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04
org.kosen.entty.User@58629d8a
최진(cjin33)
- 3
논문을 읽다가 flavonoid라는 물질이 산화억제제 (antioxidant)을 한다고
합니다. 모든 질병의 원인이 생체 내의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어서 이 물질을 약 개발에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질병의 원인이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산화억제제가 어떻게 질병의 활성을 낮추는지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자료라도 있으면 cgene33@hanmail.net으로 보내 주세요^^;;;
고맙습니다.
- 산화작용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1-04- 0
대답하기에 어려운 질문인 듯 하지만 제 개인적 소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체의 모든 질환이 산화작용과 관련 있다고 말하기에는 조금 조심스러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아니라고 단정지을 만한 근거도 불충분하구요. 예를 들면 특정 유전자의 변이(dominant or recessive)로 인해 발병되고 transmission이 되는 유전질환(genetic disease)의 경우, 일차 병인은 유 전자의 변이에 있다고 봐야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질환의 발병 시기입니 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Familial Alzheimer의 경우 40대에 질병의 증상 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걸로 기억되는데, 유전자의 변이 만으로는 발병 시 기를 설명하기 힘들다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산화적 손상이 질병의 일차적 원인이라기 보다 promotion 또는 accelaration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봐야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확실한 인과관계를 정립하려면 Cohort Study를 해서 산화적 손상을 많는 것과 질환 발생과의 관련성을 조사해야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무척 어렵겠죠... 물론 association study를 하면 질병과의 관련성이 조사는 됩니다만 질환에 의해 산화적 손상이 유도되는지 산화적 손상이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인지 인과관계를 따지기 힘들죠... 산화제는 DNA, lipid, protein, sugar 등 거의 모든 생체고분자의 변형을 유도하기 때문에 생체내의 복구 시스템의 능력을 벗어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KOSEN expert review 2004/11/29에 나온 발암 과정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역할이란 분석물을 보시면 전반적인 개념이 나와 있을 겁니다. 한번 참고해 보세요... > >논문을 읽다가 flavonoid라는 물질이 산화억제제 (antioxidant)을 한다고 >합니다. 모 질병의 원인이 생체 내의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어서 이 물질을 약 개발에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 >질병의 원인이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산화억제제가 어떻게 질병의 활성을 낮추는지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 >자료라도 있으면 cgene33@hanmail.net으로 보내 주세요^^;;; > >고맙습니다. -
답변
김동욱님의 답변
2005-01-05- 0
생명공학연구소 보고서입니다. 많은 도움이될길바랍니다. ---- 내용은 일부는 아래와 같습니다. (중략) 산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원소로서 (53.8%) 건조 대기중의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호기성 생물은 이렇게 풍부한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이지만 안정한 분자상태인 기저삼중항산소 (ground state triplet oxygen)가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superoxide radical, O2÷) 하이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 HO•),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일중항산소 (singlet oxygen, 1O2)와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 (active oxygen)로 전환되면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이들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류마티스,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1, 표 1).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 결과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로 인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하생략--- 첨부차일보세요. > >논문을 읽다가 flavonoid라는 물질이 산화억제제 (antioxidant)을 한다고 >합니다. 모든 질병의 원인이 생체 내의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어서 이 물질을 약 개발에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 >질병의 원인이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산화억제제가 어떻게 질병의 활성을 낮추는지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 >자료라도 있으면 cgene33@hanmail.net으로 보내 주세요^^;;; > >고맙습니다. -
답변
최진님의 답변
2005-01-07- 0
>생명공학연구소 보고서입니다. >많은 도움이될길바랍니다. > >---- >내용은 일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중략) > >산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원소로서 (53.8%) 건조 대기중의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호기성 생물은 이렇게 풍부한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이지만 안정한 분자상태인 기저삼중항산소 (ground state triplet oxygen)가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superoxide radical, O2÷) 하이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 HO•),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일중항산소 (singlet oxygen, 1O2)와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 (active oxygen)로 전환되면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이들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류마티스,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1, 표 1).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 결과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로 인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하생략--- >첨부차일보세요. > > > > > > > > > > >> >>논문을 읽다가 flavonoid라는 물질이 산화억제제 (antioxidant)을 한다고 >>합니다. 모든 질병의 원인이 생체 내의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어서 이 물질을 약 개발에>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 >>질병의 원인이 산화작용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산화억제제가 어떻게 질병의 활성을 낮추는지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 >>자료라도 있으면 cgene33@hanmail.net으로 보내 주세요^^;;; >>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