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Normalized maximum slope (NMS)란 용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부탁드립니다.
  • biosensor
  • gramicidin
  • N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실험시 분산 데이타가 있을 경우 통계처리에 의하여 샘플링을 할 때 1차적으로 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확인하고 그 범위내에 실험 범위를 고정하여 본 실험에 임하게 됩니다. 아마 질문하신 분이 biosensor와 관련하여 얻은 데이타를 처리하거나 분석할때 이미 NMS 화된 데이타 범위내에서 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먼저,정규화(Normalization) 하였다는 의미를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수학이나 통계에서 정규화란 어떤 얻어진 변수값이 정규분포나 정상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명 가우스 분포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어떠한 범위내에 바이오 센서로 실험을 하여 얻어진 데이타가 있다면 그 데이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가지고 (실제값-평균)/표준편차를 계산한 값을 정규화한 Z 값으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정규화한 값들은 분포 곡선을 그려서 통계적으로 처리하면 어떠한 구간내에서 어느 정도의 실험값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하는 근거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이 정규화한 그래프의 최대 기울기를 얻어서 데이타나 분석기법에서 아주 잘 정규화된 분포곡선과 비교하여 신뢰도를 확인합니다. 결론적으로 생물학적 데이타를 취급할때 Normalized maximum slope된 상태라면 변수의 범위를 충분히 정규화하여 최대의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하여 분석하거나 조사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그 변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실제 생물공학에서 예를 든다면 변수가 임의 분석 셀번호를 정하고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데이타를 처리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정규화된 데이타 범위내에 있지 않는 것은 데이타 분석시 제외하고 NMS안에 근접하는 셀 번호만 데이타 처리시 취한다는 의미입니다. 좀 더 실제적인 것을 보시려면 통계 수학이나 데이타 처리 기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부탁드립니다.
    실험시 분산 데이타가 있을 경우 통계처리에 의하여 샘플링을 할 때 1차적으로 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확인하고 그 범위내에 실험 범위를 고정하여 본 실험에 임하게 됩니다. 아마 질문하신 분이 biosensor와 관련하여 얻은 데이타를 처리하거나 분석할때 이미 NMS 화된 데이타 범위내에서 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먼저,정규화(Normalization) 하였다는 의미를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수학이나 통계에서 정규화란 어떤 얻어진 변수값이 정규분포나 정상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명 가우스 분포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어떠한 범위내에 바이오 센서로 실험을 하여 얻어진 데이타가 있다면 그 데이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가지고 (실제값-평균)/표준편차를 계산한 값을 정규화한 Z 값으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정규화한 값들은 분포 곡선을 그려서 통계적으로 처리하면 어떠한 구간내에서 어느 정도의 실험값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하는 근거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이 정규화한 그래프의 최대 기울기를 얻어서 데이타나 분석기법에서 아주 잘 정규화된 분포곡선과 비교하여 신뢰도를 확인합니다. 결론적으로 생물학적 데이타를 취급할때 Normalized maximum slope된 상태라면 변수의 범위를 충분히 정규화하여 최대의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하여 분석하거나 조사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그 변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실제 생물공학에서 예를 든다면 변수가 임의 분석 셀번호를 정하고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데이타를 처리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정규화된 데이타 범위내에 있지 않는 것은 데이타 분석시 제외하고 NMS안에 근접하는 셀 번호만 데이타 처리시 취한다는 의미입니다. 좀 더 실제적인 것을 보시려면 통계 수학이나 데이타 처리 기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