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3-09
org.kosen.entty.User@11861a8e
박진우(jinu1115)
- 1
stochastic : 추계학(推計學)의, 확률론적인
사전을 찾아보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확률론적인 센서가 무슨 의미인 지는 감이 잘 안옵니다.
- biosensor
- stochast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05-03-09- 0
아마 생물에서는 단백질 검출하는 곳에서 나오는 용어인 듯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공이 아니라서 모르나 'stochastic (확률론적)'이라는 단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전에 '추계학', '확률론적'이라는 단어는 조금 잘못 번역하였습니다. 'stochastic'이라는 단어를 이해하려면 'random'이라는 단어를 알아야 합니다. 말그대로 불규칙이라고 번역할 수 있으나 잘못 번역을 한 것이고 모든 경우가 확률적으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를 random이라고 합니다. 예전에 복권추첨할 때 수자가 적힌 원판을 돌리고 화살로 쏠 때 화살이 특정한 수에 맞을 확률은 모두 같습니다. 즉, 10개의 수자가 나타날 확률이 모두 똑같습니다. 만약 화살을 쏜다면 특정한 수가 나올 확률은 1/10 이 되나 어떤 수가 나올 지는 모릅니다. 이 경우에 모든 숫자가 똑같은 확률을 가지기 때문에 'random'이라는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확률처리가 아니라 (즉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의 통계처리), 각각의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에서 일어난 사건이 뒤에 일어날 사건에 시간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을 경우, 즉, 시간적으로 일어날 확률이 독립적일 때 stochastic process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상자속에 주사위 100개를 넣고 흔든 다음 1 이라는 점이 위로 향해있는 숫자를 세어보면 대략 17 개 정도가 되고, 1 초가 지난 뒤에 흔들어서 다시 세어보면 18 개 정도 등등... 시간에 따른 1 이라는 점이 위로 향할 갯수는 앞에서 일어난 확률과 전혀 관계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납니다. 이렇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사건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을 stochastic process 또는 random process라고 합니다. 로또는 처음에 모든 숫자가 1/45라는 확률을 가지나 하나의 공이 나오면 그 다음은 1/44가 되기 때문에 stochastic 과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주사위의 1 의 눈이 시간적으로 나타나는 통계값을 보면 100/6 주위에서 약간 요동을 치면서 가우스 분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stochastic sensing 이라는 말은 아마도 시간별로 특정한 분자가 센서에 걸릴 확률을 의미하는 듯 합니다. 다만 특정한 분자를 검출하였다고 해도 한 번 검출한 일이 시간적으로 다음에 검출한 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stochastic이라고 할 수 있고 나오는 결과는 어떤 특정한 분포를 가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