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2-21
org.kosen.entty.User@ec22fc1
송정희(jh5020)
- 1
mouse 공급업체가 바뀌면서 mouse에서 복수를 생산할때 양이 많이 줄었는데 혹시 mouse origin이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똑같은 cell을 injection했는데고 이전에 생산했던 복수양이 생기기 않고
또 mouse가 복수를 만들기 전에 빨리 죽고 있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걸까여..
- monoclonal antibodies
- asit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2-21- 0
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국내 mouse 공급업체에 따라서 ascites 생산량의 큰 차이를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Pristane 이나 incomplete Freund's adjuvant는 예전 protocol 대로 사용하고 계시는 지요... 또한 injection 할때의 세포상태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세포의 titer도 중요하겠지만 상태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Ascites 생산량이 높기 위해서는 soft-fluid tumor가 형성되어야 되는데 hybrid cell에 따라서 peritoneum에서 solid tumor가 잘 생성되기도 합니다. 이를 경우에는 Balb/c isogenic strain 보다 Balb/c와 CBA의 F1 또는 F2를 사용하면 immune rejection을 걱정하지 않으면서 ascites의 양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어린 마우스를 사용하면 ascitic fluid의 양을 많이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10주령 이상이 된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회사에서 6주령 이상된 쥐를 잘 팔지 않아서 마우스를 구입 후 한달 후에 hybridoma cell을 IP로 주입하고 있습니다. >mouse 공급업체가 바뀌면서 mouse에서 복수를 생산할때 양이 많이 줄었는데 혹시 mouse origin이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똑같은 cell을 injection했는데고 이전에 생산했던 복수양이 생기기 않고 >또 mouse가 복수를 만들기 전에 빨리 죽고 있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걸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