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18
org.kosen.entty.User@2ea7f6d2
주치언(goodguy17)
- 2
"미생물 Alginate Bead형성후 Bead 파쇄법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 저희 실험실에서 균주 배양후 Alginate를 이용하여
>
> Bead 형성을 하여서 물질을 반응시키려 합니다
>
> 근데 반응후의 생존균수를 확인하고쟈 하는데
>
> 균수확인법이나 Bead를 파쇄나 녹여서 재배양하는 방법을
>
> 아시는 분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 Alginate
- Bead
- Bead 파쇄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진용수님의 답변
2005-01-19- 0
Alginate bead의 생성이, ca++ 같은 이온에 의한 alginate 간의 가교 결합에 의한 것이므로, EDTA와 같이 금속이온과 강하게 결합하는 chelating agent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균수 확인을 위해서는 아는 부피의 chelating agent 용액에 적당량의 beads를 넣으시고 녹인후, 현미경을 이용해서 균수를 확인하신후, 나중에 넣으신 beads의 수로 나누어 주면 그게 각 bead당 생존한 균의 수가 되겠죠. >“미생물 Alginate Bead형성후 Bead 파쇄법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 >> 저희 실험실에서 균주 배양후 Alginate를 이용하여 >> >> Bead 형성을 하여서 물질을 반응시키려 합니다 >> >> 근데 반응후의 생존균수를 확인하고쟈 하는데 >> >> 균수확인법이나 Bead를 파쇄나 녹여서 재배양하는 방법을 >> >> 아시는 분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 > -
답변
주치언님의 답변
2005-01-19- 0
>Alginate bead의 생성이, ca++ 같은 이온에 의한 alginate 간의 가교 결합에 의한 것이므로, EDTA와 같이 금속이온과 강하게 결합하는 chelating agent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균수 확인을 위해서는 아는 부피의 chelating agent 용액에 적당량의 beads를 넣으시고 녹인후, 현미경을 이용해서 균수를 확인하신후, 나중에 넣으신 beads의 수로 나누어 주면 그게 각 bead당 생존한 균의 수가 되겠죠. 균수 확인을 현미경을 이용한다고 했는데 CFU단위로 구하기 위해서 배지상에서 녹인액을 희석해서 배양한다면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