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2-16
org.kosen.entty.User@68684754
송정희(jh5020)
- 1
사람혈청내 존재하는 IgG측정시 위양성 요소에는 어떤 요인이 있으며
또한 그러한 테스트시 위양성 요소 제거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관련된 논문이나 프로토콜 또는 경험담도 좋습니다.
serologic test시 위양성 제거 방법
부탁드립니다.
- Serologic test
- Toxoplasma gondii
- reumatoid fac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2-16- 0
일단은 Toxoplasma Serology에 관련하여 http://www.pamf.org/serology 도 참고가 되실 듯 합니다. keyword에 Toxoplasma로 적혀 있어서요... Specific antigen에 대한 IgG를 검출하는 방법은 여러방법이 있는데 (몇 개는 첨부 파일로 올렸습니다), assay 방법에 따라 결과의 sensititivy와 specificity는 다르니 한마디로 말하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Ag을 이용하여 Sandwich ELISA format으로 실험을 하는 경우에도 Ag을 full-length로 사용하느냐 partial fragment를 사용하느냐, 결국 어느 부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다르게 나오거든요... 이런 경우 특정 Ag을 아미노산 서열과 cross-reactivity가 있는 Ab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겠지요... 그런데 False-positive의 의미도 중요한데요... 1) Analytical specficity의 측면에서 보면 specific marker만을 검출해야 하는데 related marker와 구별을 잘 못해서 생기는 것이 될 수 있구요... 2) Clinical specificity의 측면에서 보면 specific marker만을 검출해 내기는 하나, clinical document와 관련없는 경우에도 specific marker가 검출되는 경우겠죠 (tumor-associated marker를 이용한 immunoassay의 경우 이런 경우들이 볼 수 있죠) 또한가지 고려해야할 문제는 gold standard를 뭘로 하느냐도 중요한 문제지요... 그래야만 true-positive와 false positive의 경계선이 확실히 나오겠죠...(gold standard의 sensitivity의 문제도 고려해 봐야겠죠) 원하는 대답은 못하고 엉뚱한 얘기만 한 것 같네요... 하시는 일 잘되시길 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