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1-29
org.kosen.entty.User@65969e83
신연남(yannan1016)
- 2
urea의 화학적성질과 특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ure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2005-01-29- 0
요소는 우리 몸에서 분비물로 배출되는 물질이지요. 생물공학에서는 단백질 변성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백질 구조를 변성시킨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단백질 접힘 과정을 이해할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inclusion body에 단백질이 있을 경우 6M 또는 8M 농도의 요소로 녹인후 역으로 여러 방법으로 단백질 구조를 가지게 하는데도 이용됩니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지만요. 요소에 대한 연구는 매우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의 구조와 관련해서 기초 연구들이 많이 되어 있습니다.최근 유기 화학자들은 요소 구조를 이용해 단백질 모방에도 이용한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어떤 관점에서 요소를 연구하느냐에 관련 논문들이 있으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곽지혜님의 답변
2005-02-09- 0
위 웹사이트로부터의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 요소 (尿素 urea) 분자식 CHNO. 탄산의 디아미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분자량 60.1, 녹는점 135℃, 비중은 1.335이며 공기 중에서 승화한다. 우레아·카르바미드라고도 한다. 동물의 요 중에 존재하므로 이런 명칭이 생겼다. 무색무취의 기둥모양결정이다. -------------------------------------- 분자식 CHNO. 탄산의 디아미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분자량 60.1, 녹는점 135℃, 비중은 1.335이며 공기 중에서 승화한다. 우레아·카르바미드(carbamide)라고도 한다. 동물의 요 중에 존재하므로 이런 명칭이 생겼다. 무색무취의 기둥모양결정이다. 1824년 독일의 F. 뵐러에 의해 최초로 시안산암모늄으로부터 합성되었다. 그 밖에 시안아미드화칼슘의 가수분해(石灰窒素加水分解法),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직접합성법) 등의 합성법이 있는데, 현재는 직접합성법이 공업적 방법의 주류가 되고 있다(중간물질인 카르바민산암모늄 생성을 부정하는 설도 있다). 2NH+COHNCONH HNCONHHNCONH+HO 물·에탄올에는 녹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150∼170℃에서 뷰렛 HNCONHCONH를 생성한다. 또 염기성이므로 황산구리를 가하면 보라색을 나타낸다. 요소는 1773년 프랑스의 화학자 H.M. 루엘에 의해 요 속에서 분리되었다. 앞에 서술한 뵐러의 합성은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유기물은 생물만이 합성할 수 있다는 생기론(生氣論)을 실험에 의해 부정한 것으로 유명하다. 많은 노르말사슬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와 내포화합물을 만들었다. 주로 비료·요소수지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 밖에 이뇨제와 최면제의 원료(바르비투르산유도체), 석유 속의 n-알칸의 추출, 히드라진과 멜라민의 합성원료로 쓰인다. 생체 중의 요소 동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척추동물의 혈액 및 체액을 비롯하여 포유류의 요속에 많은데, 선충류나 갑각류 또는 연체동물에서도 발견되며, 버섯과 곰팡이 등의 균류 속에도 약간 존재한다. 상어와 가오리 등 연골어류의 근육 속에는 다량의 요소가 함유되어 있다. 사람 및 그 밖의 포유류와 양서류의 성체(成體), 그리고 연골어류에서 요소는 단백질의 최종 분해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요소는 우레아제의 작용을 받아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생체 중에서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다시 암모니아를 거쳐 간에 존재하는 오르니틴회로(요소회로)에서 생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요소는 더 이상 이용되지 않고 요 속으로 배출된다. 사람의 경우 배출량은 하루에 25∼35g이다. 요의 질소성분의 80∼90%, 고형성분(固形成分)의 약 1/2을 차지한다. 요소를 배출하는 동물에서는 이 회로에서 필요한 효소가 모두 갖추어져 있는데, 만일 이 가운데서 한 가지라도 부족하면 조류는 요산을 배출하게 되고, 경골어류(硬骨魚類)는 암모니아를 배출한다. 요소는 신장을 통해 요속으로 배출되지만, 신장질환 또는 요로폐색이 있으면 혈중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혈중 및 요중의 요소값(尿素値)의 변동은 대표적인 임상화학 검사항목의 하나이다. 요소는 단백질과 핵산의 변성제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