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11
org.kosen.entty.User@53f8a36a
김홍유(ikechi)
- 3
하이샤시라는 창틀을 만드는 압출성형공정에서
냉각공정에 관한 것입니다.
캘리브레이션에 들어가는 메인캘리에
플라스틱바(창틀)가 지나가면서 공정수(공업용수)로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때 캘리브레이션에서 진공을 걸어 형상을 잡습니다.
양이 많거나하면 부하가 발생하여 잔떨림이나 표면이
이상해집니다.
operator들은 윤활유를 뿌려 주는데..
순간적인 방법일뿐이지요
그래서 공정수에 미끄러운 성질에 화학물질을
희석해주면 좋을꺼란 생각에..
당연히 공정수는 operator들의 손길이 가는 것이니
인체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환경에도 무관한 것이 좋겠지요.
부탁드립니다.
- extrusion
- calibr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대진님의 답변
2005-01-14- 0
문제가 무었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윤활유 역할을 하는 물질을 물에 썩어주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류를 찾아보는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이유는 1. 물에 섞이기 위해서는 찾는 물질이 친수성을 가져야하고 2. 윤할역할을 하는 물질의 대부분을 오일성분(소수성)인데 3.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물질은 계면활성제입니다. 문의하신 물질은 관련된 것과 별도로 현재 공성상에 문제가 생긴 근본원인과 관련하여 Profile Extrusion 냉각공정에서 진공을 거는 이유는 잘 아시리라 생각되며 “양이 많거나 부하가 발생하여 단떨림이나 표면이 이상해진다..“ 는 부분에서 “양이 많다는 것이 압출량을 의미하거나 “부하가 발생한다“는 것이 압출기의 부하를 의미한다면 압출기 자체를 Modification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진공을 가하는 공간과 제품(창틀)부위가 Sealing이 잘되야 진공의 손실/Hunting이 없어지는데 부하가 발생/압출량이 흔들리게되면 접촉면에서 진공손실이 생겨 표면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해결방법은 압출기끝과 Die 중간 (예 Adapter 전후)에 압력계를 설치하고 압출기 Screw Main Motor와 연동시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면 압출량의 흔들림을 상당부분 막을수 있을거라 예상됩니다. >하이샤시라는 창틀을 만드는 압출성형공정에서 >냉각공정에 관한 것입니다. >캘리브레이션에 들어가는 메인캘리에 >플라스틱바(창틀)가 지나가면서 공정수(공업용수)로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때 캘리브레이션에서 진공을 걸어 형상을 잡습니다. >양이 많거나하면 부하가 발생하여 잔떨림이나 표면이 >이상해집니다. >operator들은 윤활유를 뿌려 주는데.. >순간적인 방법일뿐이지요 >그래서 공정수에 미끄러운 성질에 화학물질을 >희석해주면 좋을꺼란 생각에.. >당연히 공정수는 operator들의 손길이 가는 것이니 >인체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환경에도 무관한 것이 좋겠지요. >부탁드립니다. -
답변
황민영님의 답변
2005-01-17- 0
수용성 윤활유를 뿌려주신다고 했는데요. 제가 아는 바로는 수용성 윤활유는 기름+계면활성제입니다. 그런데 수용성 윤활유가 물과 쉽게 섞이는것은 아닙니다. 그냥 윤활유만을 뿌리기 보다는, 사용하기전에 물과 수용성 윤활유를 pre-mix하여서 그 희석액을 뿌려준다면 효과를 증대 시킬수 있습니다. 그냥 원액을 뿌려주면 물층의 아래에 가라앉고, 일부는 물 위층에 떠올라서(분리되어서) 박테리아 발생이 생김으로 효율이 떨어진다는 현장 사용자의 의견입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
답변
정한모님의 답변
2007-11-03- 0
쿨란트를 사용하시면 어느정도는 가능하겠지만 쿨란트의 부패로 인한 교체비용과 폐수를 처리하기위한 2차 비용까지 고려하신다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는 없는것 같습니다. 썩지않는 쿨란트(절삭유)도 있지만 상당한 고가입니다. 통상 사출금형에는 질화처리정도는 하는것 같습니다만 프레스금형의 경우 TD처리 및 DLC 코팅등의 최신코팅기술이 있습니다. TD처리는 철판의 경우 광택을 얻을 정도로 표면 마무리가 우수하며, DLC코팅은 일본에서 최근 계발 된 공법으로 자체의 우수한 윤활성으로 금형수명과 제품의 Quality를 보다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윤활유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이샤시라는 창틀을 만드는 압출성형공정에서 >냉각공정에 관한 것입니다. >캘리브레이션에 들어가는 메인캘리에 >플라스틱바(창틀)가 지나가면서 공정수(공업용수)로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때 캘리브레이션에서 진공을 걸어 형상을 잡습니다. >양이 많거나하면 부하가 발생하여 잔떨림이나 표면이 >이상해집니다. >operator들은 윤활유를 뿌려 주는데.. >순간적인 방법일뿐이지요 >그래서 공정수에 미끄러운 성질에 화학물질을 >희석해주면 좋을꺼란 생각에.. >당연히 공정수는 operator들의 손길이 가는 것이니 >인체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환경에도 무관한 것이 좋겠지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