슷합니다. > >U 는 대략 푸른색 계통의 파장을 > >B 는 대략 초록색 계통 > >G 는 대략 붉은색 계통의 파장이 보여집니다. > >이렇게 저희 학교의 형광 필터는 3가지가 있습니다.. > >그런데..제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은 재조합된 효모(항생물질이 세포 표면 > >에 응축된)와 바실러스류를 같은 배양액에서 넣어 주었을때 재조합 효모 > >가 바실러스를 얼마나 저해하는 지에 대한 사진이 필요합니다.. > >그러기 위해서는 바실러스와 효모에 각각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형 > >광 시약이 필요한데요.. > >어떤 시약을 어떻게 사용 해야 되는지..알고 싶습니다.. > >이에 대한 의견 주시면 감사 하겟스니다.. > >좋은 하루 되십시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