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3-17
org.kosen.entty.User@14107d9
안태창(tcmerias)
- 2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바이오쪽에는 지식이 별로 없어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이번에 바이오쪽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바이오 실험에서 보관을 위해 세포를 얼리는 것을 제외하고
분석이나 실험 및 기타적인 이유로 저온 실험이나 세포 및 단백질을 얼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백질의 경우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 실험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cell
- temperature control
- freez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임채진님의 답변
2005-03-18- 0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바이오쪽에는 지식이 별로 없어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 >이번에 바이오쪽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 >바이오 실험에서 보관을 위해 세포를 얼리는 것을 제외하고 > >분석이나 실험 및 기타적인 이유로 저온 실험이나 세포 및 단백질을 얼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지 > >궁금합니다. > >단백질의 경우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 실험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도 있는데 >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우선 세포를 깨서 단백질을 안정적으로 수득하기위해 Freezing-thawing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온에서 실험하는 경우에는 세포에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의 경우 세포가 깨지면서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거나 혹은 buffering effect의 감소, 온도의 증가 등으로 인한 변성의 요인이 있기 때문에 단백질을 다룰 경우에 저온에서 하라고 추천합니다.. 특히나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저온에서 활성이 많이 떨어지기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백질을 연구할 때에는 항상 저온에서 수행해야합니다.. 얻어진 단백질의 장기 보관에는 freeze-dry가 가장 좋습니다. 그다음으로는 낮은 온도에서 얼려 보관하는 것이고요, 그다음이 냉장 보관입니다. 그렇지만 단백질을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면 단백질의 활성도 떨어트리고 변성시키게 되므로 좋지않습니다.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2005-04-13- 0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바이오쪽에는 지식이 별로 없어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 >이번에 바이오쪽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 >바이오 실험에서 보관을 위해 세포를 얼리는 것을 제외하고 > >분석이나 실험 및 기타적인 이유로 저온 실험이나 세포 및 단백질을 얼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지 > >궁금합니다. 단백질 분석의 경우 proteases, RNA 분석의 경우 RNases, DNA 분석의 경우 DNases 등의 분해효소가 세포 자체에 존재하기 때문에 sample preparation 시 저온(0도 ~ 4도)을 유지하면서 실험을 합니다. 특히 protein의 경우가 더 심하죠. -70도 보관도 안심 못 합니다. 뭐든지 바로 실험하는 게 최고죠. >단백질의 경우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 실험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도 있는데 >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에 DNA ligase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는 double strand DNA substrate 끝부분이 벌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왔습니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또, 일부 DNA를 자르는 효소는 저온에서 reaction을 해야만 합니다. >감사합니다.. ^^