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06
org.kosen.entty.User@3328bcb9
최진(cjin33)
- 3
논문을 읽다가 Inhibitor의 크기의 결과를 Dixon Plot으로 그렸습니다.
저는 double-reciprocal plot을 들어 보았지만, Dixon plot을 처음 들어
봤습니다.
X축에는 inhibitor의 양, Y축에는 1/V로 되어 있었습니다.
어떻게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Inhibi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1-06- 0
기억이 좀 가물가물 거려서...일단은 기억하는 선까지 말씀드리면... Kinetic parameter (예를 들면, Km, Vmax, Ki)를 구하기 위해 plotting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말씀하신 double-reciprocal plot(Lineweaver-Burk plot), Eadie - Hofstee plot, Hanes - Woolf plot, Eadie - Scatchard plot 등의 많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ineweaver-Burk plot은 substrate 농도와 velocity의 역수로 plotting을 하게되는데 여기서는 Km과 Vmax값을 구할 수 있죠.. Inhibitor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해도 Plot 상에서 Ki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Km과 Vmax의 변화값을 구해내는 거죠...그러므로, Ki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Secondary plot을 이용하거나 공식을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x축을 inhitor의 농도로 놓고 y축을 velocity의 역수로 놓는 Dixon plot은 (Dixon의 효소 역동학의 대가 중의 한명이죠...) Substrate의 농도 (보통 3 point이상)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하게 되는데 graph 상에서 각각의 slope가 intersect하는 지점의 x 축 값이 -Ki 가 되기 때문에 바로 inhibitor의 Ki값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대로 설명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다시 한번 질문을 해 주세요... 저도 다시 찾아보고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 논문을 읽다가 Inhibitor의 크기의 결과를 Dixon Plot으로 그렸습니다. > 저는 double-reciprocal plot을 들어 보았지만, Dixon plot을 처음 들어 > 봤습니다. > X축에는 inhibitor의 양, Y축에는 1/V로 되어 있었습니다. > 어떻게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지 르겠습니다. > 부탁드립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5-01-06- 0
전주홍님이 너무나 잘 설명해 주셔서... Dixon plot은 inhihitor의 Ki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3개이상의 기질 농도를 달리해서 구하는 것도 정확합니다. 첨부해 드리는 것은 dixon plot을 설명한 파일하고 실제 실험해서 논문을 쓴 것을 첨부해 드립니다. >기억이 좀 가물가물 거려서...일단은 기억하는 선까지 말씀드리면... > >Kinetic parameter (예를 들면, Km, Vmax, Ki)를 구하기 위해 > >plotting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 >말씀하신 double-reciprocal plot(Lineweaver-Burk plot), Eadie - > >Hofstee plot, Hanes - Woolf plot, Eadie - Scatchard plot 등의 많은 > >방법들이 있습니다.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ineweaver-Burk plot은 substrate 농도와 > >velocity의 역수로 plotting을 하게되는데 여기서는 Km과 Vmax값을 > >구할 수 있죠.. Inhibitor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해도 > >Plot 상에서 Ki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Km과 Vmax의 > >변화값을 구해내는 거죠...그러므로, Ki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 >Secondary plot을 이용하거나 공식을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이에 반해 x축을 inhitor의 농도로 놓고 y축을 velocity의 역수로 놓는 > >Dixon plot은 (Dixon의 효소 역동학의 대가 중의 한명이죠...) > >Substrate의 농도 (보통 3 point이상)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하게 > >되는데 graph 상에서 각각의 slope가 intersect하는 지점의 x 축 값이 > >-Ki 가 되기 때문에 바로 inhibitor의 Ki값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 >있습니다. > >제대로 설명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 >다시 한번 질문을 해 주세요... 저도 다 찾아보고 좀 더 자세한 > >답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 > > > > > > > >> 논문을 읽다가 Inhibitor의 크기의 결과를 Dixon Plot으로 그렸습니다. >> 저는 double-reciprocal plot을 들어 보았지만, Dixon plot을 처음 들어 >> 봤습니다. >> X축에는 inhibitor의 양, Y축에는 1/V로 되어 있었습니다. >> 어떻게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지 > 르겠습니다. >> 부탁드립니다. -
답변
최진님의 답변
2005-01-07- 0
>전주홍님이 너무나 잘 설명해 주셔서... > >Dixon plot은 inhihitor의 Ki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3개이상의 기질 농도를 달리해서 구하는 것도 정확합니다. >첨부해 드리는 것은 dixon plot을 설명한 파일하고 >실제 실험해서 논문을 쓴 것을 첨부해 드립니다. > >>기억이 좀 가물가물 거려서...일단은 기억하는 선까지 말씀드리면... >> >>Kinetic parameter (예를 들면, Km, Vmax, Ki)를 구하기 위해 >> >>plotting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 >>말씀하신 double-reciprocal plot(Lineweaver-Burk plot), Eadie - >> >>Hofstee plot, Hanes - Woolf plot, Eadie - Scatchard plot 등의 많은 >> >>방법들이 있습니다.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ineweaver-Burk plot은 substrate 농도와 >> >>velocity의 역수로 plotting을 하게되는데 여기서는 Km과 Vmax값을 >> >>구할 수 있죠.. Inhibitor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해도 >> >>Plot 상에서 Ki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Km과 Vmax의 >> >>변화값을 구해내는 거죠...그러므로, Ki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 >>Secondary plot을 이용하거나 공식을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이에 반해 x축을 inhitor의 농도로 놓고 y축을 velocity의 역수로 놓는 >> >>Dixon plot은 (Dixon의 효소 역동학의 대가 중의 한명이죠...) >> >>Substrate의 농도 (보통 3 point이상)를 달리하면서 plotting을 하게 >> >>되는데 graph 상에서 각각의 slope가 intersect하는 지점의 x 축 값이 >> >>-Ki 가 되기 때문에 바로 inhibitor의 Ki값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 >>있습니다. >> >>제대로 설명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 >>다시 한번 질문을 해 주세요... 저도 다 > 찾아보고 좀 더 자세한 >> >>답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 >> >> >> >> >> >> >> >>> 논문을 읽다가 Inhibitor의 크기의 결과를 Dixon Plot으로 그렸습니다. >>> 저는 double-reciprocal plot을 들어 보았지만, Dixon plot을 처음 들어 >>> 봤습니다. >>> X축에는 inhibitor의 양, Y축에는 1/V로 되어 있었습니다. >>> 어떻게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지 > 르겠습니다. >>>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