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종균의 보관...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glycero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동욱님의 답변

    종균을 받으면 당연히 뿔려서 그 실험이 끝날때 까지 사용할 수 있는 총알(?)을 준비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글리세롤을 사용하는 방법은 비교적 단기적 방법으로 (보통 1~2 년), 좀 더 중장기로 보존하고 싶으면 건조동결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방법은 특수한 기구 등이 필요하므로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중요한 고려 사항: 글리세롤의 농도, 초저온 냉동고의 보관 온도, 배지의 삼투압 고려, 보존제 종류 및 냉동 속도 (얼음의 결정 상태때문임) 1)글리세롤의 농도는 최종농도가 20-50% 정도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글리세롤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더 저온에서 보관하여야 하지만, 녹일때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선호됩니다. 2)얼음의 결정을 균일하게 만들어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 알콜, trehalose, DMS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균주마다 농도와 처리시간이 다양하므로 꼭 관련된 논문을 찾아서 확인 후 사용하여야 함. (Pubmed에서 cryoprotective agents 혹은 cryoprotection으로 검색해 보십시요. 3) 또 하나 중요한 고려사항은 배지의 삼투압과 생리상태입니다. 액체 배양을 저삼투압배지 (즉 synthetic medium)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보관시에는 될 수 있으면 영양배지로 바꾸어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즉 삼투압이 높은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세포는 원래 환경에 비하여 삼투압이 높은 상황이므로, 얼리고 녹이는 과정에서 삼투압이 낮으면 터져서 죽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될 수 있으면 고체배지 보다는 액체배지에 키워서 로그상태의 성장을 보이는 말기( 가장 좋은 생리상태)에 총알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KCTC의 웹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좋은 정보를 얻 수 있습니다.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종균을 받으면 당연히 뿔려서 그 실험이 끝날때 까지 사용할 수 있는 총알(?)을 준비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글리세롤을 사용하는 방법은 비교적 단기적 방법으로 (보통 1~2 년), 좀 더 중장기로 보존하고 싶으면 건조동결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방법은 특수한 기구 등이 필요하므로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중요한 고려 사항: 글리세롤의 농도, 초저온 냉동고의 보관 온도, 배지의 삼투압 고려, 보존제 종류 및 냉동 속도 (얼음의 결정 상태때문임) 1)글리세롤의 농도는 최종농도가 20-50% 정도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글리세롤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더 저온에서 보관하여야 하지만, 녹일때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선호됩니다. 2)얼음의 결정을 균일하게 만들어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 알콜, trehalose, DMS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균주마다 농도와 처리시간이 다양하므로 꼭 관련된 논문을 찾아서 확인 후 사용하여야 함. (Pubmed에서 cryoprotective agents 혹은 cryoprotection으로 검색해 보십시요. 3) 또 하나 중요한 고려사항은 배지의 삼투압과 생리상태입니다. 액체 배양을 저삼투압배지 (즉 synthetic medium)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보관시에는 될 수 있으면 영양배지로 바꾸어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즉 삼투압이 높은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세포는 원래 환경에 비하여 삼투압이 높은 상황이므로, 얼리고 녹이는 과정에서 삼투압이 낮으면 터져서 죽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될 수 있으면 고체배지 보다는 액체배지에 키워서 로그상태의 성장을 보이는 말기( 가장 좋은 생리상태)에 총알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KCTC의 웹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좋은 정보를 얻 수 있습니다.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용국님의 답변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균주보존은행 (KCTC, KCCM, ATCC, JCM 등) 혹은 다른 연구기관으로부터 균주를 분양받은 후 이들을 장기보존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음. 1)증류수(75-85%) + glycerol (25-15%)를 혼합한 후, 1.5ml의 cryo tube에 0.5-1ml을 분주하여 가열멸균(auto claving)함. 가열멸균된 cryo tube를 실온까지 식힌 후, 여기에 배양한 균주(액체배양의 경우 원액 0.1ml정도를 첨가,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백금이로 적당량을 긁어서 현탁시킴)를 더하여 균일하게 현탁시킴. vortex로 한두번 mixing 시킴. 그리고 -76도의 deep freezer에 보존함. 그리고, deep freezer가 없으면 -20도의 냉동고에 보존하여도 가능함. 그리고, 이때 cryo tube를 최소한 2개이상을 만들어서 보존하는 것이 좋음. 2) 증류수(75-85%) 대신에 균주에 맞는 액체배지를 사용해도 무방함. 특히 호염성세균의 경우 액체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균주보존은행 (KCTC, KCCM, ATCC, JCM 등) 혹은 다른 연구기관으로부터 균주를 분양받은 후 이들을 장기보존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음. 1)증류수(75-85%) + glycerol (25-15%)를 혼합한 후, 1.5ml의 cryo tube에 0.5-1ml을 분주하여 가열멸균(auto claving)함. 가열멸균된 cryo tube를 실온까지 식힌 후, 여기에 배양한 균주(액체배양의 경우 원액 0.1ml정도를 첨가,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백금이로 적당량을 긁어서 현탁시킴)를 더하여 균일하게 현탁시킴. vortex로 한두번 mixing 시킴. 그리고 -76도의 deep freezer에 보존함. 그리고, deep freezer가 없으면 -20도의 냉동고에 보존하여도 가능함. 그리고, 이때 cryo tube를 최소한 2개이상을 만들어서 보존하는 것이 좋음. 2) 증류수(75-85%) 대신에 균주에 맞는 액체배지를 사용해도 무방함. 특히 호염성세균의 경우 액체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Glycerol은 sticky하여 잘 따지지도 않고 정확한 %도 맞추기 힘듭니다. 이에 비해 DMSO는 훨씬 수월하죠. 앞 분들이 잘 설명하셨지만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하면.. 그냥 LB broth에 키우다가 930 ul씩 따서 여러 개의 tube에 넣고 DMSO 70 ul (7% final)씩을 첨가하여 섞어서 deep freezer에 보관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으로 하여 몇번씩 얼렸다 녹였다 해도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종균을 분양받고 나면, 그 균을 여러개를 만들어서 보관해야 할텐데요.. >글리세롤 스탁을 이용한다는데.. >어떻게 이용한다는건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원리는 무엇인지 좀 갈쳐 주세요~~~ > Glycerol은 sticky하여 잘 따지지도 않고 정확한 %도 맞추기 힘듭니다. 이에 비해 DMSO는 훨씬 수월하죠. 앞 분들이 잘 설명하셨지만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하면.. 그냥 LB broth에 키우다가 930 ul씩 따서 여러 개의 tube에 넣고 DMSO 70 ul (7% final)씩을 첨가하여 섞어서 deep freezer에 보관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으로 하여 몇번씩 얼렸다 녹였다 해도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