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04
org.kosen.entty.User@6fa29efe
오꽃님(25minites)
- 3
용액공정이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용액공정에 관련된 논문이나 자료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용액공정이 이루어지는지,
그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자료는 없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 용액공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오꽃님님의 답변
2005-01-04- 0
답변 감사드리구요. 제가 중점적으로 알고자 하는 부분은 고분자쪽에서의 용액공정과정입니다. 고분자쪽으로 용액공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예를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죄송한데..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용액공정이라면 Solute/Solute, Solvent/Solvent,Solute/Solvent간의 내부분자 역학적 힘이나 용액내에서 일어나는 엔트로피의 변화등을 이론적 기초하에서 실제 공정에 적용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하는 과정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용액공정이 응용되는 분야는 화학공학 및 열역학 및 고분자등 다양하게 이루어 집니다. > >고분자 레올로지 분야도 이 중 하나의 경우에 속합니다. >제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설탕과 물이 50 대 50 으로 섞이면 용액이된 설탕물은 100이 안된다는 것입니다.이는 용매와 용질간의 내부분자간의 힘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요즈음은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고분자 용액공정 중합에 응용을 합니다. > >이론적으로 접할 수 있는 책은 많이 있습니다. > >열역학중 용액열역학 분야와 고분자중 용액 property Relatione등이 용액공정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용액(Solution)의 경우 이상용액(ideal solution)을 모델로 하여 기본 이론을 만들지만 실제 용액은 이상용액과 다른 거동을 하게 되어 이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을 사용해서 취급함이 편리하다고 하여 과잉물성치라고 부르며 이를 수식으로 공정에 적용합니다. >조금 더 세밀하게 들어가면 분자간의 결합 및 반응에 의한 내부구조의 변화등으로 복잡하게 다루어 집니다. 고분자 레올로지의 경우는 통계학 및 분자 열역학, 수학적 모델등으로 여러 학문과의 연계성도 가지 있습니다. > >실제 용액공정을 다루는 부분을 볼려면 구체적인 분야를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고분자에서의 용액공정으로 말입니다. > >일단은 용액열역학을 보시고 Solvent/Solute interaction 관련 핸드북을 보시면 좋습니다. > >Handbook of Solvents >Edited by: Wypych>, G. © 2001 ChemTec Publishing >This book is a comprehensive and extensive textual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solvent selection and use in solution interaction. It is a balanced presentation of solvent performanc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and health issues. > >Handbook of Polymer-Liquid Interaction Parameters, CRC Press이 용액공정의 이론을 배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용액 열역학 관련 책들이 많이 있습니다. 공정분야는 구체적인 field 전문 서적을 보셔야 합니다.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5-01-04- 0
용액공정이라면 Solute/Solute, Solvent/Solvent,Solute/Solvent간의 내부분자 역학적 힘이나 용액내에서 일어나는 엔트로피의 변화등을 이론적 기초하에서 실제 공정에 적용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하는 과정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용액공정이 응용되는 분야는 화학공학 및 열역학 및 고분자등 다양하게 이루어 집니다. 고분자 레올로지 분야도 이 중 하나의 경우에 속합니다. 제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설탕과 물이 50 대 50 으로 섞이면 용액이된 설탕물은 100이 안된다는 것입니다.이는 용매와 용질간의 내부분자간의 힘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요즈음은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고분자 용액공정 중합에 응용을 합니다. 이론적으로 접할 수 있는 책은 많이 있습니다. 열역학중 용액열역학 분야와 고분자중 용액 property Relatione등이 용액공정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용액(Solution)의 경우 이상용액(ideal solution)을 모델로 하여 기본 이론을 만들지만 실제 용액은 이상용액과 다른 거동을 하게 되어 이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을 사용해서 취급함이 편리하다고 하여 과잉물성치라고 부르며 이를 수식으로 공정에 적용합니다. 조금 더 세밀하게 들어가면 분자간의 결합 및 반응에 의한 내부구조의 변화등으로 복잡하게 다루어 집니다. 고분자 레올로지의 경우는 통계학 및 분자 열역학, 수학적 모델등으로 여러 학문과의 연계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용액공정을 다루는 부분을 볼려면 구체적인 분야를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고분자에서의 용액공정으로 말입니다. 일단은 용액열역학을 보시고 Solvent/Solute interaction 관련 핸드북을 보시면 좋습니다. Handbook of Solvents Edited by: Wypych, G. © 2001 ChemTec Publishing This book is a comprehensive and extensive textual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solvent selection and use in solution interaction. It is a balanced presentation of solvent performanc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and health issues. Handbook of Polymer-Liquid Interaction Parameters, CRC Press이 용액공정의 이론을 배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용액 열역학 관련 책들이 많이 있습니다. 공정분야는 구체적인 field 전문 서적을 보셔야 합니다.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5-01-05- 0
고분자 분야라면 아래 4가지가 용액공정과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데 요즈음은 용액중합은 거의 사용빈도가 적구요 대신 에멀전중합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1) Bulk Polymerization (2) Solution Polymerization (3) Suspension Polymerization (4) Emulsion Polymerization 간단한 공정을 보시려면 고분자 화학책이나 고분자 공정책을 보시면 나와 있습니다. 사이트 상에 나온 것중 예가 소개된 것은 아래를 보시기 바랍니다. http://blog.empas.com/tiamo0/65038 http://www.dooman.co.kr/rub.htm http://www.cinelove.net/plastic.htm http://www.jinanpvc.co.kr/html/process/process_01.htm 고분자에서의 용액중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용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중합이라 Solution Polymerization이라고 하며, 용매로서는 Monomer 및 Polymer 양자에 대하여 용해성이 있는 경우(균일계)와 Polymer에는 용해성이 없는 경우(불균일계 중합)가 있다. 용액중합은 반응온도와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용매가 성장반응의 정지작용이나 연쇄이동의 작용을 하여 고분자량의 Polymer를 얻기 어려울 때가 있다. Solution Polymerization은 학문적 연구에는 가끔 응용되지만 공업적으로는 일반적이 아니며, 비교적 저중합도의 Polyvinylacetate, Methacrylic Acid, Ester, Butadiene계 합성고무 등의 제조나 Graft Polymerization 등에 사용되고 있다. 용액공정이라는 광범위한 영역을 모두 알려드리기에는 오히려 전공서적을 보시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용액공정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1. Polymer colloids, R. Buscall and T. Corner, Elsevier applied sci. publishers, LOndon and New York 2. Introduction to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용액공정과 관련된 고분자 공정을 보면 위의 4가지 공정이 있습니다. 고분자 개론을 보아도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리구요. >제가 중점적으로 알고자 하는 부분은 고분자쪽에서의 용액공정과정입니다. >고분자쪽으로 용액공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예를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죄송한데..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